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827B1 -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 Google Patents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5827B1 KR100615827B1 KR1020007008026A KR20007008026A KR100615827B1 KR 100615827 B1 KR100615827 B1 KR 100615827B1 KR 1020007008026 A KR1020007008026 A KR 1020007008026A KR 20007008026 A KR20007008026 A KR 20007008026A KR 100615827 B1 KR100615827 B1 KR 100615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phone housing
- earphone
- ear
- loudspeaker
- s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 하우징(40) 및 상기 이어폰 하우징의 음향실 내에 장착된 확성기(50)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 하우징의 전면부는 외이의 이주 및 대이주 사이에 걸리도록 적절하게 만들어진 이어 플러그(41)를 구비하며, 상기 이어폰 하우징의 후단부는 중공 음향실(43)을 포함하는 후드(42)를 갖는다. 상기 후드의 중공 음향실 내에서 확성기가 지지되며, 이때 상기 후드의 주변에 다수의 음향 구멍(44)들이 분포되어 있다. 상기 음향실 내의 확성기 음향 출력 단부는 후드에 대면하고 이어 플러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전도성 코드(60)는 상기 확성기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해 이어폰 하우징의 바닥 단부에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without shock noise to prevent conductive hearing loss. In this case, the earphone includes an earphone housing 40 and a loudspeaker 50 mounted in an acoustic chamber of the earphone housing. The front part of the earphone housing has an ear plug 41 suitably made to be caught between the migration and the migration of the outer ear, and the rear end of the earphone housing has a hood 42 including a hollow acoustic chamber 43. The loudspeaker is supported in the hollow acoustic chamber of the hood, and a plurality of acoustic holes 44 are distributed around the hood. The loudspeaker sound output end in the sound compartment should be positioned to face the hood and to face the plug. Conductive cord 60 is connected to the bottom end of the earphone housing to deliver current to the loudspeaker.
이어폰 하우징, 음향 출력 단부, 후드, 음향실, 확성기, 음향실Earphone housing, sound output end, hood, sound room, loudspeaker, sound room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의 확성기의 음파 방향이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의 가장 내부에 위치한 고막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이는 음압의 직접적인 충격에 의한 전도성 난청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without shock noise for preventing conductive hearing loss, wherein the earphone can prevent the sound wave direction of the loudspeaker of the earphone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eardrum located at the innermost part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e middle ear can be protected from conductive hearing loss by direct impact of negative pressure.
통상적으로, 물리적 에너지로 정의되는 음향은 에너지 형태로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멀리 이동하는 음향일수록 포함된 에너지가 그 만큼 크다. 이는 예를 들면 천둥 또는 총격에 의한 음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향 내의 에너지는 대수 시스템(logarithm system)에 의해 측정되며, 데시벨은 음향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단위로 자주 이용된다. 그런데 여기서 '데시벨'은 절대적 수치가 아닌 상대적 수치이기 때문에, 데시벨은 두 음향 사이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음향이 얼마만큼의 데시벨을 포함한다는 것은 그 압력이 일정 기준의 음향 보다 몇 배로 더 큰가를 의미한다. 청력 측정기로 측정시, 0에서 60까지 데시벨이 증가하는 경우, 이는 음향 내의 에너지가 106으로 증가하는 것을 나 타낸다. 그런데, 이때 음압이 60 데시벨을 나타내더라도 이는 결코 큰 음향이라 할 수 없으며, 오히려 일상 생활에서 사람들과 가까운 곳에서 좀 크게 들리는 음향과 같다.Typically, sound defined as physical energy is known to be delivered in the form of energy. The farther the sound travels, the greater the energy involved. This means, for example, sound by thunder or shooting. Thus, energy in sound is measured by a logarithm system, and decibels are often used as a unit for measuring sound intensity. However, since decibels are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decibels mean comparing the intensity between two sounds. Thus, typically how much decibels the sound contains means that the pressure is many time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ound. When measured with an audiometer, if the decibel increases from 0 to 60, this indicates an increase in energy in the sound to 10 6 . However, even if the sound pressure represents 60 decibels, this is never a loud sound, but rather a sound that sounds a little louder in the vicinity of people in everyday life.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는 사람의 귀는 세 개의 주요부, 즉 외이(external ear; 10), 중이(middle ear; 20) 및 내이(inner ear; 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이(10)는 이륜(helix; 11), 대이륜(antihelix; 12), 이개(auricle; 13), 귓바퀴(concha; 14), 대이주(antitragus; 15), 이주(tragus; 16), 그리고 성인의 경우 길이가 24mm인 외이도(17)를 구비한다. 고막(171)은 외이도(17)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다. 상기 외이도(17) 및 중이(20)는 고막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중이(20)는 외이(10) 및 내이(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귀청으로서 추골(21), 침골(22), 그리고 등골(23)을 갖는다. 상기 귀청 내에 추골(21)의 단부가 고막(171) 내에 숨겨져 있으며, 상기 추골(21)의 몸체 및 침골(22)의 헤드는 함께 결합되어 한 마디를 이룬다. 그밖에도, 상기 침골(22)은 짧은 다리(221) 및 긴 다리(222)를 가지며, 상기 침골 내의 짧은 다리(221)는 귀청 벽면과 접하며, 긴 다리(222)의 단부는 상기 등골(23)의 헤드와 연결된다. 상기 등골(23)의 단부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ear of the person shown in FIGS. 1 to 3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the
더욱이 상기 내이(30)는 달팽이(cochlea; 31) 및 미로 기관(32)을 포함하여, 상기 내이 내에 있는 달팽이(31)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을 제어하는 한편, 미로 기관(32)은 몸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정교한 상기 두 부분들을 캡슐이 에워싸고 있으며, 이 외에도 상기 캡슐의 가장 외부층 내에 있는 외림프들 중 일부가 상기 달팽이(31) 및 미로 기관(32)을 덮고 있다. 상기 외림프는 머리가 강한 진동을 받은 경우, 공기 쿠션으로서 작용하여 보호한다. 사실상, 상기 달팽이(31) 및 미로 기관(32)은 림프액 내에서 유동한다. 상기 달팽이(31)의 내부는 세 부분, 즉 진정계(scala vestibuli), 고실계(scala tympani), 그리고 외림프를 포함하는 달팽이관(cochlear duct)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달팽이(31) 내의 신경 세포는 대략 30000 개의 머리카락 모양(머리카락형)의 신경 말단들을 포함한다. 또한, 난원창(oval window; 33) 및 정원창(round window; 34)은 상기 중이(20)의 귀청 벽 표면 가까이에 위치하며, 등골 바닥은 난원창(33)의 개구부에 의해 지탱되며, 그 내부는 달팽이(31)의 진정계(311)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달팽이(31)는 청소골로부터 전달되는 음압을 수용할 수 있게 되며, 정원창(34)은 상기 달팽이(31)의 고실계(312)에 장착되어 중이(20)의 귀청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을 직접 수용하게 된다.Moreover, the
더욱이, 음압이 이주(16)에서 고막(171)으로 전달된 다음, 상기 음압의 일부분은 부분적으로 상기 이주(16)로 다시 반향되는 한편, 상기 음압의 또 다른 일부분은 고막(171)을 거쳐 중이(2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중이(20)에 전달되어진 음압의 일부분 중 특정 부분은 추골(21) 및 침골(22)을 거쳐 발 모양의 등골(23) 단부로 이동한 다음, 난원창(33)을 거쳐 내이(30)의 달팽이(31) 내에 도달하게 된다. 기타의 남은 음압은 귀청 내의 공기 매개물에 의해 내이(30)의 달팽이(31) 내로 전달된다(상기 추골(21), 침골(22) 및 등골(23)로 이루어진 것을 차후에 청소골로 명칭함). Moreover, after the sound pressure is transferred from the
결과적으로, 인간의 귀로 전달되는 음압은 내이(30)로 유입되기 위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청소골에 의해 난원창(33) 내로 전달되는 음향은 공기 매개물에 의해 귀청을 거쳐 정원창(34) 내로 전달되는 음향보다 효과적이며 중요하다. 그 이유인 즉, 상기 중이(20)의 귀청 내로 전달된 다음 공기 매개물에 의해 정원창(34)을 거쳐 달팽이(31)의 외림프 내에 도달하는 상기 음압의 에너지의 99.9%가 액상 표면에 의해 소멸되거나 다시 반향되기 때문이다. 상기 에너지의 0.1%만이 상기 외림프를 거쳐 달팽이(31) 내에 도달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ound pressure delivered to the human ear is divided into two parts to enter the
따라서, 음향을 전달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고막(171)에서부터 출발하여 청소골을 거쳐 정원창(33) 내에 도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음압이 등골(23)의 단부에 전달되어 난원창(33)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경우, 상기 음압은 압축될 수 없는 외림프을 거쳐 달팽이(31) 내에 도달하게 되며, 이때 음압은 액상 표면에 의해 소멸되거나 반향되지 않는다. 곧바로 이어서, 음압을 포함하는 외림프는 달팽이(31) 내에 있는 머리카락형 신경 말단들을 자극하여 전위(displacement) 또는 휘어짐(bending)을 일으키며, 이러한 동작은 상기 음압 내의 기계적 힘을 전기 화학적 임펄스(impulse)(충격)로 전환시킨다. 이때 상기 전기 화학적 임펄스는 청신경을 뇌의 청각 피질로 전달한다. 이것이 사람들이 최종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음향이다. Thus, the most effective way to transmit sound is to start from the
위의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의 청각이 머리카락형 신경 말단의 운동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머리카락형 신경 말단이 약하게 전위되는 것만으로도 청각이 만들어짐을 실감하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청각은 매우 예민하며 인지할 수 있는 음조 영역 또한 넓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대략 20Hz 내지 20000Hz이고, 강도 범위는 10-12W/m2 내지 102W/m2 이며 음압은 180dB 이하이다. 그러나, 인지할 수 있는 모든 음향이 인간의 귀가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지 않은 범위 내의 음조(이는 90dB 이상의 음압으로 소위 소음이라 명칭됨)는 귀 내에 있는 청각 부위를 쉽게 손상시킨다. 장시간 동안 산업 현장 소음에 노출되어 있고 청각 보호 장치(예를 들면 이어 플러그 또는 이어폰과 같은 것임)를 전혀 착용하지 않은 공장 근로자들은 몇 년 후에 25%에까지 이르는 청각 손상 가능성을 갖는다.From the above point of view, the human hearing is 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hairy nerve endings, and it is realized that hearing is made only by weakly displacing the hairy nerve endings. Thus, human hearing is very sensitive and the perceptible tonal range is also wide. Generally, the frequency range that humans can perceive is approximately 20 Hz to 20000 Hz, the intensity range is 10 -12 W / m 2 to 10 2 W / m 2, and the sound pressure is 180 dB or less. However, not all perceivable sounds are suitable for the human ear to accept. Tones in the undesired range (called so-called noise with sound pressure above 90 dB) easily damage the auditory area within the ear. Factory workers who have been exposed to industrial noise for a long time and who do not wear any hearing protection devices (such as ear plugs or earphones at all) have a potential hearing damage of up to 25% in a few years.
이유인 즉, 상기 산업 현장 소음이 갖는 음압이 귀 내에 있는 머리카락형 신경 말단들을 자극하여 전위 또는 휘어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일정 기간 동안 소음 환경을 떠나게 되면 상기 신경 말단들은 다시 본래 위치로 되돌아온다. 상기 머리카락형 신경 말단의 복원 효과는 시간과 함께 계속 악화되며, 결과적으로 내이의 청각이 손상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청각 손실은 지각 가능한 청각의 최저한계에 대부분 속한 반면, 또 다른 종류의 것은 대체로 머리에 가해진 직접적인 충격 또는 순간의 충격성 소음에 의해 초래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고막의 또는 청소골의 손상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중이(20) 내에 전달된 음압은 전정(33) 내에 있는 난원창(33) 및 정원창(34)을 동시에 진입하고, 상호 간의 방해를 받는다. 따라서 청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중이 내에서 일어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전도성 기능 손실을 전도성 난청이라 불린다.This is because the sound pressure of the industrial noise causes the hair nerve endings in the ear to cause dislocation or bending. After leaving the noisy environment for a period of time, the nerve endings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The restorative effect of the hairy nerve endings continues to deteriorate with time, resulting in impaired hearing in the inner ear. While this kind of hearing loss is largely within the minimum limits of perceivable hearing, another kind is usually caused by direct shocks to the head or by momentary shock noise, which results in damage to the eardrum or scavenging bones. By raising, the sound pressure transmitted in the
명백한 것은, 상기 종류와 같은 중이내 전도성 기능 손실로부터 형성되는 청각 손실이 최근 몇 년 사이에 증가하였으며, 대부분이 워크맨을 사용하는 젊은 계층이란 점이다. 일반 스테레오 확성기 또는 이어폰이 전기 코드에 연결된 전류에 의해 작동되어, 전방의 원뿔 페이퍼 박스 및 진동 고막이 왕복 진동을 형성하여 음향 및 음악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복잡한 물리적 현상이 이러한 간단한 반복적인 왕복 운동에 의해 만들어짐으로써, 전방의 원뿔 페이퍼 박스 및 진동 고막이 앞으로 전진하게 되면 공기는 압축되어, 그 결과 공기 내의 분자들은 고압축 공기로 조밀해지는 반면, 전방의 원뿔 페이퍼 박스 및 진동 고막이 뒤로 후퇴하게 되면 공기 내의 분자들은 저압축 공기로 희박해진다.Obviously, the hearing loss resulting from intra-dual conduction loss, such as this kind,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most of which are younger classes using Walkman. It is well known that a normal stereo loudspeaker or earphone is driven by a current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rd such that the front cone paper box and vibrating eardrum form reciprocating vibrations to produce sound and music. Complex physical phenomena are created by these simple repetitive reciprocating motions, whereby forward conical paper boxes and vibrating eardrums advance the air, resulting in the compaction of the molecules in the air with high compression air, while the forward conical paper When the box and vibrating eardrum retreat back, the molecules in the air become lean to low compressed air.
그러나, 상기 공기 분자들은 압축 또는 압착되지 않으려는 특성을 가지며, 그 결과 압착된 공기에 의해 탄성이 형성되어 확성기에 의해 만들어진 에너지를 보다 먼 곳으로 밀쳐낸다. 상기 확성기가 왕복 운동을 시작하게 되면 인접한 공기는 상기 확성기에 의해 에너지를 전방으로 밀쳐낸다. 음향을 전달하는 상기 에너지를 음압이라 한다.However, the air molecules have a property of not being compressed or compressed, and as a result, elasticity is formed by the compressed air to push the energy generated by the loudspeaker farther. When the loudspeaker starts to reciprocate, the adjacent air pushes the energy forward by the loudspeaker. The energy that delivers sound is called sound pressure.
따라서, 음향 에너지 전달은 고압 공간 및 저압 공간 사이의 연속적인 연결을 의미한다. 압력 공간은 파동으로서 파동 최고점 및 연속 전진하는 파동 곡선을 포함하며, 그 결과 확성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체 음향의 운동 방향은 음압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보다 먼 곳에 있는 사람은 확성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음향 또는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Thus, acoustic energy transfer means a continuous connection between a high pressure space and a low pressure space. The pressure space is a wave containing wave peaks and continuous advancing wave curves, with the result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ntire sound produced by the loudspeaker is made by sound pressure, and the farther away is the sound or music produced by the loudspeaker You can hear it.
계속해서, 확성기에 의해 만들어진 음향의 전달 방법 및 분포 상태는 확성기의 주파수에 따른다. 예를 들면, 음향의 저음 그 자체는 방향을 갖지 않는다. 상기 저음이 발성하게 되면, 이는 사방으로 서서히 전파된다. 그 결과, 최저음을 위한 설정 장소는 일반 확성기의 경우처럼 꼭 요구되지 않으며, 음향의 고음 전파 방법은 레이저 광선과 유사하다. 이때 레이저 광선의 진행 방향은 대부분 직선이기 때문에, 반사되는 표면은 고음 본체의 설정 방향을 위해서 음질의 반작용 및 음장 파괴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확성기가 발성하게 되면 음압은 사방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확성기의 전방은 음압 및 고음의 연속적 이중 충격을 마주해야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헤비 메탈음악의 로큰롤 또는 빠른 리듬의 음악을 들을 때 감정이 격해지며 확실한 진동이 형성된다.Subsequently, the method and distribution state of the sound produced by the loudspeaker depends on the frequency of the loudspeaker. For example, the bass of the sound itself does not have a direction. When the bass sounds, it propagates slowly in all directions. As a result, the setting place for the lowest sound is not necessarily required as in the case of a normal loudspeaker, and the method of sound propagation of the sound is similar to that of a laser beam. At this time, sinc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beam is mostly a straight line, the reflected surface must be protected from the reaction of sound quality and the sound field destruction for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treble body. In other words, when a loudspeaker utters, the sound pressure is the same everywhere. However, the front of the loudspeaker must face a continuous double impact of sound pressure and treble. Thus, when people listen to rock and roll heavy metal music or fast rhythm music, emotions become intense and certain vibrations are formed.
상기 확성기는 진동을 이용함으로써 전환된 음향 또는 음악 신호를 음장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으로 전파시킨다. 따라서, 사람들은 음장 내에 강한 음압을 받게 되면 강한 전율을 느끼며, 약한 음압을 받을 경우에는 약한 전율을 느낀다. 그렇다해도 사람들은 여전히 음장 내의 진동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음장 내에 있을 때, 어떠한 음악이나 음향이 연주되던 간에 음압의 충격성 진동을 받게 된다. 이어폰에 장착된 가장 작은 확성기 또한 자체의 음장 범위를 갖는다. 단지 차이라 함은 그 강도의 차이에 있다.The loudspeaker propagates the converted sound or music signal by using vibration to a space for forming a sound field. Therefore, people feel a strong tremor when they receive a strong sound pressure in the sound field, and a weak tremor when they receive a weak sound pressure. Even so, people are still within the vibration range in the sound field. Thus, when in the sound field, people are subjected to shock vibrations of sound pressure no matter what music or sound is played. The smallest loudspeaker mounted on an earphone also has its own sound field range. The only difference is the difference in strength.
종래 이어폰으로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이어 플러그 유형으로, 나머지는 이어 머프 유형이다. 어떤 이어폰이 사용되던 간에, 이어폰의 확성기는 외이도의 바깥쪽 개구부에 가까이 놓여져 있으며, 이때 상기 확성기의 우측은 귀의 외이도의 내부에 있는 고막을 향하고 있어서 귀는 확성기로부터 음향 또는 음악을 직접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귀가 뛰어난 음질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상기 귀가 확성기의 음장 범위 내에 있고, 음압이 확성기 및 고막 사이에 진동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귀가 동일한 음을 수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어폰의 음압은 일반 확성기의 것보다 대략 10dB로 높다. 또한, 워크맨의 이어폰에 의해 발생하는 음압은 대부분 90dB이상이다. 그 결과 중이의 전도성 기능 손실 또는 청각 손실은 이러한 강렬한 음압 및 연속적인 충격 소음에 의해 쉽게 발생한다.There are two types of conventional earphones. One is an ear plug type and the other is an ear muff type. Whatever earphone is used, the loudspeaker of the earphone is placed close to the outer opening of the ear canal, with the right side of the loudspeaker facing the eardrum inside the ear canal so that the ear receives sound or music directly from the loudspeaker. The ear can accommodate excellent sound quality in this way because the ear is within the sound field range of the loudspeaker and the sound pressure vibrates between the loudspeaker and the eardrum. First of all, with respect to the ear receiving the same sound, the sound pressure of the earphone is approximately 10 dB higher than that of a normal loudspeaker. In addition, the sound pressure generated by the Walkman earphone is mostly 90 dB or more. As a result, conduction loss or hearing loss in the middle ear is easily caused by this intense sound pressure and continuous impact noise.
본 출원인은 공식 허가된 의학 박사로 수년간 임상 경험을 갖고 있다. 청각이 손실되어 의료 상담을 찾는 환자들이 계속해서 젊은 계층으로 증가하는데 있어서, 본 출원인은 그 이유가 중이의 전도성 기능 손상을 유발하는 워크맨의 사용에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밖에도, 충격성 소음은 고막 및 청소골의 손상의 주된 원인이다.Applicant is an officially licensed medical doctor with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s patients with hearing loss continue to grow to younger patients seeking medical counseling, we found that the reason lies in the use of Walkman to cause impaired conduction in the middle ear. In addition, impact noise is a major cause of damage to the eardrum and scavenging bones.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이어폰에 의해 종래 이어폰과 마찬가지로 휼륭한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중이의 전도성 기능은 충격성 소음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by which the earphone can listen to excellent music as in the conventional earphone, the conductive function of the middle ear is protected from damage by the impact noi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도성 난청(청각 장애)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이어폰 내에서 이어폰의 확성기에 의해 전달된 음향 및 외부 음향이 귀에 의해 포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어폰을 벗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을 인식할 수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without shock noise to prevent conductive hearing loss (deafness), in which the sound and external sound transmitted by the loudspeaker of the earphone can be captured by the ear, As a result, you can recognize all the events happening outside without taking off your earphones.
도 1은 인간 귀의 횡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uman ear.
도 2는 중이의 추골, 침골 및 등골을 집합적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2 collectively showing the vertebrae, bones and spines of the middle ear.
도 3은 외이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ear;
도 4는 이주 및 그 대이주 사이에 걸린 본 발명품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aught between two weeks and the mig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어폰의 부분 단면도.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하우징의 횡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phone hous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 플러그 장착 링의 전면,후면 및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8A to 8C illustrate front, rear and side views of an ear plug mounting 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 플러그 장착 링과 연결되는 이어폰의 개략도.9 is a schematic view of earphones connected with an ear plug mounting 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전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은 이어폰 하우징(40), 상기 이어폰 하우징(40) 내에 장착된 확성기(50), 및 상기 확성기(50)에 연결된 전도성 코드(60)를 포함한다.4 to 6, the earphone having no impact noise for preventing conductive hearing loss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상기 이어폰 하우징(40)의 전방부는 외이(10)의 이주(16) 및 대이주(15) 사이에 걸리기에 적합한 이어 플러그(earplug)(41)를 제공한다. 상기 이어폰 하우징(40)의 후방부는 중공 음향실(43)이 내부에 형성되는 후드(42)를 구비하며, 전도성 코드(60)는 전류를 확성기(5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이어폰 하우징(40)의 바닥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다수의 음향 구멍(44)들은 상기 후드(42)상에 이격되어 분포되어 있으며, 상기 음향 구멍을 통해 외부 음향이 이어폰 하우징(40) 내로 진입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of the
상기 확성기(50)는 후드(42)의 중공 음향실(43) 내에서 지지된다. 상기 확성기(50)는 후드(42), 즉 이어폰 하우징(40)의 후방부에 대면하는(향하는) 음향 출력 단부를 가지며, 상기 확성기(50)의 후방 단부는 상기 이어폰 하우징(40)의 이어 플러그(41)에 대면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확성기(50)의 음향 출력 단부는 이어폰 하우징(40)의 이어 플러그(41)의 후방부와 반대방향으로(대향하여) 배치되어야 한다. The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하우징(40)은 상기 이어 플러그(41)를 외이(10)의 이주(16) 및 대이주(15) 사이에 걸므로써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데, 이어폰 하우징(40)의 후드(42)가 외이도(17)의 바깥쪽에 노출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이어폰 하우징(40) 내의 확성기(50)가 음향 구멍(44)을 통해 대이주(15)를 향하여 음향을 방출하면, 음압은 대이주(15)에 의해 흡수되고 반향되어 귀 전체가 확성기(50)의 음장 범위 내에 위치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폰으로부터 획득된 음질은 종래 이어폰의 음질과 동일하다. 그러나 음압은 외이도(17)의 고막(171)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은 동시에, 음악이 연주되는 동안 방출되는 순간적 충격성 소음을 피할 수가 있어서, 그 결과 중이(20)의 전도성 기능이 손상되지 않아 전도성 청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As mentioned above,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전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어폰 또한 이어폰 하우징(70) 및 상기 이어폰 하우징(70) 내에 설치된 확성기(50)를 포함한다. 상기 이어폰 하우징(70)의 전방부는 귀의 이주(16) 및 대이주(15) 사이에 걸리고 귓바퀴(14)에 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어폰 하우징(70)은 그 안에 확성기(50)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중공 음향실(hollow sound chamber)(71)을 구비한다. 다수의 음향 구멍(72)들이 이어폰 하우징의 전방부 주위에 있는 표면 상에 분포되어 있으며, 전도성 코드(60)는 전류를 확성기(50)로 전달하기 위해 바닥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확성기(70)는 또한 이어폰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음향 출력 단부를 갖는다.Figure 7 show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arphone without shock noise to prevent conductive hearing los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also includes an
제2 실시예인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하우징(70) 내의 확성기(50)가 음향을 발성하면, 음압은 이어폰 하우징(70)의 후방벽을 향해 방출되며, 이어폰 하우징(70)의 후방 단부의 내벽에 의해 반향됨으로써, 귀 전체가 확성기(50)의 음장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된 음질은 종래 이어폰의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음압은 외이도(17)의 고막(171)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고, 음악이 연주되는 동안 방출되는 순간적 충격성 소음을 피할 수 있어, 중이(20)의 전도성 기능이 손상되지 않아 전도성 청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ich is a second embodiment, when th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는 바람직한 상기 제1 실시예의 대안적인 형태로서, 제1 실시예에서의 이어 플러그(41)는 제3 실시예에서 독립적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의 이어 플러그 본체(80)는 이어폰 하우징(40)의 바닥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이어 플러그 본체(80)는 이어 플러그 본체(80)의 상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이주(16) 및 대이주(15) 사이에 걸리기에 적합한 플러그 후크(81), 및 이어 플러그 본체(80)를 이어폰 하우징(40)의 후방 단부에 장착하기 위해 이어 플러그 본체(80)의 하부에 연결된 링 시트(ring seat; 82)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 하우징(40)은 링 시트(82)에 대하여 그 위치를 상하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귀 크기에 맞추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s. 8 and 9,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third embodiment is an alternative form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wherein the
상기에서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이점들을 포함한다.In conclusion from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advantages.
1.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음향과 관련하여, 인간의 귀에 가해진 음압은 최저 크기로 감소될 수 있는 동시에, 음질은 종래 이어폰과 동일한 것이 달성될 수 있다.1. With respect to sound having the same frequency, the sound pressure applied to the human ear can be reduced to the lowest magnitude, while the sound quality can be achieved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earphone.
2. 인간의 귀의 외이도는 충격성 소음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서, 그 결과 중이 내의 전달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랜 기간 동안 이어폰을 착용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전도성 난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2. The ear canal of the human ear can be protected from the impact of impact noise, thereby avoiding impairing the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middle ear. Therefore, conductive hearing loss does not occur to people who want to wear earphones for a long time.
3.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이어폰 내의 확성기에 의해 내보내지는 음향 및 외부 음향이 귀에 의해 포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외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을 즉각 파악하여 이에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된다.3.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emitted by the loudspeaker in the earphone and the external sound can be captured by the ear, so that all the events occurring outside can be immediately identified and appropriate action taken.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981005292 | 1998-02-16 | ||
CNB981005292A CN1138447C (en) | 1998-02-16 | 1998-02-16 | Earpiece without impulse noise and loss by acoustic wave mov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4308A KR20010034308A (en) | 2001-04-25 |
KR100615827B1 true KR100615827B1 (en) | 2006-08-25 |
Family
ID=521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8026A KR100615827B1 (en) | 1998-02-16 | 1999-02-05 |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
Country Status (13)
Country | Link |
---|---|
EP (1) | EP1068771B1 (en) |
JP (1) | JP3091406U (en) |
KR (1) | KR100615827B1 (en) |
CN (1) | CN1138447C (en) |
AU (1) | AU752648B2 (en) |
BR (2) | BR7903454Y1 (en) |
CA (1) | CA2320214C (en) |
DE (1) | DE69939931D1 (en) |
HK (1) | HK1033408A1 (en) |
ID (1) | ID25924A (en) |
NO (1) | NO326615B1 (en) |
RU (1) | RU2232486C2 (en) |
WO (1) | WO1999041946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7120B1 (en) * | 2013-08-23 | 2014-08-07 | 김철희 | earphone on trag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97563A1 (en) * | 2000-06-09 | 2001-12-20 | Ziyi Cheng | A noise-suppressing receiver |
US7077014B2 (en) | 2004-06-23 | 2006-07-18 | Endress + Hauser Flowtec Ag | Vibration-type measuring transducer |
ATE413082T1 (en) * | 2005-05-25 | 2008-11-15 | Oticon As |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CURRENT IN A BATTERY-OPERATED ELECTRONIC AUDIO DEVICE |
CN2852584Y (en) * | 2005-11-15 | 2006-12-27 | 邹小元 | Earphone fitting listening principle |
TWI323617B (en) | 2006-02-20 | 2010-04-11 | Cotron Corp | Multiple channel earphone |
DE102006030600A1 (en) * | 2006-07-03 | 2008-01-24 |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 Otological device with holding device for a tragus |
NO328038B1 (en) * | 2007-06-01 | 2009-11-16 | Freebit As | Improved uncleanness |
SE531656E5 (en) * | 2008-05-12 | 2011-04-26 | 3M Svenska Ab | Ear protection |
KR101427531B1 (en) * | 2013-07-17 | 2014-08-07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A Headphone for the Reduction of Sound Pressure |
CN105245989A (en) * | 2015-10-26 | 2016-01-13 | 胡强 | In-ear headse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0935A (en) * | 1993-02-09 | 1995-05-30 | Sony Corporation | Auricle insertion headphone with improved grill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1165248A (en) * | 1980-10-31 | 1984-04-10 | Shingo Watanabe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JPH0228960B2 (en) | 1985-02-13 | 1990-06-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AIKUROPPONKENYOHETSUDOPPON |
JPH0450718Y2 (en) * | 1986-02-28 | 1992-11-30 | ||
JP2553514B2 (en) | 1986-05-23 | 1996-11-1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headphone |
JPH07154888A (en) * | 1993-11-30 | 1995-06-16 | Sony Corp |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1998
- 1998-02-16 CN CNB981005292A patent/CN1138447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
- 1999-02-05 CA CA002320214A patent/CA232021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2-05 KR KR1020007008026A patent/KR10061582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2-05 AU AU26579/99A patent/AU752648B2/en not_active Ceased
- 1999-02-05 RU RU2000122777/28A patent/RU2232486C2/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2-05 JP JP2000600016U patent/JP3091406U/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2-05 WO PCT/US1999/002446 patent/WO1999041946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9-02-05 BR BRMU7903454-3Y1U patent/BR790345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2-05 EP EP99906740A patent/EP106877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2-05 BR BR9907948-8A patent/BR9907948A/en active IP Right Grant
- 1999-02-05 DE DE69939931T patent/DE69939931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2-05 ID IDW20001540A patent/ID25924A/en unknown
-
2000
- 2000-08-15 NO NO20004074A patent/NO32661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
- 2001-05-16 HK HK01103407A patent/HK1033408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20935A (en) * | 1993-02-09 | 1995-05-30 | Sony Corporation | Auricle insertion headphone with improved gril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7120B1 (en) * | 2013-08-23 | 2014-08-07 | 김철희 | earphone on trag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068771A4 (en) | 2006-07-05 |
NO20004074D0 (en) | 2000-08-15 |
NO326615B1 (en) | 2009-01-19 |
CN1226797A (en) | 1999-08-25 |
RU2232486C2 (en) | 2004-07-10 |
AU2657999A (en) | 1999-08-30 |
KR20010034308A (en) | 2001-04-25 |
NO20004074L (en) | 2000-08-15 |
EP1068771B1 (en) | 2008-11-19 |
DE69939931D1 (en) | 2009-01-02 |
BR7903454Y1 (en) | 2013-09-17 |
BR9907948A (en) | 2000-11-07 |
CN1138447C (en) | 2004-02-11 |
CA2320214C (en) | 2006-04-25 |
CA2320214A1 (en) | 1999-08-19 |
WO1999041946A1 (en) | 1999-08-19 |
ID25924A (en) | 2000-11-09 |
AU752648B2 (en) | 2002-09-26 |
JP3091406U (en) | 2003-01-31 |
HK1033408A1 (en) | 2001-08-24 |
EP1068771A1 (en) | 2001-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252495C2 (en) | Earphone | |
JP4401396B2 (en) | Sound output device | |
US6801629B2 (en) | Protective hearing devices with multi-band automatic amplitude control and active noise attenuation | |
JP5341507B2 (en) | Hearing system with improved high frequency response | |
US7076076B2 (en) | Hearing aid system | |
JP4548783B2 (en) | headphone | |
KR100922337B1 (en) | Earphone via drumhead | |
CN109565626B (en) | Acoustic open type earphone with active noise reduction function | |
Shimokura et al. |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 |
JP2004527165A (en) | Bone conduction hearing aid | |
KR100615827B1 (en) |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 |
US11381897B2 (en) |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 |
US20040047483A1 (en) | Hearing aid | |
JP3537128B2 (en) | headphone | |
KR102039839B1 (en) | Sound delivery system combined air conduction type and bone conduction typ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JP6475500B2 (en) |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aid | |
US6751328B1 (en) |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 |
KR20190131704A (en) | Glasses containing bone conduction bluetooth earphones | |
CN220545143U (en) | Hearing aid earphone combining superimposed sound waves | |
Staab | Introduction to deep canal principles | |
MXPA00007993A (en) |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for protection against conductive hearing loss | |
CN116887157A (en) | Hearing aid earphone combining superimposed sound waves | |
KR200253166Y1 (en) | Earphone | |
KR20220142758A (en) | Bone conduction sound output device capable of active noise control | |
CN117412212A (en) | Mixed conduction earphone device at inner side of tragus and design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