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nahoru, domu]

본문으로 이동

십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십익(十翼)은 중국의 공자가 지었다고 전하는, 역(易)의 뜻을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상하(上下) 편(篇)의 단전(彖傳), 상하의 상전(象傳), 상하의 계사전(繫辭傳), 문언전(文言傳), 서괘전(序卦傳), 설괘전(說卦傳), 잡괘전(雜卦傳)의 10편(十篇)으로 이루어져 있다.[1] 역경 64괘가 상경(上經) 30괘 및 하경(下經) 34괘로 나뉘어 있어[2] 십익도 따라서 상하 편으로 나뉜다. 이러한 십익은 때로는 단전(彖傳), 대상(大象)과 소상(小象)의 상전,문언전(文言傳), 계사전(繫辭傳)상하, 설괘전(說卦傳), 서괘전(序卦傳)상하[3], 잡괘전(雜卦傳)의 10편(十篇)등의 조합일수도 있다.

주역이라 불리는 역경주석 및 해설서이다.

단전

[편집]

64괘의 괘는 각각 팔괘 중 하나인 상괘(上卦)와 하괘(下卦)로 이루어져 있다. 단전(彖傳)은 대체적으로 이러한 상괘(上卦)와 하괘(下卦)가 어우러진 괘의 의미를 보여준다.

상전

[편집]

기호 ‘-’을 양효(陽爻),기호 ‘--’를 음효(陰爻)로 하고, 각 효를 3개로 조합해 만든 8개를 만든 팔괘, 이 3개의 효로 만든 괘를 다시 각 두 개의 짝인 상괘(上卦)와 하괘(下卦)인 6개의 효로 만든 64개의 각 괘상별로 그 뜻을 붙인 것을 상전이라 한다. 이때 효를 밑에서부터 세며 초효(初爻),이효(二爻),삼효(三爻),사효(四爻),오효(五爻),상효(上爻)라고 부른다.[4] 상전(象傳)은 단전처럼 상괘와 하괘의 어우러진 상형을 다루지만 또한 초효부터 상효까지를 각 효 별로 논하기도 한다. 이때 ‘-’ 양효(陽爻)를 '구(九)'로 표기하고 ‘--’ 음효(陰爻)를 '육(六)'으로 표기한다.

제63괘 수화 기제(水火 旣濟)[5]

밑바닥부터

初九
六二
九三
六四
九五
上六

주역 문언전

[편집]

64괘중 제1괘 건괘 와 제64괘 곤괘 2괘 만이 문언전을 가지고 있다.


주역 본문과 십익 배치

[편집]

역경의 상경 30괘와 하경34괘 및 십익 배치

第二十一卦 噬嗑 괘(卦) 이름
괘 형상
噬嗑 亨。利用獄。
괘 사(辭)
단(彖)
대상(大象)
初九
六二
九三
六四
九五
上六
효(爻) 사(辭)

소상 (小象)

  • 제1건괘와 제2곤괘만 문언전(文言傳)이 있다. 이렇게 역경 상경과하경의 64괘에는 십익중 단전(彖傳)상(上),하(下) 그리고 대상과 소상 그리고 문언전 5편이 들어있다. 나머지5편 계사전 상,하 및 서괘전, 설괘전,잡괘전은 별도로 구성된다.

주역 계사전

[편집]

〈계사전〉은 고대 중국 사회에서 점서 일종으로서 기능해 온 《주역》이 새롭게 해석될 토대를 제공했다. 즉 〈계사전〉상(上),하(下) 편은 《주역》의 난해하고 심원한 세계로 이끌어 줄 철학적·총론적 글인 셈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우리말샘) 십익(十翼)
  2. (자하역전) 周易上經 第三卷, 周易下經 第四卷 (관례)
  3. (자하역전)
  4. (우리말샘) 효(爻)
  5. (위키문헌 역경易經)https://ko.wikisource.org/wiki/%EC%97%AD%EA%B2%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