[go: nahoru, domu]

본문으로 이동

브라-켓 표기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uckas-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ca:Notació bra-ket
StarLight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브라-켓 표기법'''(bra-ket -)은 [[양자 역학]]의 상태를 기술하는 수학적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폴 디랙]]이 처음 고안하여 '''디랙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 표기법에서 <math>\langle\phi|</math>를 '''브라'''(bra), <math>|\psi\rangle</math>을 '''켓'''(ket)이라 부른다. 이 이름은 두 상태벡터 간의 [[내적]] <math>\langle\phi|\psi\rangle</math>을 꺾쇠괄호('''bra'''c'''ket''')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데서 유래하였다.
'''브라-켓 표기법'''(bra-ket -)은 [[양자 역학]]의 상태를 기술하는 수학적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폴 디랙]]이 처음 고안하여 '''디랙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 표기법에서 &lang;''ϕ''| 를 '''브라'''(bra), |''&psi;''&rang; 을 '''켓'''(ket)이라 부른다. 이 이름은 두 상태벡터 간의 [[내적]] &lang;''ϕ''|''&psi;''&rang; 을 꺾쇠괄호('''bra'''c'''ket''')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데서 유래하였다.


==브라와 켓==
==브라와 켓==
계의 상태는 복소 [[힐베르트 공간]] '''H'''의 벡터로 나타낸다. 이를 '''켓벡터'''({{lang|en|ket vector}})라고 하고, |''&psi;''&rang; 로 쓴다. 여기서 '''H''' 를 '''켓공간'''({{lang|en|ket space}})이라 하기도 한다.


켓공간 '''H''' 의 [[쌍대공간]] '''H'''<sup>*</sup> 의 원소는 브라벡터({{lang|en|bra vector}})라고 하고, &lang;''ϕ''| 라 쓴다. 브라벡터는 쌍대공간의 원소이므로 켓공간에서 복소수로의 선형연속함수 &lang;''ϕ''| : '''H''' &rarr; '''C''' 이다. 켓공간과 마찬가지로 '''H'''<sup>*</sup> 를 '''브라공간'''({{lang|en|bra space}})이라 하기도 한다.
양자 역학에서, 계의 상태는 [[힐베르트 공간]] '''H'''의 벡터로 나타낸다. 각 상태벡터는 켓(ket)벡터라고 하고,


모든 켓 |''&psi;''&rang; 에는 대응되는 '''쌍대 브라'''({{lang|en|dual bra}}) &lang;''&psi;''| 가 있으며,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math>|\psi\rangle</math>
:임의의 켓 |''&rho;''&rang; 에 대하여 &lang;''&psi;''|''&rho;''&rang; = &lang;''&psi;'', ''&rho;''&rang;
위 정의에서 우변의 &lang;&middot;, &middot;&rang; 는 힐베르트 공간의 내적을 나타낸다.


쌍대공간의 각 브라 벡터에는 꼭 한 개의 켓벡터가 대응된다는 [[리스 표현 정리]]에 의해 &lang;''&psi;''| 는 다음과 같이 켓벡터 |''&psi;''&rang; 와 대응되며 잘 정의되어 있다.
와 같이 쓴다. 여기서 <math>\psi</math>는 어떤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이다.
:<math> | \psi \rangle \quad \overset{\mathrm{DC}}{\leftrightarrow} \quad \langle \psi | </math>

'''H'''의 [[쌍대공간]](dual space)의 원소(즉, '''H'''에서 '''C'''로의 선형 연속 함수)는 브라(bra)벡터이고,

:<math>\langle\phi|</math>

와 같이 쓴다. 여기서 <math>\phi</math>는 어떤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이다.

브라벡터 <math>\langle\phi|</math>를 켓벡터 <math>|\psi\rangle</math>에 적용하면, 어떤 복소수가 되고,

:<math>\langle\phi|\psi\rangle</math>.

와 같이 쓴다.

모든 켓 <math>|\psi\rangle</math>에는 쌍대 브라(dual bra) <math>\langle\psi|</math>가 대응하고, 이는 '''H''' 위의 선형함수이며

:임의의 켓 <math>|\rho\rangle</math>에 대하여 <math>\langle\psi|\rho\rangle = ( |\psi\rangle , |\rho\rangle )</math>

와 같이 정의한다. 위 정의에서 우변의 ( , )는 힐베르트 공간에서 정의된 내적을 나타낸다. 쌍대공간의 각 브라 벡터에는 꼭 한 개의 켓 벡터가 대응된다는 [[리스 표현 정리]]에 의해 <math>\langle\psi|</math>는 잘 정의된다.


== 브라-켓의 성질 ==
== 브라-켓의 성질 ==
* 임의의 브라 &lang;''ϕ''|, 켓 |''&psi;''<sub>1</sub>&rang;, |''&psi;''<sub>2</sub>&rang;, 그리고 [[복소수]] ''c''<sub>1</sub>, ''c''<sub>2</sub>에 대해, 브라는 [[선형]] [[범함수]]이기 때문에,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브라 <math>\langle\phi|</math>, 켓 <math>|\psi_1\rangle</math> <math>|\psi_2\rangle</math>, 그리고 [[복소수]] <math>c_1</math>, <math>c_2</math>에 대해, 브라는 선형 범함수(linear functional)이기 때문에, 다음이 성립한다.

::<math>\langle\phi|(c_1|\psi_1\rangle + c_2|\psi_2\rangle) = c_1\langle\phi|\psi_1\rangle + c_2\langle\phi|\psi_2\rangle</math>.
::<math>\langle\phi|(c_1|\psi_1\rangle + c_2|\psi_2\rangle) = c_1\langle\phi|\psi_1\rangle + c_2\langle\phi|\psi_2\rangle</math>.


* 임의의 브라 &lang;''ϕ''<sub>1</sub>|, &lang;''ϕ''<sub>2</sub>|, 켓 |''&psi;''&rang;, 그리고 복소수 ''c''<sub>1</sub>, ''c''<sub>2</sub>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브라 <math>\langle\phi_1|</math> <math>\langle\phi_2|</math>, 켓 <math>|\psi\rangle</math>, 그리고 복소수 <math>c_1</math>, <math>c_2</math>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math>(c_1 \langle\phi_1| + c_2 \langle\phi_2|)|\psi\rangle = c_1 \langle\phi_1|\psi\rangle + c_2\langle\phi_2|\psi\rangle</math>.
::<math>(c_1 \langle\phi_1| + c_2 \langle\phi_2|)|\psi\rangle = c_1 \langle\phi_1|\psi\rangle + c_2\langle\phi_2|\psi\rangle</math>.

* 임의의 켓 <math>|\psi_1\rangle</math> <math>|\psi_2\rangle</math>, 복소수 <math>c_1</math>, <math>c_2</math>에 대해, 내적의 성질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는 [[켤레복소수]]를 뜻한다.)


* 임의의 켓 |''&psi;''<sub>1</sub>&rang;, |''&psi;''<sub>2</sub>&rang;, 복소수 ''c''<sub>1</sub>, ''c''<sub>2</sub> 에 대해, 내적의 성질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는 [[켤레복소수]]를 뜻한다.)
::<math>
::<math>
c_1|\psi_1\rangle + c_2|\psi_2\rangle</math>와 <math>c_1^* \langle\psi_1| + c_2^* \langle\psi_2|</math>는 서로 쌍대이다.
c_1|\psi_1\rangle + c_2|\psi_2\rangle \quad \overset{\mathrm{DC}}{\leftrightarrow} \quad c_1^* \langle\psi_1| + c_2^* \langle\psi_2|</math>


* 임의의 브라 <math>\langle\phi|</math>와 켓 <math>|\psi\rangle</math>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브라 &lang;''ϕ''| 와 켓 |''&psi;''&rang;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math>\langle\phi|\psi\rangle = \langle\psi|\phi\rangle^*</math>.
::<math>\langle\phi|\psi\rangle = \langle\psi|\phi\rangle^*</math>.



==선형연산자와 브라-켓==
==선형연산자와 브라-켓==

''A'' : '''H'''→'''H''' 가 [[선형연산자]]일 때, ''A''를 켓 <math>|\psi\rangle</math>에 작용하여 다른 켓 <math>(A|\psi\rangle)</math>을 얻는다. 연산자는 브라에 작용할 수도있다. ''A''를 브라 <math>\langle\phi|</math>에 작용하면, 브라 <math>(\langle\phi|A)</math>를 얻으며, 다음이 성립한다.
''A'' : '''H'''→'''H''' 가 [[선형연산자]]일 때, ''A''를 켓 <math>|\psi\rangle</math>에 작용하여 다른 켓 <math>(A|\psi\rangle)</math>을 얻는다. 연산자는 브라에 작용할 수도있다. ''A''를 브라 <math>\langle\phi|</math>에 작용하면, 브라 <math>(\langle\phi|A)</math>를 얻으며, 다음이 성립한다.



2010년 7월 27일 (화) 00:24 판

브라-켓 표기법(bra-ket -)은 양자 역학의 상태를 기술하는 수학적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은 폴 디랙이 처음 고안하여 디랙 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 표기법에서 ⟨ϕ| 를 브라(bra), |ψ⟩ 을 (ket)이라 부른다. 이 이름은 두 상태벡터 간의 내적ϕ|ψ⟩ 을 꺾쇠괄호(bracket)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데서 유래하였다.

브라와 켓

계의 상태는 복소 힐베르트 공간 H의 벡터로 나타낸다. 이를 켓벡터(ket vector)라고 하고, |ψ⟩ 로 쓴다. 여기서 H켓공간(ket space)이라 하기도 한다.

켓공간 H쌍대공간 H* 의 원소는 브라벡터(bra vector)라고 하고, ⟨ϕ| 라 쓴다. 브라벡터는 쌍대공간의 원소이므로 켓공간에서 복소수로의 선형연속함수 ⟨ϕ| : HC 이다. 켓공간과 마찬가지로 H*브라공간(bra space)이라 하기도 한다.

모든 켓 |ψ⟩ 에는 대응되는 쌍대 브라(dual bra) ⟨ψ| 가 있으며,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임의의 켓 |ρ⟩ 에 대하여 ⟨ψ|ρ⟩ = ⟨ψ, ρ

위 정의에서 우변의 ⟨·, ·⟩ 는 힐베르트 공간의 내적을 나타낸다.

쌍대공간의 각 브라 벡터에는 꼭 한 개의 켓벡터가 대응된다는 리스 표현 정리에 의해 ⟨ψ| 는 다음과 같이 켓벡터 |ψ⟩ 와 대응되며 잘 정의되어 있다.

브라-켓의 성질

  • 임의의 브라 ⟨ϕ|, 켓 |ψ1⟩, |ψ2⟩, 그리고 복소수 c1, c2에 대해, 브라는 선형 범함수이기 때문에, 다음이 성립한다.
.
  • 임의의 브라 ⟨ϕ1|, ⟨ϕ2|, 켓 |ψ⟩, 그리고 복소수 c1, c2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 임의의 켓 |ψ1⟩, |ψ2⟩, 복소수 c1, c2 에 대해, 내적의 성질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는 켤레복소수를 뜻한다.)
  • 임의의 브라 ⟨ϕ| 와 켓 |ψ⟩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선형연산자와 브라-켓

A : HH선형연산자일 때, A를 켓 에 작용하여 다른 켓 을 얻는다. 연산자는 브라에 작용할 수도있다. A를 브라 에 작용하면, 브라 를 얻으며, 다음이 성립한다.

.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간단히 쓸 수 있다.

.

H 위에서 선형연산자를 정의하는 편한 방법은 외적을 이용하는 것이다. 만약 브라 와 켓 에 대하여, 외적 는, 켓 을 켓 으로 보낸다. (즉 켓 에 스칼라 를 곱한 것이다.)

외적을 사용하여 정사영 연산자를 만들 수 있다. 노름이 1인 켓 으로 생성되는 부분공간으로 정사영하는 연산자는

로 정의된다.

틀:Link 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