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nahoru, domu]

본문으로 이동

타생오랍총관아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타생오랍총관아문'''(打牲烏拉總管衙門,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ᠪᡠᡨᡥᠠ<br /> ᡠᠯᠠ<br>ᡤᡡᠰᠠ ᠪᡝ <br>ᡴᠠᡩᠠᠯᠠᡵ<br>ᠠᠮᠪᠠᠨ<br /> ᠶᠠᠮᡠᠨ }}|Butha Ula be Kadalara Amban Yamun}})은 '''색륜총관아문'''(索倫總管衙門), '''타생총관(打牲總管)''', '''타생처총관'''(打牲處總管), '''타생색륜달호이총관'''(打牲索倫達呼爾總管), '''흑룡강타생처총관'''(黑龍江打牲處總管), '''포특합타생처총관'''(布忒哈打牲處總管)이라고도 한다.<ref>叢佩遠, 《中國東北史》
'''타생오랍총관아문'''(打牲烏拉總管衙門,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ᠪᡠᡨᡥᠠ<br />ᡠᠯᠠ<br />ᡳ<br />ᡠᡥᡝᠷᡞ<br>ᠶᠠᠮᡠᠨ}}|Butha Ula-i Uheri Yamun}})은 '''소론총관아문'''(索倫總管衙門), '''타생총관(打牲總管)''', '''타생처총관'''(打牲處總管), '''타생소론다후르총관'''(打牲索倫達呼爾總管), '''흑룡강타생처총관'''(黑龍江打牲處總管), '''부트하타생처총관'''(布忒哈打牲處總管)<ref>叢佩遠, 《中國東北史》제4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1332~1346쪽</ref>, '''호렵총관'''(護獵總管)<ref>《[[숙종실록]]》 53권, 강희 52년 5월 16일 임진 2번째기사, ''○平安監司兪集一, 以勑使牌文出來事啓聞。 其文曰: 欽差正使頭等侍衛阿齊圖護獵摠管穆克登, 奉命前往朝鮮國, 五月初二日起行。 詔書一道、御杖一對、欽差牌貳面、回避肅靜牌四面、黃傘貳柄、五官司曆。 【前例所無也。】 六品通官三員、跟役十九名。''</ref>, '''오라총관'''(烏喇摠管)<ref>《[[숙종실록]]》 51권, 강희 51년 2월 26일 기묘 2번째기사, ''○淸差烏喇摠管穆克登等, 將審白頭山, 出來義州, 府尹以牌文上送。 上敎曰: "咨文入來後, 意謂廟堂, 卽速稟定, 今已三日, 尙無稟定, 殊用泄泄。 牌文又到, 日字且急, 明日稟定事, 分付。"''</ref>이라고도 한다.
제4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1332~1346쪽</ref>


[[청 제국|청대]]에 붙하(打牲,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ᠪᡠᡨᡥᠠ}}|Butha}})는 [[수렵]]과 채취를 통해 육지의 동식물과 [[하천]]의 어류를 포획하는 행동을 가리키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수렵과 채집 활동 뿐만 아니라 수렵과 채집으로 살아가는 부락, 특히 [[흑룡강]] 일대에 거주하는 솔온(索倫, {{llang|mnc|{{만몽 유니코드|lang=mnc|ᠰᠣᠯᠣᠨ}}|Solon}})ㆍ[[다우르]]ㆍ[[오로촌족|오론촌]] 등을 두루 가리키기도 했다.
[[청 제국|청대]]에 부트하(打牲,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ᠪᡠᡨᡥᠠ}}|Butha}})는 [[수렵]]과 채취를 통해 동식물과 [[하천]]의 어류를 포획하는 행동을 가리키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특히 [[아무르강]](흑룡강) 일대의 수렵인 [[에벤키족|소론]](索倫, {{llang|mnc|{{만몽 유니코드|lang=mnc|ᠰᠣᠯᠣᠨ}}|Solon}})ㆍ[[다우르족]]ㆍ[[오로촌족|오론촌]] 등을 두루 가리키기도 했다.<ref>{{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296~297}}{{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청대 [[만주]]의 수렵 채집은 황실 내무부에 진공하는 것과 국가의 공부(貢賦)로 나뉘었다. 황실 내무부와 관련된 업무는 붙하 울아(打牲烏拉,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ᠪᡠᡨᡥᠠ<br /> ᡠᠯᠠ}}|Butha Ula}}) 총관아문과 [[성경]]의 내무부에서 관리했고, 국가의 공부(貢賦)는 길림장군아문과 흑룡강장군의 타생오랍아문에서 관리했다.<ref>叢佩遠, 《中國東北史》
청대 [[만주]]의 수렵 채집은 황실 내무부에 진공하는 것과 국가의 공부(貢賦)로 나뉘었다. 황실 내무부와 관련된 업무는 부트하 우라(打牲烏拉,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ᠪᡠᡨᡥᠠ<br /> ᡠᠯᠠ}}|Butha Ula}}) 총관아문과 [[성경]]의 내무부에서 관리했고, 국가의 공부(貢賦)는 길림장군아문과 흑룡강장군의 타생오랍아문에서 관리했다.<ref>叢佩遠, 《中國東北史》 제4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1332~1346쪽</ref><ref>{{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297}}{{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제4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1332~1346쪽</ref>


타생오랍총관아문은 청대의 특수적인 기구로, 길림장군의 관할 영역에 위치해 있었지만, 내무부에 직속된 기구로서 황실의 수렵채집 관련 활동을 총괄하며 [[황제]]와 내무부 외에는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기구였다. 타생오랍 생정(牲丁)은 [[팔기군|팔기 조직]]으로 편제되었고, 다시 주헌(珠軒,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ᠵᡠᡥᡳᠶᠠᠨ}}|Juhiyan}}) 단위로 나뉘어 각각 역을 수행했다. 타생오랍생정은 이처럼 [[팔기제]]에 근거하여 경제적ㆍ군사적 임무를 수행했다.<ref>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中央民族大學 博士學位論文, 2012, 3-4쪽</ref><ref>{{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298~299}}{{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타생오랍총관아문은 내무부와 마찬가지로 청대에 처음으로 등장한 특수 기구였다. 타생총관아문은 길림장군의 관할 영역에 위치해 있었지
만, 내무부에 직속된 기구로서 황실의 수렵채집 관련 활동을 총괄하며 [[황제]]와 내무부 외에는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기구였다. 울라 지역의 관원이나 거주민의 숫자가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타생오랍총관이 황제가 직접파견하는 3품관의 고위직이었다는 사실은 타생오랍아문의 중요성을 반증한다. [[황실]]의 발상지에서 수렵과 채집 활동을 관리하며 [[만주족]]의 전통을 보호한다는 타생오랍총관의 역할은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타생오랍 생정(牲丁)은 [[팔기군|팔기 조직]]으로 편제되었고, 다시 주햔(珠
軒, Juhiyan) 단위로 나뉘어 각각 역을 수행했다. 생정의 수렵과 채집 활동은 생산활동이자 동시에 군사훈련이기도 했다. 타생오랍생정은 이처럼 팔기조직에 근
거하여 독특한 방식으로 경제적ㆍ군사적 임무를 수행했다.<ref>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中央民族大學 博士學位論文, 2012, 3-4쪽</ref>


타생오랍총관은 [[백두산]]과 [[쑹화강]](송화강) 사이에 위치하여 남북 교통의 요충지이자 [[인삼]]ㆍ녹용ㆍ동주ㆍ[[초피]] 등 [[만주]]의 유명한 특산품과 [[철갑상어]]ㆍ[[잣]]ㆍ[[솔방울]]ㆍ[[벌꿀]] 등 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공품이 생산되는 우라갸(烏拉街, {{llang|mnc|{{만몽 유니코드|ᡤᡠᠯᠠ<br>ᡤᡳᠶᠠᡳ}}|Ula Giya}})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원래 왕공들이 [[울라 (여진)|울라]] 지역에 장정을 파견하여 동주를 채취하고 [[담비]]를 사냥할 수 있었다. 왕공귀족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천연자원이 풍부한 우라 지방에 장정을 대규모로 파견하면서 이곳을 관리하는 가샨다(嘠善達, {{llang|mnc|{{만몽 유니코드|ᡤᠠᡧᠠᠨ<br>ᡩᠠ}}|Gašan Da}}: 촌장)만으로는 왕공귀족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지자 황실은 내무부 상삼기 보오이 니루 소속의 관원을 파견하여 우라 지방을 관리하게 했다. 결국 타생오랍총관아문을 설치한 배경은 황실이 귀족들의 이러한 특권을 제한하고 만주의 천연자원을 독점하고 황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왕공에게 우라 지역에서 동주 채취와 초피 사냥을 허용하던 관행은 [[1650년]]에 이르러 중단되었다.<ref>大淸會典事例 권889 「工部ㆍ採捕」, 734上</ref><ref name="김선민">{{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299}}{{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타생오랍총관은 청대 [[길림성]] 동쪽 40여리 떨어진 울아가(烏拉街, {{llang|mnc|{{만몽 유니코드|ᡤᡠᠯᠠ<br>ᡤᡳᠶᠠᡳ}}|Ula Giya}}))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백두산]]과 [[송화강]] 사이에 위치하여 남북 교통의 요충지였
을 뿐만 아니라 [[인삼]]ㆍ녹용ㆍ동주ㆍ[[초피]] 등 [[만주]]의 유명한 특산품과 [[철갑상어]]ㆍ[[잣]]ㆍ[[솔방울]]ㆍ[[벌꿀]] 등 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공품이 생산되었다. 원래 [[왕]](王) 이하 공(公) 이상은 [[울아]] 지역에 장정을 파견하여 동주
를 채취하고 [[담비]]를 사냥할 수 있었다. 왕공귀족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자연
자원이 풍부한 울아 지방에 장정을 대규모로 파견하면서 이곳을 관리하는 가샨다(嘠善達, Gašanda: 촌장)만으로는 왕공귀족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지자 황실은
내무부 상삼기 보오이 니루 소속의 관원을 파견하여 울아 지방을 관리하게 했다. 결국 타생오랍총관아문을 설치한 배경은 황실이 [[귀족]]의 특권을 제한하고 만주의 자연자원을 독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것은 곧 만주의 자연자원이 황권을 강화하는 데에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왕공 귀족에게 울아 지역에
서 동주 채취와 초피 사냥을 허용하던 관행은 [[1650년]]에 이르러 중단되었다.<ref>大淸會典事例 권889 「工部ㆍ採捕」, 734上</ref> 팔기분권(八旗分權)의 특혜를 누리던 왕공귀족들은 [[입관]] 후에는 국가로부터 봉
록을 받는 입장으로 권한이 축소되었고, 만주의 자연자원에 대한 수렵 채집활동은 황실에 의해 독점되기에 이르렀다.


타생오랍총관아문의 설립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청초에는 6품관 익령(翼領, {{llang|mnc|{{MongolUnicode|ᡤᠠᠯᠠ<br>ᡳ<br />ᡩᠠ}}|Gala-i Da}}) 2인을 설치했다가 [[1657년]], 달매도(達邁圖)를 6품 총관으로 삼아 수렵채집을 전담하게 했다. [[1657년]]에 이르러 타생오랍총관은 5품관으로 승격되었다가, [[1698년]], 당시 총관 [[목극등]] 탁월한 성적에 의해 재차 3품관으로 승격되었다.<ref>大淸會典事例 권1215, 「內務府ㆍ採捕」, 690下</ref> 타생오랍총관은 직접 황명을 받는 지위로, 내무부 도우사(都虞司에)서 후보를 인선하고 황제가 [[비준]]하는 세습직이었다.<ref name="김선민/>
타생오랍총관아문의 정확한 설립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국초에는 6품관
익령(翼領) 2인을 설치했다가 [[1657년]], 달매도(達邁圖)를 6품 총관으로 삼아 수렵 채
집에 관한 일을 전담하게 했다. [[1657년]]에 이르러 타생오랍총관은 5품관으로 승격되었다가, [[1698년]], [[목극등]]이 총관으로 재임하던 시절 그의 탁월한 성적에 의해 다시 3품관으로 승격되었다.<ref>大淸會典事例 권1215, 「內務府ㆍ採捕」, 690下</ref> 타생오랍총관은 황제에게 직접 명령을 받는 자리로, 내무부 도우사(都虞司에)서 후보를 인선하고 황제가 [[비준]]하는 세습직이었다.<ref>김선민,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천연자원」, 2007, 296~299쪽</ref>


총관(總管, {{llang|mnc|{{ManchuSibeUnicode|lang=mnc|ᡝᠠᠯ‍ᡳᠸ‍ᡳ<br />ᠪᡠᡨᠠᠨᠠᡥᠠ<br />ᡠᡥᡝᠷᡞ<br>ᡩᠠ}}|Alifi Butanaha Uheri Da}}) 휘하에는 총관을 보조하는 익령(翼領), 치안과 진공업무를 담당하는 효기교(驍騎校, {{llang|mnc|{{MongolUnicode|ᡶᡠᠨᡩᡝ<br />ᠪᠣᡧᠣᡴᡡ}}|Funde Bošokū}}), 아문 내의 하급 문관 필체식(筆帖式, {{llang|mnc|{{MongolUnicode|ᠪᡳ᠍ᡨ᠌ᡥᡝᠰᡳ}}|Bithesi}}), 생정의 호책(戶冊)을 관리하고 공물의 검사와 납부를 담당한 영최(領催, {{llang|mnc|{{MongolUnicode|ᠪᠣᡧᠣᡴᡡ}}|Bošokū}}) 등이 있었고, 그 아래에 주햔 다(珠軒達, {{llang|mnc|{{MongolUnicode|ᠵᡠᡥᡳᠶᠠᠨ ᡳ<br />ᡩᠠ}}|Juhiyan-i Da}})ㆍ포부(鋪副)ㆍ창관(倉官)ㆍ학관(學官)ㆍ필체식(筆帖式)ㆍ오관둔(五官屯)ㆍ궁장(弓匠)ㆍ철장(鐵匠)ㆍ생정ㆍ장두(莊頭) 등이 있었다. [[강희]] ~ [[옹정]]연간에 걸쳐 타생오랍총관아문의 크게 성장했다.<ref>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19~36쪽</ref><ref>{{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299~300}}{{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총관(總管, Alifi Butanaha Uheri Da) 휘하에는 총관을 보조하는 익령(翼領, Galai da), 치안과 진공업무를 담당하는 효기교(驍騎校, Funde Bošokū), 아문 내
의 하급 문관인 필체식(筆帖式, Bithesi), 생정의 호책(戶冊)을 관리하고 공물의 검사와 납부를 맡는 영최(領催, Bošokū) 등이 있었고, 그 아래에 주헌달(Juhiyan i da, 珠軒達)ㆍ포부(鋪副)ㆍ창관(倉官)ㆍ학관(學官)ㆍ필체식(筆帖式)ㆍ오관둔(五官屯)ㆍ궁장(弓匠)ㆍ철장(鐵匠)ㆍ생정(牲丁)ㆍ장두(莊頭) 등이 있었다. [[강희]] ~ [[옹정]]연간에 걸쳐 타생오랍총관아문의 규모가 계속 확대되고 관원의 숫자도 증가한 것은 이 시기에 타생오랍총관이 크게 성장했음을 보여준다.<ref>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19~36쪽</ref>


타생오랍총관아문의 수렵채집 구역은 길림장군의 관할지역이었는데, 인삼은 [[길림|기린]]ㆍ[[닝구타]]ㆍ[[훈춘]]ㆍ라린(拉林, {{llang|mnc|{{MongolUnicode|ᠯᠠᡵᡳᠨ}}|Larin}})ㆍ알추카(阿勒楚喀, {{llang|mnc|{{MongolUnicode|ᠠᠯᠴᡠᡴᠠ}}|Alcuka}})의 관삼국(官蔘局)에서 처리했고, 초피는 길림의 퍄카인<ref>한중관계연구소(2017) ,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2장(『허저족의 기원과 역사』), 62쪽 ''퍄카(Fiyaka)는 [[허저족|허저]]의 한 갈래로, [[아무르강]] 하구와 [[사할린섬]] 북부에 거주하였다. 겨울에는 개가죽 옷을 입고, 여름에는 물고기 가죽 옷을 입었다. 담비를 조공으로 바쳤다.''</ref>들이 납부하면 이란 하라 부도통이 [[북경]]의 내무부로 해송했다.<ref>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36~39쪽</ref><ref name="황실자원">{{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300}}{{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타생오립총관아문의 관리 범위와 활동 구역은 남으로 [[송화강]] 상류와 [[백두산]] 북쪽, 북으로 이란 할아(三姓, Ilan Hala)와 [[아이훈]], 동으로 [[영고탑]]ㆍ[[훈춘]]ㆍ[[무단강]](牲丹江) 유역에 이르렀다. 수천 리에 달하는 이 지역 내의 수백 개의 하천과 연안이 모두 수렵과 채집의 영역이었다. 이 지역은 동시에 길림장군의 관할지역이기도 했다. 인삼은 [[길림]]ㆍ닝구타ㆍ훈춘ㆍ랍림(拉林)ㆍ알추카(阿勒楚喀, Alcuka)의 관삼국(官蔘局)에서 처리했고, 초피는 길림
의 퍄카인들이 납부하면 삼성부도통이 [[북경]] 내무부로 해송했다.<ref>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36~39쪽</ref>


[[1727년]] 타생오랍총관아문은 모두 내무부 좌령이 담당케 하고 길림장군이 겸하지 못하게 했다.<ref>{{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300~301}}{{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그러나 [[1734년]] 이후 타생오랍지역의 업무들은 타생오랍총관과 길림장군이 공동관리하게 되었으며, [[1750년]]부터는 일시적으로 타생오랍총관의 업무를 길림장군이 대리하게 하다가, [[1786년]]에 이르러 타생오랍총관아문의 관리의 임명권도 길림장군이 관할하게 되었다.<ref>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1-235쪽</ref><ref name="김선민2>{{저널 인용|저자=김선민|제목=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총서=명청사연구|권=46|출판사=명청사학회|날짜=2016년 10월|쪽=301}}{{깨진 링크|url=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34544&language=ko_KR&language=ko_KR }}</ref>
타생오랍총관아문은 내무부 관할 하에 황실을 위한 수렵 채집 활동을 전담했고 길림장군은 길림지역의 군정을 담당했기 때문에 두 기구는 원칙적으로 서로 무관했다. 타생오랍총관아문은 북경과 성경의 내무부에 업무를 보고했으며 길림장군에 예속되지 않았다. [[1676년]] 영고탑장군이 기린 울아({{llang|mnc|{{MongolUnicode|ᡤᡳᡵᡳᠨ<br>ᡠᠯᠠ}}|Girin Ula}})
로 이주한 후에는 타생오랍총관아문의 형사사건은 길림장군이 처리했다.


[[1911년]]에 이르러 길림장군과 타생오랍총관은 정식으로 합병되어 오랍기무승판처(烏拉旗務承辦處) 되었고<ref>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1~235쪽</ref>, [[1914년]]에는 완전히 폐지되었다.<ref>江汉力ㆍ姜劼敏, 《打牲乌拉总管》满族研究 (辽宁省沈阳市: 辽宁省民族宗教问题研究中心). 2016, 1쪽</ref>
[[1727년]] 타생오랍총관아문은 모두 내무부 좌령이 담당하고 길림장군이 겸하지 못하게 했다. 이때까지도 타생오랍총관의 주요 업무는 여전히 북경 내무부와 황제가 직접 처리했던 것이다.<ref>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0쪽</ref>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울으 지역의 수렵 채집 활동을 관리하는 업무는 점차 길림장군으로 이관되었다. [[1734년]] 이후 타생오랍지역의 업무는 타생오랍총관과 길림장군이 공동관리하게 되었다. [[1750년]]에는 일시적으로 타생오랍총관의 업무를 길림장군이 대신 처리하게 하다가, [[1786년]]에 이르러 타생오랍총관아문의 관리의 선발도 길림장군이 겸하게 되었다.<ref>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1-235쪽</ref>
== 각주 ==
{{각주}}


황실에서 사용하는 제사용품과 각종 소비품을 공급하기 위해서 타생오랍총관은 여러 가지 임무를 담당해야 했다. 타생관원과 생정(牲丁)을 파견하여 동주ㆍ잣ㆍ벌꿀ㆍ철갑상어 등 공품을 채취하는 것, 관할지역 내의 인구를 관리하는 것, 공산(貢山)ㆍ공강(貢江)ㆍ공하(貢 등 금지구역을 관리보호하는 것, 생정(牲
을 조직하여 관장(官을)을 세우고 농지를 개간하여 [[병사]]들의 [[생계]]를 보충하는 것, 긴급한 [[전투]]가 발생하면 조정의 지시에 따라 전장에 참여하고 타생오랍지방의 [[치안]]을 담당하는 것이 필요했다.<ref>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5~236쪽</ref>


[[1911년]]에 이르러 길림장군과 부트하 울라 총관은 정식으로 합병되어 오랍기무승판처(烏拉旗務承辦處)가되었다. <ref>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1~235쪽</ref>


{{청나라}}
{{청나라}}
{{청나라의 중앙관제}}
{{청나라의 중앙관제}}

[[분류:청나라의 관료제]]
[[분류:청나라의 관료제]]
[[분류:청나라의 대외 관계]]
[[분류:청나라의 대외 관계]]
[[분류:동북아시아]]
[[분류:동북아시아]]
[[분류:에벤키족]]
[[분류:에벤키족]]
[[분류:허저족]]
[[분류:나나이족]]
[[분류:다우르족]]
[[분류:다우르족]]
[[분류:목극등]]
[[분류:목극등]]

2024년 7월 17일 (수) 18:44 기준 최신판

타생오랍총관아문(打牲烏拉總管衙門, 만주어: ᠪᡠᡨᡥᠠ
ᡠᠯᠠ

ᡠᡥᡝᠷᡞ
ᠶᠠᠮᡠᠨ
Butha Ula-i Uheri Yamun)은 소론총관아문(索倫總管衙門), 타생총관(打牲總管), 타생처총관(打牲處總管), 타생소론다후르총관(打牲索倫達呼爾總管), 흑룡강타생처총관(黑龍江打牲處總管), 부트하타생처총관(布忒哈打牲處總管)[1], 호렵총관(護獵總管)[2], 오라총관(烏喇摠管)[3]이라고도 한다.

청대에 부트하(打牲, 만주어: ᠪᡠᡨᡥᠠ Butha)는 수렵과 채취를 통해 동식물과 하천의 어류를 포획하는 행동을 가리키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특히 아무르강(흑룡강) 일대의 수렵인 소론(索倫, 만주어: ᠰᠣᠯᠣᠨ Solon)ㆍ다우르족오론촌 등을 두루 가리키기도 했다.[4]

청대 만주의 수렵 채집은 황실 내무부에 진공하는 것과 국가의 공부(貢賦)로 나뉘었다. 황실 내무부와 관련된 업무는 부트하 우라(打牲烏拉, 만주어: ᠪᡠᡨᡥᠠ
ᡠᠯᠠ
Butha Ula) 총관아문과 성경의 내무부에서 관리했고, 국가의 공부(貢賦)는 길림장군아문과 흑룡강장군의 타생오랍아문에서 관리했다.[5][6]

타생오랍총관아문은 청대의 특수적인 기구로, 길림장군의 관할 영역에 위치해 있었지만, 내무부에 직속된 기구로서 황실의 수렵채집 관련 활동을 총괄하며 황제와 내무부 외에는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기구였다. 타생오랍 생정(牲丁)은 팔기 조직으로 편제되었고, 다시 주헌(珠軒, 만주어: ᠵᡠᡥᡳᠶᠠᠨ Juhiyan) 단위로 나뉘어 각각 역을 수행했다. 타생오랍생정은 이처럼 팔기제에 근거하여 경제적ㆍ군사적 임무를 수행했다.[7][8]

타생오랍총관은 백두산쑹화강(송화강) 사이에 위치하여 남북 교통의 요충지이자 인삼ㆍ녹용ㆍ동주ㆍ초피만주의 유명한 특산품과 철갑상어솔방울벌꿀 등 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공품이 생산되는 우라갸(烏拉街, 만주어: ᡤᡠᠯᠠ
ᡤᡳᠶᠠᡳ
Ula Giya)에 위치해 있었다. 이곳은 원래 왕공들이 울라 지역에 장정을 파견하여 동주를 채취하고 담비를 사냥할 수 있었다. 왕공귀족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천연자원이 풍부한 우라 지방에 장정을 대규모로 파견하면서 이곳을 관리하는 가샨다(嘠善達, 만주어: ᡤᠠᡧᠠᠨ
ᡩᠠ
Gašan Da: 촌장)만으로는 왕공귀족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지자 황실은 내무부 상삼기 보오이 니루 소속의 관원을 파견하여 우라 지방을 관리하게 했다. 결국 타생오랍총관아문을 설치한 배경은 황실이 귀족들의 이러한 특권을 제한하고 만주의 천연자원을 독점하고 황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왕공에게 우라 지역에서 동주 채취와 초피 사냥을 허용하던 관행은 1650년에 이르러 중단되었다.[9][10]

타생오랍총관아문의 설립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청초에는 6품관 익령(翼領, 만주어: ᡤᠠᠯᠠ

ᡩᠠ
Gala-i Da) 2인을 설치했다가 1657년, 달매도(達邁圖)를 6품 총관으로 삼아 수렵채집을 전담하게 했다. 1657년에 이르러 타생오랍총관은 5품관으로 승격되었다가, 1698년, 당시 총관 목극등의 탁월한 성적에 의해 재차 3품관으로 승격되었다.[11] 타생오랍총관은 직접 황명을 받는 지위로, 내무부 도우사(都虞司에)서 후보를 인선하고 황제가 비준하는 세습직이었다.[10]

총관(總管, 만주어: ᡝᠠᠯ‍ᡳᠸ‍ᡳ
ᠪᡠᡨᠠᠨᠠᡥᠠ
ᡠᡥᡝᠷᡞ
ᡩᠠ
Alifi Butanaha Uheri Da) 휘하에는 총관을 보조하는 익령(翼領), 치안과 진공업무를 담당하는 효기교(驍騎校, 만주어: ᡶᡠᠨᡩᡝ
ᠪᠣᡧᠣᡴᡡ
Funde Bošokū), 아문 내의 하급 문관 필체식(筆帖式, 만주어: ᠪᡳ᠍ᡨ᠌ᡥᡝᠰᡳ Bithesi), 생정의 호책(戶冊)을 관리하고 공물의 검사와 납부를 담당한 영최(領催, 만주어: ᠪᠣᡧᠣᡴᡡ Bošokū) 등이 있었고, 그 아래에 주햔 다(珠軒達, 만주어: ᠵᡠᡥᡳᠶᠠᠨ ᡳ
ᡩᠠ
Juhiyan-i Da)ㆍ포부(鋪副)ㆍ창관(倉官)ㆍ학관(學官)ㆍ필체식(筆帖式)ㆍ오관둔(五官屯)ㆍ궁장(弓匠)ㆍ철장(鐵匠)ㆍ생정ㆍ장두(莊頭) 등이 있었다. 강희 ~ 옹정연간에 걸쳐 타생오랍총관아문의 크게 성장했다.[12][13]

타생오랍총관아문의 수렵채집 구역은 길림장군의 관할지역이었는데, 인삼은 기린닝구타훈춘ㆍ라린(拉林, 만주어: ᠯᠠᡵᡳᠨ Larin)ㆍ알추카(阿勒楚喀, 만주어: ᠠᠯᠴᡠᡴᠠ Alcuka)의 관삼국(官蔘局)에서 처리했고, 초피는 길림의 퍄카인[14]들이 납부하면 이란 하라 부도통이 북경의 내무부로 해송했다.[15][16]

1727년 타생오랍총관아문은 모두 내무부 좌령이 담당케 하고 길림장군이 겸하지 못하게 했다.[17] 그러나 1734년 이후 타생오랍지역의 업무들은 타생오랍총관과 길림장군이 공동관리하게 되었으며, 1750년부터는 일시적으로 타생오랍총관의 업무를 길림장군이 대리하게 하다가, 1786년에 이르러 타생오랍총관아문의 관리의 임명권도 길림장군이 관할하게 되었다.[18][19]

1911년에 이르러 길림장군과 타생오랍총관은 정식으로 합병되어 오랍기무승판처(烏拉旗務承辦處)가 되었고[20], 1914년에는 완전히 폐지되었다.[21]

각주

[편집]
  1. 叢佩遠, 《中國東北史》제4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1332~1346쪽
  2. 숙종실록》 53권, 강희 52년 5월 16일 임진 2번째기사, ○平安監司兪集一, 以勑使牌文出來事啓聞。 其文曰: 欽差正使頭等侍衛阿齊圖護獵摠管穆克登, 奉命前往朝鮮國, 五月初二日起行。 詔書一道、御杖一對、欽差牌貳面、回避肅靜牌四面、黃傘貳柄、五官司曆。 【前例所無也。】 六品通官三員、跟役十九名。
  3. 숙종실록》 51권, 강희 51년 2월 26일 기묘 2번째기사, ○淸差烏喇摠管穆克登等, 將審白頭山, 出來義州, 府尹以牌文上送。 上敎曰: "咨文入來後, 意謂廟堂, 卽速稟定, 今已三日, 尙無稟定, 殊用泄泄。 牌文又到, 日字且急, 明日稟定事, 分付。"
  4.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296~29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5. 叢佩遠, 《中國東北史》 제4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1332~1346쪽
  6.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297.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7. 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中央民族大學 博士學位論文, 2012, 3-4쪽
  8.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298~299.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9. 大淸會典事例 권889 「工部ㆍ採捕」, 734上
  10.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299.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1. 大淸會典事例 권1215, 「內務府ㆍ採捕」, 690下
  12. 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19~36쪽
  13.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299~30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4. 한중관계연구소(2017) , 「아무르강의 어렵민, 허저족」, 『청아출판사』 2장(『허저족의 기원과 역사』), 62쪽 퍄카(Fiyaka)는 허저의 한 갈래로, 아무르강 하구와 사할린섬 북부에 거주하였다. 겨울에는 개가죽 옷을 입고, 여름에는 물고기 가죽 옷을 입었다. 담비를 조공으로 바쳤다.
  15. 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36~39쪽
  16.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300.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7.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300~3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8. 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1-235쪽
  19. 김선민 (2016년 10월).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명청사학회: 301.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0. 黃松筠ㆍ欒凡, 吉林痛史 제2권, 231~235쪽
  21. 江汉力ㆍ姜劼敏, 《打牲乌拉总管》满族研究 (辽宁省沈阳市: 辽宁省民族宗教问题研究中心). 2016, 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