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론에서 확률 과정(確率過程, 영어: stochastic process)은 시간의 진행에 대해 확률적인 변화를 가지는 구조를 의미한다.
확률 과정의 개념은 일련의 확률 변수들의 족으로, 또는 함수 값의 확률 변수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두 정의는 서로 동치이다. (이 두 정의의 동치는 집합의 범주가 데카르트 닫힌 범주이기 때문이다.)
확률 과정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확률 공간
- 집합 . 이를 지표 집합(指標集合, 영어: index set)이라고 한다.
- 가측 공간 . 이를 표본 공간(標本空間, 영어: sample space)이라고 한다.
- 함수 , . 또한, 각 에 대하여, 는 가측 함수이다. 즉, 는 확률 변수이다.
만약 모든 에 대하여 가 같은 확률 분포를 갖는다면, 확률 과정을 정상 과정(正常過程, 영어: stationary process)이라고 한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집합 . 이를 지표 집합(指標集合, 영어: index set)이라고 한다.
- 가측 공간 . 이를 표본 공간(標本空間, 영어: sample space)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를 정의역으로, 를 공역으로 하는 모든 함수들의 집합
-
을 생각하자. 여기에 다음과 같은 부분 집합 를 생각하자.
-
이제, 에 로 생성되는 시그마 대수 를 부여하면, 이는 가측 공간을 이룬다.
확률 공간 위의, 지표 집합 의, 표본 공간 에 대한 확률 과정은 값의 확률 변수 이다.
확률 과정에 대하여, 확률 동치(確率同値,, 영어: stochastic equivalence)와 구별 불가능(區別不可能, 영어: indistinguishability)이라는 두 동치 관계가 존재한다. 전자는 후자보다 더 거친 동치 관계이다. 즉, 서로 구별 불가능한 두 확률 과정은 서로 확률 동치이지만,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못한다.
같은 지표 집합 · 표본 공간 · 확률 공간을 갖는 두 확률 과정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와 가 서로 확률 동치(確率同値, 영어: stochastically equivalent)라고 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즉, 이며 인 가측 집합 이 존재한다. 는 에 의존할 수 있다.
같은 지표 집합 · 표본 공간 · 확률 공간을 갖는 두 확률 과정 ,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와 가 서로 구별 불가능(區別不可能, 영어: indistinguishable)라고 한다.
- 이다. 즉, 임의의 에 대하여 이며 인 가측 집합 이 존재하며, 은 에 의존하지 않는다.
분해 가능 공간 을 지표 공간으로, 보렐 가측 공간 를 표본 공간으로 갖는 확률 과정 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데이터 이 존재한다면, 를 분해 가능 확률 과정(영어: separable stochastic process)이라고 한다.
- 는 의 조밀 집합이며, 가산 집합이다.
- 임의의 열린집합 과 닫힌집합 에 대하여, . 즉, 어떤 가측 집합 에 대하여, 이며 이다.
다시 말해, 분해 가능 확률 과정의 경우, 그 성질이 가산 개의 확률 변수 만으로부터 결정된다.
두브 정리(영어: Doob’s theorem)에 따르면, 임의의 확률 과정은 어떤 분해 가능 확률 과정과 확률 동치이다. (이는 조지프 두브가 증명하였다.)
확률 과정 가 주어졌을 때, 이를 통하여 위의 측도를 로 밀어서 위의 확률 측도를 정의할 수 있다. 즉,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함수 공간 는 확률 공간을 이룬다. 이를 확률 과정 의 법칙(法則, 영어: law)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위너 확률 과정의 법칙은 위너 공간의 확률 측도이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확률 공간
- 완비 거리 공간
- 확률 과정
- 양의 실수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
그렇다면, 와 확률 동치이며, 거의 확실하게 연속 함수인 확률 과정 이 존재한다. 이를 콜모고로프 연속성 정리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