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nahoru, domu]

본문으로 이동

한국의 행정 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91번째 줄: 391번째 줄:
{{본문|10도제}}
{{본문|10도제}}
* [[고려 태조|태조]]
* [[고려 태조|태조]]
** 2경(京) : 개경(開京), 서경(西京)
** 2경(京) : [[개경]](開京), [[서경]](西京)


* [[고려 성종|성종]] 2년([[983년]]) : 12목(牧)을 설치하였다.
* [[고려 성종|성종]] 2년([[983년]]) : 12목(牧)을 설치하였다.
** 12목(牧) : 양주목(楊州牧), 광주목(廣州牧), 충주목(忠州牧), 청주목(淸州牧), 공주목(公州牧), 전주목(全州牧), 나주목(羅州牧), 승주목(昇州牧), 상주목(尙州牧), 진주목(晉州牧), 해주목(海州牧), 황주목(黃州牧)
** 12목(牧) : [[양주목]](楊州牧), [[광주목]](廣州牧), [[충주목]](忠州牧), [[청주목]](淸州牧), [[공주목]](公州牧), [[전주목]](全州牧), [[나주목]](羅州牧), [[승주목]](昇州牧), [[상주목]](尙州牧), [[진주목]](晉州牧), [[해주목]](海州牧), [[황주목]](黃州牧)
* 성종 14년([[995년]]) : 10도(道), 3경(京), 5도호부(都護府), 8목(牧), 양계(兩界)를 설치하였다.
* 성종 14년([[995년]]) : 10도(道), 3경(京), 5도호부(都護府), 8목(牧), 양계(兩界)를 설치하였다.
** 10도(道) : 강남도(江南道), 관내도(關內道), 삭방도(朔方道), 산남도(山南道), 영남도(嶺南道), 영동도(嶺東道), 중원도(中原道), 패서도(浿西道), 하남도(河南道), 해양도(海陽道)
** 10도(道) : [[강남도]](江南道), [[관내도]](關內道), [[삭방도]](朔方道), [[산남도]](山南道), [[영남도]](嶺南道), [[영동도]](嶺東道), [[중원도]](中原道), [[패서도]](浿西道), [[하남도]](河南道), [[해양도]](海陽道)
** 3경(京) : [[개성|개경]](開京), [[평양|서경]](西京), [[경주시|동경]](東京)
** 3경(京) : [[개경]](開京), [[서경]](西京), [[동경]](東京)
** 5도호부(都護府) :
** 5도호부(都護府) :
** 8목(牧) : 광주목(廣州牧), 충주목(忠州牧), 청주목(淸州牧), 전주목(全州牧), 나주목(羅州牧), 상주목(尙州牧), 진주목(晉州牧), 황주목(黃州牧)
** 8목(牧) : [[광주목]](廣州牧), [[충주목]](忠州牧), [[청주목]](淸州牧), [[전주목]](全州牧), [[나주목]](羅州牧), [[상주목]](尙州牧), [[진주목]](晉州牧), [[황주목]](黃州牧)
** 양계(界) :
** 양계(界) : [[북계]](北界), [[동계]](東界)




406번째 줄: 406번째 줄:
* [[고려 현종|현종]] 9년([[1018년]]) : 전국을 도(道)와 양계(兩界)로 나누었고, 그 아래에 4도호부(都護府), 8목(牧), 군(郡), 현(縣), 진(鎭)을 설치하였다.
* [[고려 현종|현종]] 9년([[1018년]]) : 전국을 도(道)와 양계(兩界)로 나누었고, 그 아래에 4도호부(都護府), 8목(牧), 군(郡), 현(縣), 진(鎭)을 설치하였다.
** 5도(道) : [[양광도]](楊廣道), [[경상도]](慶尙道), [[전라도]](全羅道), [[교주도]](交州道), [[서해도]](西海道)
** 5도(道) : [[양광도]](楊廣道), [[경상도]](慶尙道), [[전라도]](全羅道), [[교주도]](交州道), [[서해도]](西海道)
** 양계(界) : 북계(北界), 동계(東界)
** 양계(界) : [[북계]](北界), [[동계]](東界)
** 4경(京) [[개경]](開京), [[서경]](西京), [[남경]](南京), [[동경]](東京)
** 4경(京)
** 4도호부(都護府) : [[전주시|안남]](安), [[해주시|안서]](安西), [[안주시|안북]](安), [[경주시|안동]](安)
** 4도호부(都護府) :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 [[안북도호부]](安北都護府)
** 8목(牧) : [[황주군|황주]](州), [[광주시 (경기도)|광주]](州),[[충주시|충주]](州), [[청주시|청주]](州), [[전주시|전주]](州), [[나주시|나주]](州), [[상주시|상주]](州), [[진주시|진주]](州)
** 8목(牧) : [[광주목]](),[[충주목]](), [[청주목]](), [[전주목]](), [[나주목]](), [[상주목]](), [[진주목]](), [[황주목]]()


* [[고려 문종|문종]]
* [[고려 문종|문종]]
** 3경(京) : [[개성|개경]](開京), [[평양|서경]](西京), [[서울|남경]](南京)
** 3경(京) : [[개경]](開京), [[서경]](西京), [[남경]](南京)


===조선===
===조선===
422번째 줄: 422번째 줄:
** 5대도호부(大都護府) :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 [[창원대도호부]](昌原大都護府)
** 5대도호부(大都護府) :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 [[창원대도호부]](昌原大都護府)
** 20목(牧) : [[광주목]](廣州牧), [[양주목]](楊州牧), [[파주목]](坡州牧), [[여주목]](驪州牧), [[원주목]](原州牧), [[충주목]](忠州牧), [[청주목]](淸州牧), [[홍주목]](洪州牧), [[공주목]](公州牧), [[광주목]](光州牧), [[나주목]](羅州牧), [[상주목]](尙州牧), [[성주목]](星州牧), [[진주목]](晉州牧), [[제주목]](濟州牧), [[해주목]](海州牧), [[황주목]](黃州牧), [[안주목]](安州牧), [[정주목]](靜州牧), [[의주목]](義州牧)
** 20목(牧) : [[광주목]](廣州牧), [[양주목]](楊州牧), [[파주목]](坡州牧), [[여주목]](驪州牧), [[원주목]](原州牧), [[충주목]](忠州牧), [[청주목]](淸州牧), [[홍주목]](洪州牧), [[공주목]](公州牧), [[광주목]](光州牧), [[나주목]](羅州牧), [[상주목]](尙州牧), [[성주목]](星州牧), [[진주목]](晉州牧), [[제주목]](濟州牧), [[해주목]](海州牧), [[황주목]](黃州牧), [[안주목]](安州牧), [[정주목]](靜州牧), [[의주목]](義州牧)
** 44도호부(都護府) :
** 44도호부(都護府) :




{{본문|23부제}}
{{본문|23부제}}
* 고종 32년([[1895년]]) : [[갑오개혁]]([[1894년]])을 통하여 ‘[[23부제|23부]] 337군’ 체제로 변경.
* 고종 32년([[1895년]]) : [[갑오개혁]]([[1894년]])을 통하여 ‘23부 337군’ 체제로 변경.
** 23부(府) : [[한성부]](漢城府), [[인천부]](仁川府), [[개성부]](開城府), [[강릉부]](姜陵府), [[춘천부]](春川府), [[충주부]](忠州府). [[홍주부]](洪州府), [[공주부]](公州府), [[전주부]](全州府), [[남원부]](南原府), [[나주부]](羅州府), [[대구부]](大邱府), [[안동부]](安東府), [[동래부]](東萊府), [[진주부]](晉州府), [[제주부]](濟州府), [[해주부]](海州府), [[평양부]](平壤府), [[의주부]](義州府), [[강계부]](江界府), [[함흥부]](咸興府), [[갑산부]](甲山府), [[경성부](鏡城府)
** 23부(府) : [[한성부]](漢城府), [[인천부]](仁川府), [[개성부]](開城府), [[강릉부]](姜陵府), [[춘천부]](春川府), [[충주부]](忠州府). [[홍주부]](洪州府), [[공주부]](公州府), [[전주부]](全州府), [[남원부]](南原府), [[나주부]](羅州府), [[대구부]](大邱府), [[안동부]](安東府), [[동래부]](東萊府), [[진주부]](晉州府), [[제주부]](濟州府), [[해주부]](海州府), [[평양부]](平壤府), [[의주부]](義州府), [[강계부]](江界府), [[함흥부]](咸興府), [[갑산부]](甲山府), [[경성부]](鏡城府)




439번째 줄: 439번째 줄: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본문|13도제}}
{{본문|13도제}}
* 1910년 : ‘13도 12부 317군’ 체제로 변경.
*[[1910년]] : ‘13도 12부 317군’ 체제로 변경.
*[[1914년]] : ‘13도 12부 220군’ 체제로 변경. 현재부터의 [[부 (행정 구역)|부]]는 도시를 뜻하며 1949년 일괄적으로 [[시 (행정 구역)|시]]로 개칭하였다.
*[[1914년]] : ‘13도 12부 220군’ 체제로 변경. 현재부터의 [[부 (행정 구역)|부]]는 도시를 뜻하며 1949년 일괄적으로 [[시 (행정 구역)|시]]로 개칭하였다.
** 12부(府) : [[경성부|경성]], [[인천]], [[군산]], [[목포]], [[대구]], [[부산]], [[마산시|마산]], [[평양]], [[진남포]], [[신의주]], [[원산]], [[청진]]
** 12부(府) : [[경성부]](京城府), [[인천부]](仁川府), [[원산부]](元山府), [[군산부]](群山府), [[목포부]](木浦府), [[대구부]](大邱府), [[부산부]](釜山府), [[마산부]](馬山府), [[평양부]](評壤府), [[남포부|진남포부]](鎭南浦府), [[신의주부]](新義州府), [[청진부]](淸津府)
*[[1931년]] : 부회, 읍회, 면협의회 설치
*[[1931년]] : 부회, 읍회, 면협의회 설치
*1945년 8월 광복 당시 : ‘13도(道) 21부 218군 2도(島)’
*[[1945년 8월]] : ‘13도(道) 21부 218군 2도(島)’
**21부 : [[경성부]](京性府), [[인천부]](仁川府), [[개성부]](開城府), [[원산부]](元山府), [[대전부]](大田府), [[군산부]](群山府), [[전주부]](全州府), [[목포부]](木浦府), [[광주부]](光州府), [[대구부]](大邱府), [[부산부]](釜山府), [[마산부]](馬山府), [[진주부]](晉州府), [[해주부]](海州府), [[평양부]](平壤府), [[남포부|진남포부]](鎭南浦府), [[신의주부]](新義州府), [[함흥부]](咸興府), [[청진부]](淸津府), [[나진부]](羅津府), [[성진부]](城津府)
**21부 : 경성, 인천, [[개성]], [[대전]], 군산, [[전주]], 목포, [[광주광역시|광주]], 대구, 부산, 마산, [[진주시|진주]], [[해주]], 평양, 진남포, 신의주, [[함흥]], 원산, 청진, 나진, 성진


=== 현재 ===
=== 현재 ===

2012년 1월 29일 (일) 09:36 판

파일:North Korea Do.jp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파일:KOREA DO.jpg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한국은 현재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두 정치체로 나뉘어 있다.

현재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 특별시, 6 광역시, 1 특별자치도, 8 도로 나뉘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 직할시, 1 특별시, 9 도, 3 특별지구로 나뉘어 있다.

역사

삼국 시대

백제

백제의 5주 [웅주(熊州); 西原京(서원경); 木州(목주); 완산주(完山州); 무진주(武珍州)] , 39 군, 103현은 모두 147개소이다. 三國史記卷第三十六~第三十六

  • 置都督(치도독) => 熊州(웅주)/熊川州(웅천주) => 公州(공주) 이 주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熱也山縣(본백제열야산현)=> 山縣(니산현). 지금도 그대(이산현)로 부른다
  • 音支縣(본백제벌음지현)=> 音縣(청음현)=>新豐縣(신풍현)
  • 西原京(서원경)=>西原小京(서원소경)=>西原京(서원경)=>淸州(청주)
  • 大木岳郡(본백제대목악군)=> 大麓郡(대록군)=> 木州(목주). 이 주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甘買縣/其買縣(본백제감매현/기매현)=> 馴雉縣(순치현)=>豐歲縣(풍세현)
  • 知縣(본백제구지현)=> 池縣(금지현)=>全義縣(전의현)
  • 林郡(본백제가림군)=> 林郡(가림군)=> 嘉林郡(가림군).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馬山縣 (마산현)=>馬山縣(마산현)
  • 山縣(본백제대산현)=> 山縣(한산현)=>鴻山縣(홍산현)
  • 林郡(본백제설림군)=> 西林郡(서림군).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浦縣(본백제사포현)=> 浦縣(람포현)
  • 縣(본백제비중현)=> 庇縣(비인현)
  • 馬尸山郡(본백제마시산군) => 山郡(이산군).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牛見縣(본백제우견현)=> 目牛縣(목우현).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今未詳).
  • 今勿縣(본백제금물현)=> 今武縣(금무현)=>德豐縣(덕풍현)
  • 槥郡/構郡(본백제혜군/구군)) => 槥城郡(혜성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伐首只縣(본백제벌수지현) => 唐津縣(당진현)
  • 縣(본백제여촌현) => 餘縣(여읍현)=> 餘美縣(여미현)
  • 平縣(본백제사평현)=> 平縣(신평현)
  • 所夫里郡(본백제소부리군) => 扶餘郡(부여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珍惡山縣(본백제진오산/진악산현) => 山縣(석산현) => 石城縣(석성현)
  • 縣(본백제열이현) => 悅縣(열성현) => 定山縣(정산현)
  • 城(본백제임존성) => 任郡(임성군) => 大興郡(대흥군).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古良夫里縣(본백제고량부리현) => 靑正縣(청정현) => 靑陽縣(청양현)
  • 山縣(본백제오산현) => 山縣(고산현) => 禮山縣(례산현)
  • 黃等也山郡(본백제황등야산군)=> 黃山郡(황산군) => 連山縣(련산현).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縣(본백제진현현) => 鎭縣(진령현) => 鎭岑縣(진잠현)
  • xx縣(본백제xx현) =>珍同縣(진동현)
  • 雨述郡(본백제우술군) => 比豐郡(비풍군) => 懷德郡(회덕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奴斯只縣(본백제노사지현) => 儒城縣(유성현)
  • 所比浦縣(본백제소비포현) => 赤鳥縣(적조현) => 德津縣(덕진현)
  • 結已郡(본백제결이군)=> 潔城郡(결성군).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縣(본백제신촌현)=> 新縣(신읍현) => 保寧縣(보녕현/보령현)
  • 沙尸良縣(본백제사시량현) => 良縣(신량현) => 黎陽縣(려양현/여양현)
  • 一牟山郡(본백제일모산군) => 山郡(연산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豆仍只縣(본백제두잉지현) => 燕岐縣(연기현)
  • 谷縣(본백제미곡현) => 谷縣(매곡현) =>懷仁縣(회인현)
  • 基郡(본백제기군) => 富城郡(부성군).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大兮縣(본백제성대혜현) => 泰縣(소태현)
  • 知六縣(본백제지육현) => 地育縣(지육현) => 北谷縣(북곡현)


  • xx郡(본백제xx군) => 湯井郡(탕정군) => 溫水郡(온수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牙述縣(본백제아술현) => 陰峯縣(음봉현) => 牙州(아주)
  • 屈直縣(본백제굴직현) => 祁梁縣(기량현) => 新昌縣(신창현)
  • 完山(본백제완산) => 完山州 => 全州(전주). 이 주에 속한 현은 셋이다.
  • 縣(본백제두이현) => 杜縣(두성현) => 伊城縣(이성현)
  • 仇知只山縣/仇智山縣(본백제구지지산/구지산현) => 金溝縣(금구현)
  • 高山縣(본백제고산현) => 高山縣(고산현)
  • 古龍郡(본백제고룡군) => 小京(소경) => 南原小京(남원소경) => 南原府(금남원부)
  • 大尸山郡(본백제대시산군) => 大山郡(대산군) => 泰山郡(금태산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본백제정촌) => 井縣(정읍현)
  • 縣(본백제빈굴현) => 斌縣(빈성현) => 仁義縣(인의현)
  • 西伊縣(본백제야서이현) => 野西縣(야서현) => 巨野縣(거야현)
  • 古眇夫里郡/古沙夫里郡 (본백제고묘부리/고사부리군) => 古阜郡(고부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皆火縣(본백제개화현) => 扶寧縣(부녕현/부령현)
  • 欣良買縣(본백제흔량매현) => 喜安縣(희안현) => 保安縣(보안현)
  • 上柒縣(본백제상칠현) => 尙質縣(상질현)
  • 進仍乙郡(본백제진잉을군) => 進禮郡(진예군/진례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豆尸伊縣(본백제두시이현) => 伊城縣(이성현) => 富利縣(부리현)
  • 居縣(본백제거현) => 渠縣(청거현)
  • 川縣(본백제적천현) => 川縣(단천현) => 朱溪縣(주계현)
  • 德近郡(본백제덕근군) => 德殷郡(덕은군) => 德恩郡(덕은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知奈縣/加乙乃(본백제가지내/가을내현) => 津縣(시진현)
  • 良肖縣(본백제지량초현) => 良縣(여량현)
  • 只伐只縣(본백제지벌지현) => 雲梯縣(운제현)
  • 屎山郡(본백제시산군) => 臨陂郡(림피군/임피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甘勿阿縣(본백제감물아현) => 咸悅縣(함열현)
  • 馬西良縣(본백제마서량현) => 沃溝縣(옥구현)
  • 夫夫里縣(본백제부부리현) => 澮尾縣(회미현)
  • 碧骨縣(본백제벽골현) => 金堤郡(금제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豆乃山縣(본백제두내산현) => 萬頃縣(만경현)
  • 首冬山縣(본백제수동산현) => 平皐縣(평고현)
  • 乃利阿縣(본백제내리아현) => 利城縣(리성현/이성현)
  • 武斤縣(본백제무근촌현) => 武縣(무읍현) => 富潤縣(부윤현)
  • 道實郡(본백제도실군) => 淳化郡(순화군) => 淳昌縣(순창현).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礫坪縣(본백제력평현/역평현) => 磧城縣(적성현)
  • 堗坪縣(본백제돌평현) => 九皐縣(구고현)
  • 金馬渚郡(본백제금마저군) => 金馬郡(금마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所力只縣(본백제소력지현) => 沃野縣(옥야현)
  • 閼也山縣(본백제알야산현) => 山縣(야산현) => 朗山縣(랑산현)
  • 召渚縣/干召渚縣(본백제우소저현/간소저현) => 紆縣(우주현) => 紆州(우주)
  • 伯伊郡/伯海郡(본백제백이군/백해군) => 壁谿郡(벽계군) => 長溪縣(장계현).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難珍阿縣(본백제난진아현) => 鎭安縣(진안현)
  • 雨坪縣(본백제우평현) => 高澤縣(고택현) => 長水縣(장수현)
  • XX郡(본백XX제군) => 任實郡(임실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馬珍縣(본백제마돌/마진현) => 馬縣(마영현/마령현)
  • 居斯勿縣(본백제거사물현) => 靑雄縣(청웅현) => 巨寧縣(거녕현)
  • 武州(무주): 원래 백제의 땅(地)인데, 신문왕(神文王) 6년에 무진주/노지(武珍州/奴只)로 만들었고. 경덕왕(景德王)이 무주로 개칭한 것으로서. 지금의 광주(光州)이다. 이 주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未冬夫里縣(본백제미동부리현) => 玄雄縣(현웅현) => 南平郡(남평군)
  • 伏龍縣(본백제복룡현) => 龍山縣(룡산현/용산현). 지금은 옛 명칭으로 회복되었다 (今復故).
  • 屈支縣(본백제굴지현) => 祁陽縣(기양현) => 昌平縣(창평현)
  • 郡/夫沙(본백제분차군/부사) => 分郡(분령군) => 樂安都(락안도/낙안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助助禮縣(본백제조조례현) => 忠烈縣(충렬현) => 南陽縣(남양현)
  • 冬老縣(본백제동노현/동로현) => 兆陽縣(조양현)
  • 豆肹縣(본백제두힐현) => 薑原縣(강원현) => 荳原縣(두원현)
  • 比史縣(본백제비사현) => 栢舟縣(백주현) => 泰江縣(태강현)
  • 郡(본백제복홀군) => 寶郡(보성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馬斯良縣(본백제마사량현) => 代勞縣(대로현) => 會寧縣(회녕현/회령현)
  • 縣(본백제계천현) => 季縣(계수현) => 長澤縣(장택현)
  • 烏次縣(본백제오차현) => 烏兒縣(오아현) => 定安縣(정안현)
  • 古馬旀知縣/古馬未知縣(본백제고마며지현/고마미지현) => 馬縣(마읍현) => 遂寧縣(수녕현/수령현)
  • 子兮郡(본백제추자혜군) => 秋郡(추성군) => 潭陽郡(담양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菓支縣(본백제과지현) => 玉菓縣(옥과현)
  • 栗支縣(본백제율지현) => 栗原縣(율원현) => 原栗縣(원율현)
  • 月奈郡(본백제월내군/월나군) => 靈巖郡(영암군)
  • 奈夫里縣(본백제반내부리현/반나부리현) => 潘郡(반남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阿老谷縣(본백제아로곡현) => 野老縣(야로현) => 安老縣(안로현)
  • 古彌縣(본백제고미현) => 昆湄縣(곤미현)
  • 古尸伊縣(본백제고시이현) => 岬城郡(갑성군) => 長城郡(장성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丘斯珍縣(본백제구사진혜현) => 珍縣(진원현)
  • 所非兮縣(본백제소비혜현) => 森溪縣(삼계현)
  • 武尸伊郡(본백제무시이군) => 武靈郡(무령군) => 靈光郡(령광군/영광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上老縣(본백제상로현/상노현) => 長沙縣(장사현)
  • 毛良夫里縣(본백제모량부리현) => 高敞縣(고창현)
  • 松彌知縣(본백제송미지현) => 茂松縣(무송현)
  • 欿平郡/武平(본백제감평군/무평) => 平郡(승평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村縣(본백제원촌현) => 邑縣(해읍현) => 麗水縣(려수현/여수현)
  • 馬老縣(본백제마로현) => 晞陽縣(희양현) => 光陽縣(광양현)
  • 山縣(본백제돌산현) => 山縣(려산현/여산현). 지금은 옛 명칭으로 회복되었다 (今復故).
  • 欲乃郡(본백제욕내군) => 谷城郡(곡성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遁支縣(본백제둔지현) => 富有縣(부유현)
  • 仇次禮縣(본백제구차례현) => 禮縣(구례현)
  • 豆夫只縣(본백제두부지현) => 同福縣(동복현)
  • 尒陵夫里郡/仁夫里/竹樹夫里(본백제이릉부리/인부리/죽수부리군) => 陵郡(릉성군/능성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波夫里郡(본백제파부리군) => 富里縣(부리현) => 福城縣(복성현)
  • 仍利阿縣/海濱(본백제잉리아현/해빈) => 湄縣(여미현) => 和順縣(화순현)
  • 發羅郡(본백제발라군) => 錦山郡(금산군) => 羅州牧(라주목/나주목).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豆肹縣(본백제두힐현) => 會津縣(회진현)
  • 實於山縣(본백제실어산현) => 鐵冶縣(철야현)
  • 水川縣/水入伊(본백제수천현/수입이) => 艅艎縣(여황현)
  • 武郡(본백제도무군) => 武郡(양무군) => 道康郡(도강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西伊縣(본백제고서이현) => 固縣(고안현) => 竹山縣(죽산현)
  • 冬音縣(본백제동음현) => 耽津縣(탐진현)
  • 塞琴縣/捉濱(본백제색금현/착빈) => 浸溟縣(침명현) => 海南縣(해남현)
  • 黃述縣(본백제황술현) => 黃原縣(황원현)
  • 阿兮郡(본백제물아혜군) => 務郡(무안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屈乃縣(본백제굴내현) => 咸豐縣(함풍현)
  • 多只縣(본백제다지현) => 多岐縣(다기현) => 牟平縣(모평현)
  • 道際縣/陰海(본백제도제현/음해) => 海際縣(해제현)
  • 因珍島郡(본백제인진도군) => 珍島縣(진도현), 바다 섬이다.
  • 山縣/猿山(본백제도산현/원산) => 山郡(뢰산군/노산군) => 嘉興縣(금가흥현). 이 군에 속한 현은 첨탐현 하나이다. 바다 섬이다.
  • 買仇里縣(본백제매구리현) => 瞻耽縣(첨탐현) => 臨淮縣(림회현/임회현).바다 섬이다.
  • 阿次縣(본백제아차산현) => 壓郡(압해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阿老縣/葛草縣/阿老/谷野(본백제아로현/갈초현/아로/곡야) => 碣島縣(갈도현) => 六昌縣(육창현)
  • 古祿只縣/開要(본백제고록지현/개요) => 鹽海縣(염해현) => 臨淄縣(림치현/임치현)
  • 居知山縣/安陵(본백제거지산현/안릉) => 安波縣(안파현) => 長山縣(장산현)
  • 奈已郡(내이군/나이군)

신라

  • 상주(尙州) 주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昔里火縣(본석리화현) => 靑驍縣(청효현) => 今靑理縣(금청리현)
  • 已縣(본달이현)/多已(다이) => 仁縣(다인현)
  • 本知乃彌知縣(본지내미지현) => 化昌縣(화창현)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今未詳(금미상))
  • 本水酒郡(본수주군) => 醴泉郡(예천군) => 지금의 今甫州(금보주)이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本下枝縣(본하지현) => 永安縣(영안현) => 今豐山縣(금풍산현)
  • 本蘭山縣(본란산현) => 安仁縣(안인현)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今未詳(금미상))
  • 本近(본근) : 원래 근[건(巾)이라고도 한다] => 嘉猷縣(가유현)

品縣(품현) => 今山陽縣(금산양현)

  • 本赤牙縣(본적아현) => 殷正縣(은정현) => 今殷豐縣(금은풍현)
  • 本古陁耶郡(본고타야군) => 古昌郡(고창군) => 今安東府(금안동부).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一直縣(본일직현) => 直寧縣(직녕현) . 지금은 옛 이름을 다시 찾았다.
  • 本熱兮縣(본열혜현)/이혜(或云泥兮(혹운니혜) => 日谿縣(일계현)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 (今未詳(금미상))
  • 本仇火縣(본구화현)/고근(或云高近(혹운고근) => 高丘縣(고구현) 지금은 의성부(義城府)에 소속되어 있다.
  • 本召文國(본소문국) => 聞韶郡(문소군) => 義城府(금의성부).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本柒巴火縣(본칠파화현) => 眞寶縣(진보현) => 今甫城(금보성)
  • 阿火屋縣(본아화옥현)/병옥(幷屋) => 屋縣(비옥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阿尸兮縣(본아시혜현)/아을혜(阿乙兮) => 安賢縣(안현현) => 今安定縣(금안정현)
  • 武冬彌知(본무동미지)/갈동미지(曷冬彌知) => 密縣(단밀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善郡(본일선군) => 善郡(숭선군) => 今善州(금선주).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芼兮縣(본모혜현) => 孝靈縣(효령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尒同兮縣(이동혜현). 지금 분명치 않다.今未詳(금미상)
  • 本奴同覓縣(본노동멱현)/여두멱(如豆覓) => 軍威縣(군위현) .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甘文郡(치감문군)을 설치하였고 => 開寧郡(개녕군) : 개령군은 옛날 감문소국(甘文小國)이었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本今勿縣(본금물현)/음달(陰達) => 禦侮縣(어모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金山縣(금산현)
  • 本知品川縣(본지품천현) => 知禮縣(지예현/지례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茂縣(본무산현) => 茂縣(무풍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同郡(본길동군) => 同郡(영동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助比川縣(본조비천현) => 陽山縣(양산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召羅縣(본소라현) => 黃澗縣(황간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古尸山郡(본고시산군) => 管城郡(관성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所利山縣(본소리산현) => 山縣(리산현/이산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阿冬号縣(본아동호현) => 縣眞縣(현진현) => 今安邑縣(금안읍현)
  • 本三年山郡(본삼년산군) => 三年郡(삼년군) => 今保齡郡(금보령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薩買縣(본살매현) => 淸川縣(청천현) .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縣(본굴현) => 耆山縣(기산현) => 今靑山縣(금청산현)
  • 本古寧加耶國(본고영가야국)=> 古寧郡(고영군/고령군) => 爲古冬攬郡(위고동람군)/고릉현(古陵縣) => 今咸寧郡(금함영군/함령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加縣(본가해현) => 嘉縣(가선현) => 今加恩縣(금가은현)
  • 本冠縣(본관현)/관문현(冠文縣) => 冠山縣(관산현) => 今聞慶縣(금문경현)
  • 本虎縣(본호측현) => 虎縣(호계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答達匕郡(본답달비군)/답달(沓達) => 化寧郡(화영군/화령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주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 本刀縣(본도량현) => 道縣(도안현) => 今中牟縣(금중모현)
  • 置歃良州(치삽량주) => 良州(량주/양주). 이 주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 本居知火縣(본거지화현) => 巘陽縣(헌양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古金官國(고금관국)/가락국(伽落國)/가야(伽耶) => 金海小京(김해소경) => 今金州(금김주)
  • 本屈自郡(본굴자군) => 義安郡(의안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漆縣(본칠토현) => 漆縣(칠제현) => 今漆園縣(금칠원현)
  • 浦縣(본골포현) => 浦縣(합포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熊縣(본웅지현) => 熊縣(웅신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推火郡(본추화군) => 密城郡(밀성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이다.
  • 本西火縣(본서화현) => 尙藥縣(상약현) => 今靈山縣(금령산현/영산현)
  • 本推浦縣(본추포현)/죽산(竹山) => 密津縣(밀진현).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今未詳(금미상))
  • 烏也山縣(본오야산현)/구도(仇道)/오례산(烏禮山) => 烏丘山縣(오구산현). 지금은 청도군(淸道郡)에 병합되었다.
  • 山縣(본경산현) => 山縣(형산현). 지금은 청도군(淸道郡)에 병합되었다.
  • 率已山縣(본솔이산현) => 山縣(소산현). 지금은 청도군(淸道郡)에 병합되었다.
  • 本比自火郡(본비자화군)/비사벌(比斯伐) => 下州(하주) => 火王郡(화왕군) => 今昌寧郡(금창영군/창녕군). 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 本推良火縣(본추량화현)/삼량화(三良火) => 玄驍縣(현효현) => 今玄豐縣(금현풍현)
  • 本喟火郡(본위화군) => 壽昌郡(수창군) => 今壽城郡(금수성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句火縣(본달구화현) => 丘縣(대구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八居里縣(본팔거리현)/북치장리(北耻長里)/인리(仁里) => 里縣(팔리현) => 今八居縣(금팔거현)
  • 本多斯只縣(본다사지현)/답지(沓只) => 河濱縣(하빈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舌火縣(본설화현) => 花園縣(화원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압량 (押梁) => 獐山郡(장산군).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雉省火縣(본치성화현)/美里(미리) => 解顔縣(해안현) => 今仇史部曲(금구사부곡)
  • 本奴斯火縣(본노사화현) => 慈仁縣(자인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切也火郡(본절야화군) => 臨皐郡(림고군/임고군) => 今永州(금영주). 이 군에 속한 현은 다섯이다.
  • 長鎭縣(장진현). 지금의 죽장이부곡(竹長伊部曲)이다.
  • 골화(骨火) => 臨川縣(림천현/임천현).지금은 영주(永州)에 병합되었다.
  • 本刀冬火縣(본도동화현) => 道同縣(도동현).지금은 영주(永州)에 병합되었다.
  • 史丁火縣(본사정화현) => 新寧縣(신령현/신영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買熱次縣(본매열차현) => 黽白縣(민백현).지금은 신령현(新寧縣)에 병합되었다.
  • 本居漆山郡(본거칠산군) => 東萊郡(동래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大甑縣(본대증현) => 東平縣(동평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甲火良谷縣(본갑화량곡현) => 機張縣(기장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生西良郡(본생서량군) => 東安郡(동안군).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이 군에 속한 현은 하나이다.
  • 本于縣(본우화현) => 虞縣(우풍현).지금은 울주(蔚州)에 병합되었다.
  • 本毛火郡(본모화군)/문화(蚊化) => 臨關郡(림관군/임관군).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栗浦縣(본율포현) => 東津縣(동진현). 지금은 울주(蔚州)에 병합되었다.
  • 屈阿火村(굴아화촌) => 河曲縣(하곡현). 지금의 울주(蔚州)이다.
  • 本退火郡(본퇴화군) => 義昌郡(의창군) => 今興海郡(금흥해군).이 군에 속한 현은 여섯이다.
  • 本比火縣(본비화현) => 安康縣(안강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只沓縣(본지답현) => 鬐立縣(기립현) => 今長鬐縣(금장기현)
  • 本東仍音縣(본동잉음현) => 神光縣(신광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斤烏支縣(본근오지현) => 臨汀縣(림정현/임정현) => 今迎日縣(금영일현)
  • 本芼兮縣(본모혜현)/화계(化雞) => 杞溪縣(기계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음즙벌국(音汁伐國) => 音汁火縣(음즙화현).지금은 안강현(安康縣)에 병합되었다.
  • 구도성경內(仇刀城境內): 솔이산성(率伊山城)/경산성(驚山城), 가산현(茄山縣), 오도산성(烏刀山城) => 大城郡(대성군).지금은 청도군(淸道郡)에 병합되었다.
  • 本惡支縣(본악지현) => 約章縣(약장현).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本毛只停(본모지정) => 東畿停(동기정).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本西兄山郡(본서형산군) => 商城郡(상성군).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本道品兮停(본도품혜정) => 南畿停(남기정).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本根乃停(본근내정) => 中畿停(중기정).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本豆良彌知停(본두량미지정) => 西畿停(서기정).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本雨谷停(본우곡정) => 北畿停(북기정).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本官阿良支停(본관아량지정)/북아량(北阿良) => 莫耶停(막야정).지금은 경주(慶州)에 병합되었다.
  • 康州(강주) => 今晉州(금진주).이 주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加主火縣(본가주화현) => 嘉壽縣(가수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屈村縣(굴촌현). 지금 분명치 않다 (今未詳).
  • 전야산군 (轉也山郡) => 南海郡(남해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內浦縣(본내포현) => 蘭浦縣(란포현/난포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平西山縣(본평서산현)/서평(西平) => 平山縣(평산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韓多沙郡(본한다사군) => 河東郡(하동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省良縣(성량현) => 今金良部(금김량부)
  • 本小多沙縣(본소다사현) => 嶽陽縣(악양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浦村縣(본포촌현) => 河邑縣(하읍현).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今未詳).
  • 本古自郡(본고자군) => 固城郡(고성군).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蚊火良縣(문화량현). 지금 분명치 않다(今未詳).
  • 本史勿縣(본사물현) => 泗水縣(사수현) => 今泗州(금사주)
  • 本一善縣(본일선현) => 尙善縣(상선현) => 今永善縣(금영선현)
  • 아시량국(阿尸良國)/阿那加耶(아나가야) => 咸安郡(함안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召彡縣(본소삼현) => 玄武縣(현무현).지금의 소삼 부곡(召彡部曲)이다.
  • 本獐含縣(본장함현) => 宜寧縣(의영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裳郡(상군) => 巨濟郡(거제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巨老縣(본거로현) => 鵝洲縣(아주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買珍伊縣(본매진이현) => 溟珍縣(명진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松邊縣(본송변현) => 南垂縣(남수현).지금은 다시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 本闕支郡(본궐지군) => 闕城郡(궐성군) => 今江城縣(금강성현).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赤村縣(본적촌현) => 丹邑縣(단읍현) => 今丹溪縣(금단계현)
  • 本知品川縣(본지품천현) => 山陰縣(산음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速含郡(본속함군) => 天嶺郡(천령군) => 今咸陽郡(금함양군).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母山縣(본모산현)/아영성(阿英城)/아막성(阿莫城) => 雲峰縣(운봉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馬利縣(본마리현) => 利安縣(리안현/이안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居烈郡(본거렬군)/居陁(거타) => 居昌郡(거창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南內縣(본남내현) => 餘善縣(여선현) => 今感陰縣(금감음현)
  • 本加召縣(본가소현) => 咸陰縣(함음현). 지금은 옛 이름으로 회복되었다.
  • 本大加耶國(본대가야국)/內珍朱智(내진주지) => 大加耶郡(대가야군) => 高靈郡(고령군).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이 군에 속한 현은 둘이다.
  • 本赤火縣(본적화현) => 冶爐縣(야로현). 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加尸兮縣(본가시혜현) => 新復縣(신부현).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今未詳).
  • 本大良州郡(본대량주군) => 江陽郡(강양군) => 今陜州(금합주). 이 군에 속한 현은 셋이다.
  • 本三支縣(본삼지현)/麻杖(마장) => 三岐縣(삼기현).지금도 그대로 부른다.
  • 本草八兮縣(본초팔혜현) => 八谿縣(팔계현) => 今草谿縣(금초계현)
  • 本辛尒縣(본신이현)/朱烏村(주오촌)/泉州縣(천주현) => 宜桑縣(의상현) => 今新繁縣(금신번현)
  • 本一利郡(본일리군)/里山郡(리산군) => 星山郡(성산군) => 今加利縣(금가리현).이 군에 속한 현은 넷이다.
  • 本斯同火縣(본사동화현) => 壽同縣(수동현).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今未詳).
  • 本大木縣(본대목현) => 谿子縣(계자현) => 今若木縣(금약목현)
  • 本本彼縣(본본피현) => 新安縣(신안현) => 今京山府(금경산부)
  • 本狄山縣(본적산현) => 都山縣(도산현). 지금은 위치가 분명치 않다(今未詳).

남북국 시대

신라는 통일 전 주-군-현 제도로 지방을 통치했다. 통일 후 이 5주를 확대해 9주 5소경으로 지방을 나누어 다스렸다. 5소경은 지금의 광역시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며 9주는 지금의 도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이다. 특이하게도 향리의 세력 확대를 막기 위해 상수리제도가 있었다.

고려


조선

팔도(八道)는 조선시대 행정구역을 이르는 명칭이다. 1413년 태종한반도를 여덟 개의 로 분할하였다. 팔도는 조선시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대체적으로 그 행정구역을 유지하였다. 팔도의 각 도에는 관찰사를 두었다.



고종 33년 (1896년)에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팔도 중의 다섯 개의 도가 남·북도로 나뉘어 모두 13개의 도로 행정구역이 나뉘었다. [1]

  • 건양 원년(1896년) : 전국을 ‘한성부 13도 7부 1목 331군’ 체제로 변경.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현재

주석

  1. 칙령(勅令) 제36호,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地方制度官制改正件〕〉(《고종실록33년 8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