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nahoru, domu]

본문으로 이동

쿠샨 제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쿠샨 제국
산스크리트어: कुषाणसाम्राज्यम्
박트리아어: Κοϸανο
코이네 그리스어: Βασιλεία Κοσσανῶν
30년~375년
서기 2세기 경 인도의 형세. 북부에 카니슈카 대제의 치세 동안 최대 범위로 확장된 쿠샨 제국의 영토(녹색)이 보인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쿠샨 제국이 동쪽 멀리 갠지스 평원까지, 더 나아가 바라나시나 심지어는 파탈리푸트라까지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고 생각한다.
서기 2세기 경 인도의 형세. 북부에 카니슈카 대제의 치세 동안 최대 범위로 확장된 쿠샨 제국의 영토(녹색)이 보인다.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쿠샨 제국이 동쪽 멀리 갠지스 평원까지, 더 나아가 바라나시나 심지어는 파탈리푸트라까지 광범위하게 확장되었다고 생각한다.
수도푸루샤푸라
탁샤실라
마투라
정치
정치체제전제군주제
황제
30년 ~ 80년

127년 ~ 151년

350년 ~ 375년

쿠줄라 카드피세스 (초대)

카니슈카

키푸나다 (말대)
역사
역사적 시대고전 고대
 •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월지족 통일

 • 제국의 붕괴 및
쿠샨-사산 왕국의 성립

 • 사산, 굽타, 에프탈
의한 최종 소멸
30년


3세기 초


375년
지리
위치인도 아대륙 북서부
200년 어림 면적2,000,000km2
(최대면적 최소추정치)

2,500,000km2
(최대면적 최대추정치)
인문
공용어코이네 그리스어[n 1]
(127년까지 공용어)

박트리아어[n 1]
(127년부터 공용어)
공통어간다라어
소그드어
화레즘어
스키타이어
산스크리트어
데모님쿠샨인 (월지인)
경제
통화쿠샨 드라크마
종교
종교불교
힌두교
조로아스터교
기타
현재 국가파키스탄 파키스탄
인도 인도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이전 국가
다음 국가
서사트라프
북사트라프
인도-그리스 왕국
인도-파르티아 왕국
인도-스키타이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사산 제국
굽타 제국
에프탈
쿠샨-사산 왕국
키다라
나가 왕조

쿠샨 제국[n 2]은 1세기 초 박트리아 지역의 월지족에 의해 건국된 혼성 유목제국이다. 그것은 현재의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란 동부와 인도 북부의 많은 지역을 아울렀으며,[3][4][5] 적어도 바라나시 인근의 사케타사르나트까지 확장되었다. 최근 이 근처에서 쿠샨 황제인 카니슈카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비문이 발견되었다.[n 3]

쿠샨족은 아마도 중국 북서부(신장간쑤)에서 이주하여 고대 박트리아에 정착한 토하라인도유럽인 유목민인 월지 연맹체를 형성하는 다섯 부족 중 하나였을 것이다.[9][10][11][12][13][14][15] 그 왕조의 창시자인 쿠줄라 카드피세스그리스-박트리아 이후 이 지역에 널리 퍼져 있던 그리스의 문화 사상과 도상학을 따랐고, 힌두교 시바파의 열렬한 추종자였다.[16] 나중에 쿠샨의 두 왕인 비마 카드피세스바수데바 2세 또한 힌두교를 후원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쿠샨족은 불교의 큰 후원자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카니슈카 황제를 시작으로 조로아스터교적인 요소를 신전이나 사원 등에 사용했다.[17] 그들은 불교가 중앙아시아와 중국으로 전파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때로는 "팍스 쿠샤나Pax Kushana로 묘사되는 200년간의 평화기를 이끌었다.[18]

쿠샨족은 처음에는 행정적인 목적으로 그리스어를 사용했지만, 곧 이것은 박트리아어로 대체되었다. 카니슈카 시기에 쿠샨의 국경은 카라코람산맥을 넘어 북쪽으로 더욱 팽창했다. 간다라에서 중국으로 가는 직항로는 1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쿠샨의 지배 하에 있었고, 여행객들로 하여금 험준한 산맥들을 횡단하는 여행을 장려했으며 대승불교의 중국 전파를 촉진시켰다. 쿠샨 왕조는 로마 제국, 사산조 페르시아, 악숨 제국, 그리고 한나라와 외교적인 접촉을 가졌다. 알랭 다닐루에 따르면 쿠샨 제국은 로마 제국과 중국 사이 무역 관계의 가운데에 위치했으며, "한동안 주요 문명들의 중심이었다"고 여겨진다.[19] 수많은 철학, 예술 및 과학의 발전이 쿠샨 영내에서 이루어졌지만, 오늘날 제국의 역사에 대한 유일한 텍스트 기록은 다른 국가들의 언어, 특히 중국어로 된 비문과 설명에서 비롯된다.[20]

서기 3세기에 쿠샨 제국은 반독립적인 여러 왕국들로 분열되었는데, 이들은 서쪽에서 침입해온 사산인들에게 함락되어 소그디아나, 박트리아, 간다라 지역에 쿠샨-사산 왕국을 형성했다. 4세기에는 또 다른 인도계 왕조인 굽타 제국이 동쪽에서 압박을 가했다. 마침내 쿠샨족과 쿠샨-사산족의 마지막 왕국들은 나중에 키다라에프탈로 알려진 북쪽의 유목민 침략자들에 의해 완전히 압도되어 사라졌다.[21]

기원[편집]

노인-울라 고분에서 발견된, 월지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묘사된 양탄자. 기원전 1세기에서 서기 1세기 사이의 것이다.[22][23]

중국 문헌에서 '귀상(貴霜 Guìshuāng, 상고한어: *kuj-s [s]raŋ)'으로 알려진 쿠샨족은 사실 월지족의 다섯 민족 중 하나를 일컫는 말이었다..[24] 많은 학자들은 월지족이 인도유럽인 계통의 집단이라고 믿고 있으며,[11][25] 일부는 더 나아가 이들이 특정 토하라인 집단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을 제안한다.[26][11][12][13][14][15][27] 이란인, 특히 사카 출신이라는 가설도 학계에서 어느 정도 지지를 받고 있다.[28][29] 또 다른 사람들은 월지가 원래 이란계 유목민이었으나 그 후 정착한 토하라인들에게 부분적으로 동화되어 이란과 토하라인 요소를 모두 포함했을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한다.[30]

사기』와 『한서』에는 월지인들이 유목생활을 했으며 오늘날의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동부와 간쑤성 북서부의 초원 지대에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대체로 하서회랑타림분지 부근에 거주했다는 것이 되는데, 이곳은 유목집단의 근거지가 되기에는 너무나도 협소하기 때문에 몇몇 학자들은 이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래서 어떤 학자는 월지인들이 사실은 광대한 몽골 초원을 지배하고 있었고, 그곳을 근거지로 삼아 하서회랑을 포함하는 실크로드를 장악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중국 고대 문헌에는 '우씨의 옥(禺氏之玉)'이라는 말이 등장하는데, 한 설에 따르면 우씨禺氏와 월지月氏는 사실 동일한 음을 옮긴 것이고, 월지인들이 호탄에서 나오는 을 중국으로 중계했기 때문에 생긴 말이라는 설명이 있다. 또한 '월지'가 즈구차zgudscha를 옮긴 말이고, 이는 곧 고대 아시리아 자료의 스쿠자Skuja와 상통하니 이것이 스키타이를 지칭한다는 설도 있다. 이러한 주장들이 맞는지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월지와 오손 등은 모두 알타이계가 아니라 인구어계 종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환공관중에게 묻기를, "나는 천하의 진귀한 물자를 화폐로 쓰는 일곱 계책이 있다고 들었는데, 그에 대해 들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관중이 대답하기를, "음산(陰山)의 옥돌이 그 하나이며, 연의 자산(紫山)의 은(銀)이 그 하나이며, 발(發)과 조선(朝鮮)에서 나는 무늬 있는 가죽이 그 하나이며, 여수(汝水)·한수(漢水)의 우구(右衢)에서 나는 황금이 그 하나이며, 강양(江陽)의 진주가 그 하나이며, 진(秦) 명산(明山)의 증청(曾靑)이 그 하나이며, 우씨(禺氏)의 변산(邊山)에 나는 옥이 그 하나입니다. 이는 물자가 적은 것으로써 많은 것을 통제하고 좁은 지역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을 통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천하의 재정은 모두 경중에 달려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 『관자』 제23계량권 제78호, 관의 경중 제 11호 중[31][32]

이에 비해, 월지가 강성해진 흉노匈奴에게 밀려나 서쪽으로 이주했다는 사실에는 대부분 이견이 없다. 이것은 오늘날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대체로 몇 단계에 걸쳐 일어났던 것으로 이해된다. 먼저 기원전 176년 묵특의 공격을 받은 월지인들은 본거지인 하서회랑을 떠나 톈산 북방의 일리 강 유역으로 이주하여 '대월지大月氏'라 알려지게 되었고, 잔류한 집단은 '소월지小月氏'로 불렸다. 기원전 160년대에 들어서자 월지는 묵특의 후계자 노상의 공격을 받게 되었고, 그들의 왕이 사로잡혀 두개골이 '술잔'으로 바뀌는 참화를 당했다. 기원전 139년에 한 무제가 흉노와의 대대적인 전쟁에 앞서 월지와 동맹을 맺기 위해 장건을 서역으로 파견했을 당시, 장건이 흉노에서 포로 생활을 하는 동안 흉노인들이 "월지는 우리의 북방에 있다"고 한 말을 들은 것으로 보아, 그때까지 월지는 여전히 일리 강 유역에 머물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장건이 기원전 129년 흉노를 탈출하여 월지를 찾아갔을 때 그들은 이미 거기에 없었다. 장건이 흉노에 잡혀 있는 동안, 월지는 흉노와 오손의 공격을 받아 일리 강 유역에서 더 서쪽으로 이주하여 아무다리야 북방으로 옮겨 갔다.

大月氏國, 治監氏城, 去長安萬一千六百里. 不屬都護. 戶十萬, 口四十萬, 勝兵十萬人. 東至都護治所四千七百四十里, 西至安息四十九日行, 南與罽賓接. 土地風氣, 物類所有, 民俗錢貨, 與安息同. 出一封橐駝. 大月氏本行國也, 隨畜移徙, 與匈奴同俗. 控弦十餘萬, 故彊輕匈奴. 本居敦煌·祁連間, 至冒頓單于攻破月氏, 而老上單于殺月氏, 以其頭爲飲器, 月氏乃遠去, 過大宛, 西擊大夏而臣之, 都嬀水北爲王庭. 其餘小衆不能去者, 保南山羌, 號小月氏. 大夏本無大君長, 城邑往往置小長, 民弱畏戰, 故月氏徙來, 皆臣畜之, 共稟漢使者. 有五翎: 一曰休密翎侯, 治和墨城, 去都護二千八百四十一里, 去陽關七千八百二; 二曰雙靡翎侯, 治雙靡城, 去都護三千七百四十一里, 去陽關七千七百八十二; 三曰貴霜翎治護澡城, 去都護五千九百四十里, 去陽關七千九百八十二; 四曰肸頓翎侯, 治薄茅城, 去都護五千九百六十二里, 去陽關八千二百二; 五曰高附翎侯, 治高附城, 去都護六千四十一里, 去陽關九千二百八十三里. 凡五翎侯, 皆屬大月氏.

대월지국(大月氏國). 도읍은 감씨성(監氏城)[n 4]이고, 장안에서 11,600리 떨어져 있다.[n 5] 도호에 복속하지 않으며, 호수는 10만, 인구는 40만, 병사는 10만 명이다. 동쪽으로 4,740리 가면 도호의 치소에 이르고, 서쪽으로 49일 거리를 가면 안식에 이른다. 남으로 계빈에 접한다. 토지, 기후, 물산, 민속, 화폐는 안식과 동일하다. 단봉낙타가 나온다. 대월지는 본시 이동생활을 하며 가축을 따라 옮겨다니고 흉노와 풍속이 같다. 활을 당길 수 있는 사람이 10여만 명이어서, 그런 까닭에 강성함을 믿고[n 6] 흉노를 가벼이 여겼다. 처음에는 둔황기련 사이에 살았으나, 묵특선우가 월지를 공파하고 노상선우가 월지의 왕을 죽여 그 머리로 술을 마시는 그릇을 삼기에 이르자, 이에 월지는 멀리 떠나 대완을 지나서 서쪽으로 대하를 공격하여 그들을 신하로 삼고, 규수의 북쪽에 왕정을 두었다. 그 나머지 [서쪽으로] 갈 수 없었던 소수의 무리는 남산의 강족에게 보호를 받으며 소월지라 불리운다.

대하에는 본디 대군장이 없었고 성읍들은 때때로 군소의 수령(小長)을 두었다. 주민들은 약해서 전투를 두려워했기 때문에, 월지가 이주해 오자 모두 그에 신복하였다.[n 7] 그들은 모두 한나라 사신들에게 [물자를] 공급[稟]해 준다. 다섯 명의 흡후(翎侯)[n 8]가 있는데, 첫째는 휴밀(休密)[n 9] 흡후이고 도읍은 화묵성(和墨城)[n 10]이며, 도호에서 2,841리, 양관에서 7,802리 떨어져 있다. 둘째는 쌍미(雙靡)[n 11] 흡후이고 도읍은 쌍미성(雙靡城)이며, 도호에서 3,741리, 양관에서 7,782리 떨어져 있다. 셋째는 귀상(貴霜)[n 12] 흡후이고 도읍은 호조성(護澡城)[n 13]이며, 도호에서 5,940리, 양관에서 7,982리 떨어져 있다. 넷째는 힐돈(肸頓)[n 14] 흡후이고 도읍은 박모성(薄茅城)[n 15]이며, 도호에서 5,962리, 양관에서 8,202리 떨어져 있다. 다섯째는 고부(高附)[n 16] 흡후이고 도읍은 고부성(高附城)이며, 도호에서 6,041리, 양관에서 9,283리 떨어져 있다. 대저 다섯 흡후는 모두 대월지에 복속해 있다.

— 『전한서』 96권 서역전 66제 중 일부 발췌

윌지족은 기원전 135년경에 박트리아(아프가니스탄 북부와 우즈베키스탄)에 도달했고, 그곳에 있던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을 무너뜨린 뒤 '왕정王政'을 두고 휴밀(休密), 귀상(貴霜), 쌍미(雙靡), 힐돈(肸頓), 고부(高附)[n 17]의 다섯 제후국을 세워 일대를 지배하였다. 이후에도 그들은 서쪽의 파르티아 제국까지 침입하여 당시 파르티아 샤한샤 아르타바노스 1세를 전사시키고[33][34] 한동안 국경 지대를 위협하기도 했다. 한편 쫓겨난 그리스-박트리아인들은 힌두쿠시(오늘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인더스 분지(오늘날 파키스탄과 인도)의 남동쪽으로 재정착하여 인도-그리스 왕국의 서부 지역을 점령했다.

남아시아에서의 쿠샨 황제들은, 자주 그들의 동전에 ΚΟϷΑΝΟ("코샤노")라는 왕조 이름을 새겨넣었다. 마투라의 것과 같은 여러 브라흐미 문자 비문들은 쿠샨 황제를 , Ku-ṣā-ṇa ("쿠샤나").[2][35]라고 언급했다. 후대의 인도 문헌들은 쿠샨족을 "투루쉬카(Turushka)"라고 언급했는데, 아마도 이것은 그들이 쿠샨족을 튀르크인들과 혼동했기 때문이거나, 아니면 7세기 무렵에 토하리스탄 전역이 서돌궐인들의 지배 아래로 넘어갔기 때문일수도 있다. 다만 쿠샨족 이후 등장한 키다라알촌, 에프탈을 부르는 명칭에서도 '투루쉬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이 명칭은 좀 더 광범위하게 중앙아시아의 유목집단들을 가르키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다. 윙크에 따르면, "오늘날 그들의 중앙아시아 기원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어떠한 역사학자들도 그들을 튀르크계, 혹은 몽골계나 으로 간주하지 않는다"고 한다.

초기 활동[편집]

쿠샨 초상화
월지족 왕자의 두상(칼차얀 궁전, 우즈베키스탄)[36]
스스로의 주화에 자신을 "쿠샨"이라고 칭한 최초의 왕, 헤라이오스(재위 1–30)
서기 2세기 무렵에 제작된 쿠샨족 초상화. 현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쿠샨 황제 비마 카드피세스(재위 100-127)의 초상화

기원전 2~1세기 무렵 박트리아소그디아나 일대에 쿠샨족이 존재했다는 흔적이 오늘날 일부분 발견되었으며, 그곳에서 사카족들은 이들에게 밀려 더 남쪽으로 이동했다. 이곳의 고고학적인 구조물들로는 타흐티 상긴, 수르흐 코탈(기념비적인 사원), 칼차얀 궁전 등이 있다. 아이 하눔 등 고대 헬레니즘 도시 유적에는 쿠샨족이 요새를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다양한 조각품과 프리즈가 많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그들의 기마궁수들을 대표하며,[37] 특히, 인공적으로 변형된 두개골을 가진 칼차얀의 쿠샨 왕자와 같은 여러 남성형 작품들이 유명하다. 이러한 특징들은 당대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에게서 널리 행해지던 풍습이었다.[38][39] 칼차얀의 조각품 중 일부는 사카에 맞서 싸우는 쿠샨족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대체로 월지인들을 장엄하게 묘사한 반면, 사카족은 덮수룩한 옆수염을 가지고 기괴한 표정을 짓고 있는 등 다소 부정적으로 표현한 점이 없지 않아 있다.[40]

한편, 오늘날 고고 발굴을 통해 쿠샨족이 지배한 중앙아시아의 몇몇 거점들에서 도시생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 남부의 칼차얀, 호레즘 지방의 토프라크 칼라, 소그디아나 지방의 탈리 바르주 등이 대표적이다. 그 결과 호레즘, 자라프샨 계곡, 타지키스탄, 바흐쉬 계곡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관개 농경이 이루어졌다. 농경 기술은 비교적 초기 단계였으나 탈리 바르주에서 발견된 유물에서 철제 쟁기 사용이 확인되며, 기원전 1세기 무렵에 이미 맷돌을 사용했음도 확인된다. 당시의 건물이나 유물들을 볼 때, 수공업 및 공구 제작 기술 역시 상당히 발전된 수준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1]

두각을 드러내다[편집]

여러 기록에서 확인되는 쿠샨의 최초 통치자이자 첫번째 왕은 헤라이오스였다. 그는 자신의 동전에 스스로를 "τυρουο οςηυσον 쿠샨족의 폭군 헤라이오스"로 칭했는데, 동전 초상화에는 인공적인 두개골 변형의 흔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는 그리스인들의 동맹이었을지도 모르며, 실제로 같은 양식의 동전을 제작했다. 헤라이오스는 아마도 쿠샨 초대 황제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아버지로 추정되는데, 몇몇 학자들은 그의 존재를 의심하여 "헤라이오스"가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다른 이름이었을수도 있다고 주장한다.[출처 필요]

기원전 1세기부터 귀상족은 다른 월지 부족들을 제치고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마침내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지도 아래 나머지 네 부족을 통일하여 긴밀한 연합체를 구성하였다.[42] 귀상(貴霜) 이라는 이름은 서양에서는 '쿠샨'으로 알려졌지만, 중국인들은 계속해서 이들을 '대월지'라고 불렀다. 반고의 『한서』는 "쿠샨족의 족장인 구취각 (쿠줄라 카드피세스)가 어떻게 다른 월지족 흡후들을 항복시키고 쿠샨 제국을 세웠는지에 대해 묘사"하며, 『후한서』는 서기 125년에 장군 반용이 황제에게 보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쿠샨 제국의 형성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다.

大月氏國. 居藍氏城, 西接安息, 四十九日行, 東去長史所居六千五百三十七里, 去洛陽萬六千三百七十里. 戶十萬, 口四十萬, 勝兵十餘萬人. 初, 月氏爲匈奴所滅, 遂遷於大夏, 分其國爲休密·雙靡·貴霜·肹頓·都密, 凡五部翎侯. 後百餘歲, 貴霜翎侯丘就卻攻滅四翎侯, 自立爲王, 國號貴霜(王). 侵安息, 取高附地. 又滅濮達·罽賓, 悉有其國. 丘就卻年八十餘死, 子閻膏珍代爲王. 復滅天竺, 置將一人監領之. 月氏自此之後, 最爲富盛, 諸國稱之皆曰貴霜王. 漢本其故號, 言大月氏云.

대월지국(大月氏國). 거처는 남씨성(藍氏城)이다. 서쪽으로 안식과 접해 있는데 49일 거리이다. 동쪽으로 장사의 거처와는 6,537리 떨어져 있고, 낙양과는 16,370리 떨어져 있다. 호구는 10만, 인구는 40만, 병사는 10여 만 명이다. 처음에 월지흉노에게 멸망당하자 마침내 대하로 이주하고, 나라를 휴밀(休密)·쌍미(雙靡)·귀상(貴霜)·힐돈(肹頓)·도밀(都密)로 나누어 모두 다섯 부분[五部]의 흡후(翎侯)가 되었다. 그 후 100여 년이 지나서 귀상흡후인 구취각(丘就卻)이 [다른] 4명의 흡후를 멸하고 스스로 왕이 되어 국호를 귀상이라고 하였다. 안식을 침공하고 고부의 땅을 취하였다. 또한 복달(濮達)과 계빈을 멸하고 그 나라를 모두 차지하였다. 구취각은 80여 세에 사망했고, 그 아들 염고진(閻膏珍)이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다시 천축을 멸하고 장군 1인을 두어 그곳을 감령케 하였다. 월지는 그 뒤로 극도로 부강해졌다. 여러 나라들은 모두 그것을 칭하여 ‘귀상왕(貴霜王)’이라 하지만, 한나라는 그 옛날의 칭호를 써서 ‘대월지’라고 부른다.

— 『후한서』96권 서역전 66제[43][44]

스키타이계 부족들로부터 점차 이 지역을 장악하면서, 쿠샨족은 전통적으로 간다라(파키스탄포토하르~카이베르 파크툰크와주 사이)으로 알려진 남부 지역으로 팽창하였으며, 베그람샤르사다에 쌍둥이 수도를 건설했는데, 이것은 각각 카피사와 푸쉬클라바티로 알려졌다.

쿠샨 문자(넓은 열)가 포함된 그리스 문자(좁은 열)

쿠샨족은 박트리아를 정복하고 그곳의 헬레니즘 문화적 요소들을 채택했다. 그들은 그리스 문자를 자신들의 언어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했으며(ex. "쿠샨"과 같이 "sh" 등의 문자를 새로 개발), 그리스 동전들을 모방하여 주화를 주조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동전에 그리스어 전설을 차용하였는데, 이것은 (카니슈카 치세의 초기 몇 년까지) 팔리어 전설과 결합된 것이었다. 카니슈카 치세의 중기 이후, 그들은 쿠샨어 전설(변형된 그리스어 문자)를 그리스어 전설(그리스어 문자)프라크리트어 전설(카로슈티 문자)과 결합하여 사용했다.

흥미롭게도, 서기 2세기에 그리스인들과 쿠샨족 사이에 협력이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있다. 분명히, 수르흐 코탈에 있는 쿠샨 사원과 같은 주요 건축물을 세운 사람들은 팔라메데스라는 그리스인이었다. "ΔΙΑ ΠΑΛΑΜΕΔΟΥΣ 디아 팔라메도스", 즉 "팔라메데스를 통해/팔라메데스에 의해"로 해석될 수 있는 의미의 그리스어 비문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쿠샨 시대까지 헬레니즘 인구가 여전히 박트리아에 남아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며, 그리스 문자가 박트리아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었는지도 설명해준다.[45]

그리스어 전설과 헬레니즘 문화권의 신 헬리오스가 있는 카니슈카 통치 초기의 금화. 120년 무렵에 제작된 것이다.
앞면: 화려하게 꾸며진 쿠샨식 코트와 긴 부츠를 신고 서 있는 카니슈카. 그의 어깨 부분에서 불꽃이 뿜어져 나오고 있는데, 그는 아마도 왼손에 무언가를 든 채로 제단에 제물을 바치는 중일 것이다. 한편 주화 가장자리에는 그리스 문자로:
ΒΑΣΙΛΕΥΣ ΒΑΣΙΛΕΩΝ ΚΑΝΗϷΚΟΥ
바실레우스 바실레이온' 카니슈코이'
"왕중의 왕 카니슈카의 [주화]"
라고 새겨져 있다.
뒷면: 한 인물이 곧게 서서 오른쪽으로 축원하는 모습을 헬레니즘 양식으로 표현했다. 오른쪽 가장자리에는 그리스 문자로:
ΗΛΙΟΣ
헬리오스
라 새겨져 있으며, 왼쪽에는 카니슈카의 모노그램(탐가)가 있다.

또한 쿠샨족은 "조로아스터교와 이 지역의 떠오르는 두 신흥 종교인 그리스 신화불교를 포함하여, 수많은 지역적인 신앙과 관습"들을 채택했다. 비마 탁토 시대부터, 많은 쿠샨인들은 불교 문화의 측면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이집트인들처럼 그리스 문화의 잔재들을 흡수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헬레니즘화되었다. 카니슈카 대제의 아버지이자 쿠샨의 위대한 황제인 비마 카드피세스는 그 기간 동안 주조된 동전들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힌두교의 한 분파인 시바파를 신봉하였다. 다음 쿠샨 황제들은 불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시바파를 포함한 매우 다양한 신앙들을 대표하였다.

쿠샨족의 통치는 인도양 항해 무역과 오래 전부터 문명화된 인더스 계곡을 통한 실크 로드의 상업을 연결시켰다. 그들이 전성기를 구가할 무렵, 쿠샨 제국의 국경은 오늘날의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을 포함했으며 심지어 인도 북부아랄해까지 도달했다. 이처럼 광대한 영토의 느슨한 통합과 상대적인 평화는 장거리 무역을 장려하고, 중국산 비단을 로마로 실어날랐으며, 번영하는 도시 중심지의 연속체를 만들어냈다.

영토 확장[편집]

카니슈카 대제 치하의 쿠샨 영토(전체 국경) 및 최대 지리적 범위.[46] 특히 라바탁 비문에는 쿠샨의 지배 영역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47] [n 18][48] 타림 분지와 같은 북부로의 확장은 주로 동전 발견물과 중국 연대기 기록에 의해 제안된다.[49]

로젠필드(Rosenfield)는 중앙아시아의 수르흐 코탈(Surkh Kotal)에서부터 베그람(Begram), 쿠샨족의 여름 수도인 페샤와르, 그리고 카니슈카 시기의 수도였던 탁실라와 겨울 수도였던 마투라에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쿠샨족의 장기간 통치에 대한 고고학적인 증거가 있다고 언급한다. 한편 쿠샨족은 '크샤트라파(브라흐미 문자:, 사트라프)'와 '마하크샤트라파(브라흐미 문자: , 대사트라프)'라는 새로운 통치 체제를 인도에 도입시켰다.[50]

쿠샨족이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는 또 다른 지역으로는 호라즘과 그 수도 토프라크 칼라, 카우샴비(알라하바드 대학 발굴), 산치사르나트(쿠샨 왕들의 이름과 통치 날짜가 적힌 비문 발견)[51], 말와, 마하라슈트라,[52] 오디샤(쿠샨식 주화와 물품 보관소 발견) 등이 있다.[51]

서기 2세기경 유라시아의 4대 제국(로마, 파르티아, 쿠샨, 한나라)를 보여주는 지도. 한동안 쿠샨 제국은 "주요 문명의 중심지"였다.[19]

20세기 인도 민족주의자들 중에서도 대인도 이론 주장자들의 말에 따르면, 서기 1세기의 쿠샨 침입은 인도 아대륙에서 동남아시아인도인들이 이주한 것에 대한 근거 가운데 하나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전혀 없기 때문에 별로 신빙성이 없었다..[53]

1993년에 발견된 라바탁 비문은 카니슈카 시대 초기의 상황을 언급한 『후한서(後漢書)』 및 『위략(魏略)』, 그리고 비문들의 기록과 어느정도 일치한다. 즉 서기 2세기 초에 쿠샨의 통치가 인도 북부의 중심지로 확장되었다는 것이다. 비문의 4행부터 7행까지는 카니슈카의 지배하에 있던 도시들을 설명하고 있는데,[n 19] 그 중 우자인, 쿤디나, 사케타, 카우샴비, 파탈리푸트라, 참파(본문에서는 참파가 카니슈카의 소유였는지 아니면 그 너머에 있었는지 명확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54][n 18][55][56] 서기 472년에 만들어진, 중국어 번역본을 통해 널리 알려진 불교 연대기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산스크리트어 번역: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는 카니슈카에 의한 파탈리푸트라 정복을 언급한다. 한편 나르마다강 남쪽의 파우니에서는 루피암마라는 이름의, 2세기 무렵에 제작된 석각이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쿠샨의 지배가 북인도를 넘어 그보다 더 남쪽, 즉 중인도 인근까지 확장되었음을 암시하지만, 이것은 대체로 서사트라프에 의해 달성되었을 수도 있다.

동쪽에서는 서기 3세기 후반에 후비슈카의 장식된 동전이 부처의 "계몽왕좌"라는 명목 아래 다른 금 장식품들과 함께 부다가야에서 봉헌되었는데, 이를 통해 그 무렵의 쿠샨이 이 지역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쳤던 것을 알 수 있다. 쿠샨족의 동전은 중앙아시아부터 벵골까지 광범위하게 발견되며, 고대 벵골의 사마타타 왕조는 카니슈카의 동전을 복제하여 사용했지만, 아마도 이것은 단지 상업적인 영향 때문이었을 것이다. 쿠샨 주화를 모방한 동전들은 심지어 동부 오리사주에서 풍부하게 발견되었다.

서쪽에서는 쿠샨의 영역이 발루치스탄(파라타라자), 파키스탄 서부, 아프가니스탄(힌두쿠시),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을 포함했다. 투르크메니스탄 동부의 메르브는 쿠샨의 대표적인 불교 도시였다.

1세기 무렵, 쿠줄라 카드피세스타림 분지에 군대를 파견하여 중국의 침공에 저항해온 도시국가 쿠차를 지원했으나 얼마 있지 않아 퇴각했다. 그러나 그 세기의 후반까지, 쿠샨족들은 북쪽으로 군사적으로 팽창하고 타림 분지 일부를 점령함으로써, 실크로드로 대표되는 수익성이 좋은 중앙아시아 상업의 중심에 놓였다. 특히 그들은 중국과 상호적인 관계를 맺어 군사적으로 협력했는데, 예를 들어 서기 84년 한나라 장군 반초카슈가르 왕과 그를 지원하는 강거를 격퇴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준 일이나, 1년 뒤인 85년에 중국 군대가 투르판을 점령할 때 지원을 해준 것 등이 있다.

군사적인 지원을 한 것에 더불어, 쿠샨 황제 비마 탁토는 한나라 공주와의 결혼 및 양국과의 혼인 동맹을 요청했는데, 한나라 조정이 이를 거절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서기 90년에 7만 군대를 이끌고 타림 분지로 진군했다. 하지만 이들은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매우 지쳐 있었으며, 설상가상으로 대규모의 중국군이 그곳에서 대기하고 있었다. 아마도 그들은 패배를 겪었으나 다행히 후퇴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타림 분지 전역이 반초가 이끄는 한나라 군대에게 정복되었으며, 그곳에는 서역도호부가 설치되었다. 쿠샨 제국은 후한 화제(89–106)에게 경의를 표하는 서신을 보냈으나 후한 안제(106–120) 시대 동안 그들의 인질을 카슈가르의 왕으로 봉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으며, 그 뒤 몇차례 동안 한나라와 군사적인 충돌을 벌였다. 나중에 카니슈카 휘하의 쿠샨족은 타림 분지로 재차 진출하여 중국인들과 다양한 접촉을 했으며, 카슈가르, 야르칸드, 호탄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쿠샨 성곽[편집]

여러 쿠샨 요새가 오늘날 알려져 있는데, 특히 캄피르 테페처럼 헬레니즘 박트리아 시대의 요새 위에 종종 재건되기도 했다. 궁수의 사격을 위한 화살 모양의 구멍이 인상적이다.

역사[편집]

쿠샨의 통치자들은 서기 30년경부터 375년의 키다라 침입까지 약 3세기 동안 기록되었다. 그들은 서사트라프, 사타바하나, 그리고 초기 굽타 황제들과 비슷한 시기에 통치했다.

쿠줄라 카드피세스 (c. 30~80)[편집]

인도-그리스 국왕헤르메우스 소테르의 주화를 모방한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테트라드라크마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월지족 통일 및 주변 지역 정복은 아마도 서기 45년에서 60년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그의 후손들에 의해 급속하게 팽창한 쿠샨 제국의 기초를 마련했다.

쿠줄라 카드피세스는 광범위하고 지속적으로 동전을 발행했으며, 적어도 2명(사다슈카나, 비마 탁토)의 아들들을 두었다.

그는 카니슈카 대제의 증조부였다.

비마 탁토 또는 사다슈카나 (c. 80~95)[편집]

비마 탁토(상고한어: 閻膏珍 얀가오젠)은 라바탁 비문에 언급되어 있다(또 다른 아들 사다슈카나는 오디의 왕 세나바르만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음). 그는 비마 카드피세스와 카니슈카 1세의 전임자였으며,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쿠샨 제국을 남아시아의 북서쪽으로 확장시켰다.

비마 카드피세스(c. 95~127)[편집]

비마 카드피세스(쿠샨어: Οοημο Καδφισης)은 서기 95~127년경의 쿠샨 황제로, 사다슈카나의 아들이자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손자이며, 카니슈카 대제의 아버지였다.

비마 카드피세스는 아프가니스탄과 인도 북서부 방면으로 영토를 더욱 확장시켰으며, 여러 지역에서 일련의 동전을 발행하고 비문을 새기도록 했다. 그는 기존의 동화 및 은화 외에도 새롭게 금화를 발행했다.

카니슈카(c. 127~150)[편집]

쿠샨의 네 번째 황제인 카니슈카의 통치는 서기 127년부터 약 23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의 즉위와 동시에, 카니슈카는 남쪽으로는 우자인과 쿤디나, 동쪽으로는 파탈리푸트라에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사실상 북인도 전역)을 통치했다.

마투라의 카니슈카 상
마투라 박물관에 있는, 긴 코트와 부츠를 신고 메이스을 들고 있는 카니슈카 상. 코트 밑부분을 따라 비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브라흐미 문자 가운데에 있다:

Mahārāja Rājadhirāja Devaputra Kāṇiṣka
"위대한 왕, 왕중의 왕, 신의 아들 카니슈카".[58]
마투라 미술, 마투라 미술관

ταδo αβo ιωγo χþoν(o) αβo [ι] ιυνδo φρoαγδαζo αβo þατριαγγε þαoρε αγιτα κoo-
1년째에, 그것이 인도 *(크샤트리아 왕국) 전체에 선포되었다.

αδηανo oδo ι oα(σ)πo oδ(o) [ι ζ]αγηδo oδo ι κωζ(αµ)βo oδo ι παλαβoτρo oιδρα α αβo ι ζιριτ-
그 지역은 쿠나데아노(쿤디나)와 오제노(우자인)와 자게다(사케타)와 코잠보(카우샴비)와 팔라보트로(파탈리푸트라)와 지리탐보(스리캄파)까지.

αµβo σιδηιανo πρoβαo oδo µανδαρσι ζαopανo αβo ι σινδo ωσταδo oτη(ι)α αρoυγo
그가 유언장에 언급한 통치자와 다른 *(중요한 사람들) [그들이 가지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는 모든 것을 바쳤다.

— 라바탁 비문 5~7행 번역문

그의 영토는 푸루샤푸라(현재 파키스탄 북서부의 페샤와르)와 인도 북부의 마투라, 이 두 수도에서 관리되었다. 그는 또한 (라자 다브 왕과 함께) 펀자브바틴다에 엄청난 고대 요새 킬라 무바라크를 건설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쿠샨족은 또한 그리스에서 중국에 이르는 예술 작품들로 구성된 "베그람 보물"이 발견된 바그람(그 당시에는 카피사로 알려짐)에 여름 수도를 두었다. 라바탁 비문에 따르면, 카니슈카는 사다슈카나의 손자이자 비마 카드피세스의 아들이며, 쿠줄라 카드피세스의 증손자였다. 카니슈카의 통치는 이제 일반적으로 해리 포크의 획기적인 연구에 기초하여, 대개 127년 무렵에 시작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의 시대는 쿠샨 왕국이 쇠퇴할 때까지 약 1세기 동안 쿠샨인들에 의해 달력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후비슈카(c. 150~180)[편집]

후비슈카(쿠샨어: Οοηϸκι 오오이슈키)는 쿠샨의 제 5대 황제이자 카니슈카의 후계자로, 부친이 사망한 후(150년 무렵의 것으로 보이는 가장 상태가 좋은 증거로 추정) 바수데바 1세가 왕위를 계승하기까지 약 30년 동안 쿠샨 제국을 통치했다. 그의 통치는 제국의 긴축과 통합의 시기였다. 특히 그는 재위 초기에 마투라 방면에 대한 더 큰 통제권을 행사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들였다.

바수데바 1세(c. 190~230)[편집]

바수데바 1세(쿠샨어: Βαζοδηο 바조데오, 중국어: 波調 보다이아오)는 마지막 "위대한 쿠샨인"이었다. 그는 마지막으로 위대했던 쿠샨 황제로, 그의 치세의 끝은 사산 페르시아인들의 북서 인도 침입 그리고 서기 240년경 현재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북서부 일부를 아우르는 쿠샨-사산 왕조 또는 쿠샨샤의 창건 시기와 일치한다.

바시슈카(c. 247~267)[편집]

바시슈카카니슈카 2세 이후 20년간 통치한 것으로 보이는 쿠샨 황제였다. 그의 통치는 마투라, 간다라, 산치에서 기록되어 있으며, 22년 비문(Vakushana의 산치 비문)과 28년 비문(Vasaska-Vasishka의 산치 비문)을 비롯하여 그의 이름으로 새겨진 몇 개의 비문들은 카니슈카 2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쿠샨국[편집]

서부(박트리아쿠샨-사산 왕조에게 상실)와 동부(마투라굽타 제국에게 상실)에서의 일련의 영토적 축소에 이어, 몇몇의 "소쿠샨인"들이 알려져 있는데, 그들은 수도를 탁실라에 두고 펀자브 일대를 지배했다. 소쿠샨국의 통치는

까지 이어졌으며, 아마도 그들은 350년대 무렵 키다라의 파괴적인 침입으로 쿠샨 통치의 마지막 잔재가 사라지기 전까지 굽타 제국의 봉신이었다.

쿠샨 신들[편집]

비록 중국인들은 쿠샨을 두고 여전히 '대월지'라고 칭했지만, 이것을 근거로 쿠샨족이 월지의 후예라고 단언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의 개방성 및 연결성, 그리고 다양한 민족 및 국가들과의 교류와 전쟁을 거치면서 쿠샨 문화가 복합적인 양상을 띠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쿠샨 화폐에는 중앙아시아의 유목 문화적 요소, 그리스-박트리아 왕국헬레니즘적 요소, 여기에 인도 현지의 문화까지 혼재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이를 통해 쿠샨족의 종교적인 판테온은 약 30개 이상으로 매우 다양했으며, 그리스페르시아, 인도의 신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왕조 초기에는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으로 그리스 신들의 이름이 그리스어로 자주 동전에 새겨졌으나, 카니슈카의 통치 기간 동안 동전의 언어는 박트리아어로 바뀌었다(다만 그리스 문자가 사라지지는 않았음). 후비슈카의 다음 시대부터 쿠샨 제국이 쇠락하기 시작하면서, 동전에 등장하는 신들은 두 명밖에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

주화에 묘사된 이란 신들은 다음과 같다.

다음은 그리스 신화 및 헬레니즘적 혼합주의와 관련된 신들이다.

다음은 인도 토착 신앙과 관련된 신들이다.[68]

  • 봇도 (Βοδδο): 부처
  • 샤카마노 봇도 (Ϸακαμανο Βοδδο): 석가모니불 Kanishka I and Buddha Sakyamuni
  • 메트라고 봇도 (Μετραγο Βοδδο): 미륵/보살 Coin of Kanishka with the Bodhisattva Maitreya "Metrago Boudo".
  • 마세노 (Μαασηνο): 마하세나 Huvishka with Maasena and attendants
  • 스칸도-코마로 (Σκανδο-kομαρο): 스칸다-쿠마라 Huvishka with Skando-Komaro and Bizago
  • 비자고: 비샤하[68] Huvishka with Skando-Komaro and Bizago
  • 옴모: 시바의 배우자 우마야.[68] Coinage of Kushan ruler Huvishka with, on the reverse, the divine couple Ommo ("ΟΜΜΟ", Umā) holding lotus flower, and Oesho ("ΟΗϷΟ", Shiva) with four arms holding attributes. Circa 150-180 CE.
  • 오에쇼 (Οηϸο): 오랫동안 시바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으나, 오늘날에는 아베스타 신인 바유로도 확인된다.[69][70][71][72][73]
  • 후비슈카의 이름으로 발행된 두 개의 동화에는 "가네샤"라는 명칭이 새겨져 있지만, 그 초상화에는 전형적인 형태의 가네샤 대신 안에 끈과 화살이 든 통과 활을 들고 있는 궁수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루드라를 묘사한 것이지만, 이 두 동전의 경우에는 시바를 상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쿠샨과 불교[편집]

문화[편집]

튜닉을 입고 부츠를 신은 쿠샨 왕조 사람. 2세기 간다라의 돌 조각.

처음 쿠샨 왕조는 그들이 정복한 박트리아의 그리스 문화를 받아들였다. 그들은 그리스 문자를 썼고, 그리스를 본따 동전을 만들었다.

쿠샨 왕조는 인도양을 통한 무역과 실크 로드를 연결해 주는 통로 역할을 하였다.

쿠샨 왕조는 동서양의 문화를 포용하여 그리스 문화와 불교 문화가 융합된 그리스식 불교가 발달하게 하였는데, 이는 사방으로 퍼져 중국에는 대승불교로서 전해졌다. 쿠샨의 카니슈카 1세(2세기경)는 인도의 아소카, 하르샤메난드로스 1세와 함께 불교를 부흥시킨 왕 중 하나였다. 그는 카슈미르에서 불교 회의를 소집했는데, 이는 대승불교가 아함경에서 분리해 새로운 분파로 시작했다고 공포했다.

외교[편집]

로마와의 접촉[편집]

로마에서는 2세기에 박트리아 제국에서 온 사절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아마 쿠샨 왕조를 두고 쓴 기록일 것이다.

天竺國一名身毒, 在月氏之東南數千里[...] 又有細布·好毾㲪·諸香·石蜜·胡椒·薑·黑鹽. 和帝時, 數遣使貢獻, 後西域反畔, 乃絕.

천축국. 일명 신독이라고도 하며 월지의 동남쪽 수천 리 되는 곳에 있다...(중략) 서쪽으로는 대진과 통하여 대진의 진기한 물건들이 있다. 또한 곱고 가늘게 짜여진 삼베(細布)와 좋은 양탄자(毾㲪),[n 20] 여러 향료와 석밀[n 21], 후추(胡椒), 생강(薑), 검은 소금(黑鹽) 등이 있다.

— 『후한서』118권 서역전 78제

大秦國一名犂鞬, 以在海西, 亦云海西國. 地方數千里, 有四百餘城[...] 與安息·天竺交巿於海中, 利有十倍.

대진국.[n 22] 일명 이건이라고도 한다. 바다 서쪽에 있기 때문에 해서국이라고도 부른다...(중략) 안식, 천축과 바다 가운데에서 교역하며 그 이익은 10배가 남는다.

— 『후한서』118권 서역전 78제

후한서에는 로마와 인도 북동부의 교역에 대한 기록이 있다. "Tiazhu(인도 북동부)는 대진(로마)와 통한다. 대진에는 면직물, 카펫, 향수, 설탕 덩어리, 후추, 생강, 검은 소금과 같은 것이 있다."

바그람은 로마와 무역하는 항구로, 주로 유리 공예품을 수입했다.

중국과의 접촉[편집]

1세기와 2세기 동안 쿠샨 왕조는 북동쪽으로 타림 분지를 점령하고 타림분지 동쪽으로 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국과 몇 차례 전쟁을 하였다.

이후에는 문화적인 교류가 있었는데, 지루가참과 같은 쿠샨의 승려가 낙양과 같은 도시에 불교를 전파했다.

같이 보기[편집]

메모[편집]

각주[편집]

내용주 1[편집]

  1. 쿠샨족은 처음에는 행정적인 목적으로 그리스어를 유지했지만 곧 박트리아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박트리아의 라바탁 비문(1993년 발견, 2000년 해독)은 쿠샨 황제 카니슈카가 행정 언어로써 그리스어(이오니아어)를 폐기하고 박트리아(아리아어)를 채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1]

  2. It began about 127 CE.[6][7][8]
  3. 감씨監氏(kam-zie), ‘람씨藍氏’ 혹은 ‘람시藍市’라고도 표기. Chavannes는 바다흐샨을, Tarn은 박트리아의 알렉산드리아를, Pulleyblank는 발흐 동쪽에 있는 Khulm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Hulsewé는 남부 타지키스탄에 있는 Garm일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하였다(Hulsewé 1979 : 119).
  4. 監氏城에서 捐毒國까지 17日半(1,750리)이고, 捐毒國에서 장안까지 9,860리라고 하였다. 따라서 본문의 11,600리는 11,610리의 오류일지도 모른다.
  5. 故彊 : 「大宛列傳」에는 ‘故時彊’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故恃彊’의 오류이다. 위 본문의 ‘故彊’도 가운데 恃를 삽입해야 할 것이다.
  6. 이 내용은 한 명의 국왕이 통치하던 박트리아(大夏)와는 잘 맞지 않는다. 고대 그리스의 지리·역사학자인 스트라본은 스키타이계 유목집단인 아시오이Asianoi, 파시아노이Pasianoi, 토하로이Tokharoi, 사카라울로이Sakaraulai 등이 북방에서 내려와 박트리아 왕국을 붕괴시켰다고 했다. 아마도 이것은 그리스-박트리아 왕국이 멸망하고, 그 일대가 여러 지방 세력으로 나뉘어진 이후의 사정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학자들은 이들 유목집단들을 월지, 오손, 사카 등이 아닐까 추정하기도 한다.
  7. ‘翎侯’는 “翎即翕字”라고 한 顔注처럼 ‘翕侯(xiəp-g’u)’로 읽어야 할 것이다. Pulleyblank에 따르면 이 단어는 토하라어에서 ‘땅, 지방’을 뜻하는 yapoy 혹은 ype라는 말과 연관된 것이라고 하는데, 대체로 학자들은 翕侯가 '야브구'를 옮긴 말로 추정하고 있다(Hulsewé, 1979 : 121). yabghu(葉護)는 shad(設, 啜)와 함께 돌궐제국 시대에 qaghan 다음의 고위 관칭호였다. 大月氏에 복속한 이 다섯 翕侯는 아무다리야 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의 와칸 계곡에서 시작하여 서쪽으로 발흐에 이르기까지 점재點在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翕侯->yabghu의 어원에 대해서는 Frye(1962 : 356-358) 참조.
  8. 휴밀休密(xiəu-miet), Marquart에 따르면 와칸 일대를 지칭한다. 이하 각 흡후와 관련된 명칭과 그 위치에 관한 설명은 Hulsewé(1979 : 121-123) 참조하십시오. 그러나 이에 대한 비판은 Daffinà(1982 : 321-323)를 보십시오.
  9. 화묵和墨(ɣuâ-mək), 프톨레미의 『지리학』에 나오는 Komedae의 음역으로 보인다
  10. 쌍미雙靡(șang-mjie), 치트랄 지방으로 추정된다.
  11. 귀상貴霜(kjwei-șiang), 쿠샨의 음역
  12. 호조護澡(ɣuo-tsâu), Pulleyblank에 따르면 이 단어의 고음古音, (옛 발음)은 hwax-tsau로 Wakhshab를 음역한 것이고, 이것은 오늘날 아무다리야 상류의 바흐시 강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13. 힐돈肸頓(xiet-twən), 판지시르 강가에 있는 파르완으로 추정된다.
  14. 박모薄茅(p’âk-mau), 유태산(2005 : 124)은 이것이 박제薄第의 오류로 보고, 바다흐샨 일대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정했다.
  15. 高附(kâu-b’iu), 카불의 음차로 추정. 『후한서』에는 다섯 번째 흡후로 고부高附가 아니라 도밀都密을 꼽았다. 왕선겸王先謙 역시 대월지가 고부를 장악한 것은 안식安息을 격파한 뒤의 일이니, 고부를 다섯 개의 흡후 안에 포함시키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한 바 있다. Pulleyblank는 도밀古音의 고음古音, (옛 발음)을 tah-mlit로 복원했는데, 이것은 Tarmita를 옮긴 말이며 다시 이것은 오늘날 테르메즈를 지칭한다고 추정했다.
  16. 몇몇 학자들은 다섯 번째 흡후로 고부高附가 아니라 도밀都密을 꼽았다.
  17. 해독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 이 분야의 전문가 Sims-Williams & Cribb (1995–1996)의 해석을 참조하십시오.
  18. 라바탁 비문 전문의 번역은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Mukherjee (1995). 이 번역은 다음과 같이 인용됩니다: Goyal (2005), 88쪽.
  19. 毾㲪(t’âp-təng, 탑등): 李賢注는 3세기에 씌여진 『埤蒼』을 인용하여 ‘毛席’이라 하였고, 또한 『釋名』을 인용하여 “大牀 앞에 비치하는 小榻 위에 까는 것”이라는 설명을 붙였다. 毾㲪은 페르시아어 tapetan을 옮긴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오늘날의 카펫과 같은 것이다. Schafer 1963: 198~199 참조.
  20. 우리나라에서는 돌 사이에 벌이 모아놓은 질좋은 꿀의 의미로 사용되나, 중국에서는 대개 冰糖(사탕)의 의미로 쓰인다. Schafer 1963: 152~154 참조.
  21. 일반적으로 중국에서 로마 제국을 가리킨 명칭.

참조주[편집]

  1. Falk 2001, 133쪽.
  2. Rosenfield 1967, 7
  3. Anonymous. “The History of Pakistan: The Kushans”. 2015년 7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4. 《Si-Yu-Ki: Buddhist Records of the Western World. The mission of Sung-Yun and Hwei-Săng [by Hsüan-chih Yang] Ta-T'ang si-yu-ki. Books 1–5》. 번역 Samuel Beal. London: Kegan Paul, Trench, Trubner & Co. 1906. 
  5. Hill 2009, 29, 318–350쪽.
  6. Falk 2001, 121–136쪽.
  7. Falk 2004, 167–176쪽.
  8. Hill 2009, 29, 33, 368–371쪽.
  9. Runion, Meredith L. (2007). 《The history of Afghanistan》. Westport: Greenwood Press. 46쪽. ISBN 978-0-313-33798-7. The Yuezhi people conquered Bactria in the second century BCE. and divided the country into five chiefdoms, one of which would become the Kushan Empir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unification, these five tribes combined under the one dominate Kushan tribe, and the primary rulers descended from the Yuezhi. 
  10. Liu, Xinru (2001). 〈The Silk Road: Overland Trade and Cultural Interactions in Eurasia〉. Adas, Michael. 《Agricultural and pastoral societies in ancient and classical history》.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56쪽. ISBN 978-1-56639-832-9. 
  11. Narain 1990, 152–155쪽 "[W]e must identify them [Tocharians] with the Yueh-chih of the Chinese sources... [C]onsensus of scholarly opinion identifies the Yueh-chih with the Tokharians... [T]he Indo-European ethnic origin of the Yuehchih = Tokharians is generally accepted... Yueh-chih = Tokharian people... Yueh-chih = Tokharians..."
  12. Beckwith 2009, 380쪽 "The identity of the Tokharoi and Yüeh-chih people is quite certain, and has been clear for at least half a century, though this has not become widely known outside the tiny number of philologists who work on early Central Eurasian and early Chinese history and linguistics."
  13. Pulleyblank 1966, 9–39쪽
  14. Mallory 1997, 591–593쪽 "[T]he Tocharians have frequently been identified in Chinese historical sources as a people known as the Yuezhi..."
  15. Loewe & Shaughnessy 1999, 87–88쪽 "Pulleyblank has identified the Yuezhi... Wusun... the Dayuan... the Kangju... and the people of Yanqi... all names occurring in the Chinese historical sources for the Han dynasty, as Tocharian speakers."
  16. Dani, Ahmad Hasan; Masson, V. M.; Harmatta, J.; Puri, Baij Nath; Etemadi, G. F.; Litvinskiĭ, B. A. (1992–2005).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Paris: UNESCO. 310쪽. ISBN 92-3-102719-0. OCLC 28186754. Contrary to earlier assumptions, which regarded Kujula Kadphises as Buddhist on the basis of this epithet [dharmasthita- "steadfast in the Law"], it is now clear from the wording of a Mathura inscription, in which Huvishka bears the same epithet satyadharmasthita that the kingdom was conferred upon him by Sarva and Scamdavira (Candavira), that is, he was a devotee of Siva. 
    The Mathura inscription in question is documented in Lüders 1961, p.138ff
  17. Grenet, Frantz (2015). 〈Zoroastrianism among the Kushans〉. Falk, Harry. 《Kushan histories. Literary sources and selected papers from a symposium at Berlin, December 5 to 7, 2013》. Bremen: Hempen Verlag. 
  18. Aldrovandi, Cibele; Hirata, Elaine (June 2005). “Buddhism, Pax Kushana and Greco-Roman motifs: pattern and purpose in Gandharan iconography”. 《Antiquity》 (영어) 79 (304): 306–315. doi:10.1017/S0003598X00114103. ISSN 0003-598X. S2CID 161505956. 
  19. Daniélou, Alain (2003). 《A Brief History of India》. Simon and Schuster. 111쪽. ISBN 9781594777943. 
  20. Hill 2009, 36 and notes쪽.
  21. “Afghanistan: Central Asian and Sassanian Rule, ca. 150 B.C.-700 A.D.”.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1997. 2013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6일에 확인함. 
  22. Yatsenko, Sergey A. (2012). “Yuezhi on Bactrian Embroidery from Textiles Found at Noyon uul, Mongolia” (PDF). 《The Silk Road》 10. 
  23. Francfort, Henri-Paul (2020년 1월 1일). “Sur quelques vestiges et indices nouveaux de l'hellénisme dans les arts entre la Bactriane et le Gandhāra (130 av. J.-C.-100 apr. J.-C. environ)”. 《Journal des Savants》 (영어): 26–27. 
  24. http://www.metmuseum.org/TOAH/HD/kush/hd_kush.htm
  25. Roux 1997, 90쪽 "They are, by almost unanimous opinion, Indo-Europeans, probably the most oriental of those who occupied the steppes."
  26. Loewe & Shaughnessy 1999, pp. 87–88 "Pulleyblank has identified the Yuezhi... Wusun... the Dayuan... the Kangju... and the people of Yanqi... all names occurring in the Chinese historical sources for the Han dynasty, as Tocharian speakers."
  27. Mallory & Mair 2008, 270–297쪽.
  28. Enoki, Koshelenko & Haidary 1994, 171–183쪽; Puri 1994, 184–191쪽
  29. Girshman, Roman. “Ancient Iran: The movement of Iranian people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5년 5월 29일에 확인함. At the end of the 3rd century, there began in Chinese Turkistan a long migration of the Yuezhi, an Iranian people who invaded Bactria about 130 bc, putting an end to the Greco-Bactrian kingdom there. (In the 1st century bc they created the Kushān dynasty, whose rule extended from Afghanistan to the Ganges River and from Russian Turkistan to the estuary of the Indus.) 
  30. Mallory & Mair 2008, 318쪽.
  31. 국사편찬 위원회, 한국고대사료집성 중국편: 환공이 관자에 묻기를 "나는 천하의 진귀한 물자를 화폐로 쓰는 일곱 계책이 있다고 들었는데"
  32. 우리역사넷, 고조선의 대외 교역
  33. Schippmann 1986a, 647–650쪽.
  34. Justin, xli. 42.
  35. Banerjee, Gauranga Nath (1920). 《Hellenism in ancient India》. Calcutta: Published by the Autho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92쪽. 
  36. 《KHALCHAYAN – Encyclopaedia Iranica》. Figure 1. 
  37. Lebedynsky 2006, 62쪽.
  38. Lebedynsky 2006, 15쪽.
  39. Fedorov, Michael (2004). “On the origin of the Kushans with reference to numismatic and anthropological data” (PDF). 《Oriental Numismatic Society》 181 (Autumn): 32. 2019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6일에 확인함. 프리 액세스
  40. Abdullaev, Kazim (2007). “Nomad Migration in Central Asia (in After Alexander: Central Asia before Islam)”. 《Proceedings of the British Academy》 133: 89. The knights in chain-mail armour have analogies in the Khalchayan reliefs depicting a battle of the Yuezhi against a Saka tribe (probably the Sakaraules). Apart from the chain-mail armour worn by the heavy cavalry of the enemies of the Yuezhi, the other characteristic sign of these warriors is long side-whiskers (...) We think it is possible to identify all these grotesque personages with long side-whiskers as enemies of the Yuezhi and relate them to the Sakaraules (...) Indeed these expressive figures with side-whiskers differ greatly from the tranquil and majestic faces and poses of the Yuezhi depictions. 
  41. 김호동 (2016).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52~53쪽. 
  42. Benjamin, Craig (2015년 4월 16일). 《The Cambridge World History: Volume 4, A World with States, Empires and Networks 1200 BCE–900 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7 ff쪽. ISBN 978-1-316-29830-5.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Kushans were one of the five tribes of the Yuezhi... 
  43. Hill 2009, 29쪽.
  44. Chavannes 1907, 190–192쪽.
  45. Suchandra Ghosh. (2012). Revisiting Kushana Dynastic Sanctuaries. Proceedings of the Indian History Congress, 72nd Session, Patiala, Delhi. 212-219.
  46. O'Brien, Patrick Karl; Press, Oxford University (2002). 《Atlas of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6쪽. ISBN 978-0-19-521921-0. 
  47. Goyal 2005, 93쪽. "The Rabatak inscription claims that in the year 1 Kanishka I's authority was proclaimed in India, in all the satrapies and in different cities like Koonadeano (Kundina), Ozeno (Ujjain), Kozambo (Kausambi), Zagedo (Saketa), Palabotro (Pataliputra), and Ziri-Tambo (Janjgir-Champa). These cities lay to the east and south of Mathura, up to which locality Wima had already carried his victorious arm. Therefore they must have been captured or subdued by Kanishka I himself."
  48. Mukherjee, B.N. (1995). “The Great Kushana Testament”. 《Indian Museum Bulletin》 (Calcutta). 
  49. Schwartzberg, Joseph E. (1978).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5, map XIV.1(g)쪽. ISBN 0226742210. 
  50. Sailendra Nath Sen 1999, 188쪽.
  51. Rosenfield 1993, 41쪽.
  52. Rosenfield 1993, 41쪽. "Malwa and Maharashtra, for which it is speculated that the Kushans had an alliance with the Western Kshatrapas".
  53. Hall, D.G.E. (1981). 《A History of South-East Asia, Fourth Edition》. Hong Kong: Macmillan Education Ltd. 17쪽. ISBN 0-333-24163-0. 
  54. Goyal 2005, 93쪽. "The Rabatak inscription claims that in the year 1 Kanishka I's authority was proclaimed in India, in all the satrapies and in different cities like Koonadeano (Kundina), Ozeno (Ujjain), Kozambo (Kausambi), Zagedo (Saketa), Palabotro (Pataliputra) and Ziri-Tambo (Janjgir-Champa). These cities lay to the east and south of Mathura, up to which locality Wima had already carried his victorious arm. Therefore they must have been captured or subdued by Kanishka I himself."
  55. Sims-Williams, Nicholas. “Bactrian Documents from Ancient Afghanistan”. 2007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5월 24일에 확인함. 
  56. Rezakhani 2017b, 201쪽.
  57. Lee, Jonathan L. (2022년 3월 8일). 《Afghanistan: A History from 1260 to the Present》 (영어). Reaktion Books. ISBN 978-1-78914-019-4. 
  58. Puri, Baij Nath (1965). 《India under the Kushāṇas》. Bharatiya Vidya Bhavan. 
  59. Schwartzberg, Joseph E. (1978).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145쪽. ISBN 0226742210. 
  60.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AHH327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61. Harmatta 1999, 324쪽.
  62. Jongeward, David; Cribb, Joe (2014). 《Kushan, Kushano-Sasanian, and Kidarite Coins A Catalogue of Coins From the American Numismatic Society》 (PDF). New York: THE AMERICAN NUMISMATIC SOCIETY. Front page illustration쪽. 2021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7일에 확인함. 
  63. “Kujula Kadphises coin”. 《The British Museum》. 
  64. Dani, A. H.; Asimov, M. S.; Litvinsky, B. A.; Zhang, Guang-da; Samghabadi, R. Shabani; Bosworth, C. E. (1994년 1월 1일).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The Development of Sedentary and Nomadic Civilizations, 700 B. C. to A》 (영어). UNESCO. 321쪽. ISBN 978-92-3-102846-5. 
  65. 《The Cambridge Shorter History of India》 (영어). CUP Archive. 77쪽. 
  66. Sen, Sailendra Nath (1999).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영어). New Age International. 199쪽. ISBN 978-81-224-1198-0. 
  67. Singh, Upinder (2008).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영어). Pearson Education India. 377쪽. ISBN 978-81-317-1120-0. 
  68. Harmatta 1999, 326. "Also omitted is the ancient Iranian war god Orlagno, whose place and function are occupied by a group of Indian war gods, Skando (Old Indian Skanda), Komaro (Old Indian Kumara), Maaseno (Old Indian Mahāsena), Bizago (Old Indian Viśākha), and even Ommo (Old Indian Umā), the consort of Siva. Their use as reverse types of Huvishka I is clear evidence for the new trends in religious policy of the Kushan king, which was possibly influenced by enlisting Indian warriors into the Kushan army during the campaign against Pataliputra."
  69. Sivaramamurti 1976, 56-59쪽.
  70. Loeschner, Hans (July 2012). “The Stūpa of the Kushan Emperor Kanishka the Great” (PDF). 《Sino-Platonic Papers》 227: 11. 
  71. Bopearachchi 2007, 41–53쪽.
  72. Sims-Williams, Nicolas. 〈Bactrian Language〉. 《Encyclopaedia Iranica》 3.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73. Bopearachchi 2003. Cites H. Humbach, 1975, p.402-408. K.Tanabe, 1997, p.277, M.Carter, 1995, p.152. J.Cribb, 1997, p.40.
  74. Metropolitan Museum of Art exhibition.틀:Fcn
  75. “Panel fragment with the god Shiva/Oesho”. Metropolitan Museum of Art. 
  76. Fleet, J.F. (1908). “The Introduction of the Greek Uncial and Cursive Characters into India”. 《Th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908: 179, note 1. JSTOR 25210545. The reading of the name of the deity on this coin is very much uncertain and disputed (Riom, Riddhi, Rishthi, Rise....) 
  77. Shrava, Satya (1985). 《The Kushāṇa Numismatics》. Pranava Prakashan. 29쪽. The name Riom as read by Gardner, was read by Cunningham as Ride, who equated it with Riddhi, the Indian goddess of fortune. F.W. Thomas has read the name as Rhea 
  78. Perkins, J. (2007). Three-headed Śiva on the Reverse of Vima Kadphises's Copper Coinage. South Asian Studies, 23(1), 31–37
  79. Fitzwilliam Museum (1992). Errington, Elizabeth, 편집. 《The Crossroads of Asia: transformation in image and symbol in the art of ancient Afghanistan and Pakistan》. Ancient India and Iran Trust. 87쪽. ISBN 9780951839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