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977B1 -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3977B1 KR101853977B1 KR1020120049487A KR20120049487A KR101853977B1 KR 101853977 B1 KR101853977 B1 KR 101853977B1 KR 1020120049487 A KR1020120049487 A KR 1020120049487A KR 20120049487 A KR20120049487 A KR 20120049487A KR 101853977 B1 KR101853977 B1 KR 101853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er
- handle
- window
- alarm
- sen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5—Hand apparatus with built-in electric mo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3/00—Safety devices for use in window-clea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창문의 일측에 접촉하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청소기; 및 상기 창문의 타측에 접촉하며, 상기 제1청소기와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청소기는 주택이나 건물의 바닥면을 주행하면서 청소한다. 상기 자동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은 구동 모터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바닥면은 편평한 지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자동 청소기가 상기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데 큰 무리가 없다.
다만, 청소면이 편평한 지면이 아니라 경사진 청소면, 즉 진행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청소면을 청소할 때에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주행이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청소면이 건물에 구비되는 유리창일 경우, 상기 자동 청소기의 사용은 매우 제한된다. 따라서, 유리창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청소되어야 하는 실정이었다.
근래에는 유리창과 같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또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청소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자동 청소기가 제안되고 있다.
유리창 청소가 가능한 자동 청소기는 실내 측에 구비되는 내부 모듈과, 실외 측에 구비되는 외부 모듈을 포함하며,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이 일 예로 자석에 의해서 유리창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각 모듈에는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 청소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를 잡고 당기는 경우에 아무런 경고나 알림이 발생하지 않아, 반대편에 위치하는 모듈이 추락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문에 부착된 청소기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창문의 일측에 접촉하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청소기; 및 상기 창문의 타측에 접촉하며, 상기 제1청소기와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다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건물 내측에서 창문에 접촉하는 내부 모듈; 및 건물 외측에서 상기 창문에 접촉하며, 상기 내부 모듈과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외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모듈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알람을 발생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은, 창문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1청소기와 제2청소기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의 손잡이의 위치가 감지되는 단계; 및 감지 결과,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알람부에서 발생되는 알람에 의해서, 사용자는 손잡이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정상 상태에 위치하도록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주의하게 손잡이를 당겨, 어느 한 청소기가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 손잡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청소기가 낙하 방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 손잡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청소기가 낙하 방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는, 제1청소기(10)와, 제2청소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청소기(10)가 청소 대상물(5)의 일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청소기(20)가 청소 대상물(5)의 타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1청소기(10)와 상기 제2청소기(20)는 인력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제1청소기(10)가 건물 내측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하고, 상기 제2청소기(20)가 건물 외측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청소기(10)를 내부 모듈이라 하고, 상기 제2청소기(20)를 외부 모듈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청소기(10)가 건물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청소기(20)가 건물 내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청소 대상물(5)은 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수직을 포함함) 배치될 수 있으며, 지면은 건물 또는 어떠한 장소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청소 대상물(5)은 창문 또는 유리창일 수 있다.
상기 제1청소기(10)는, 이동을 위한 복수의 휠(11)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손잡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손잡이(12)는 상기 제1청소기(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손잡이(12)를 잡고 상기 제1청소기(10)를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근하거나 청소 대상물(5)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청소기(10)는, 이동 시 창문 틀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14, 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는,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와,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제 1 청소 부재(21, 22)의 내측에 상기 각 제 2 청소 부재(23, 24)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와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청소기(20)가 이동하면, 상기 복수의 제 1 청소 부재(21, 22)가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과 슬라이딩되어 상기 청소 대상물(5)을 닦는다.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는 일 예로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청소기(20)에는 물 분사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 2 청소 부재(23, 24)는 물을 머금은 상태에서 상기 청소 대상물(5)을 닦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분사 장치는 물을 상기 제 2 청소 부재(23, 34)로 분사하거나 상기 청소 대상물(5)로 직접 분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청소기(10)에도 청소 대상물(5)을 청소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청소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2손잡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25)는 상기 제2청소기(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손잡이(12)를 잡고 상기 제2청소기(20)를 상기 청소 대상물(5)에 접근하거나 청소 대상물(5)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청소기(10)의 제1손잡이(12)와 상기 제2청소기(20)의 제2손잡이(25)를 잡고, 상기 각 청소기(10, 20)를 상기 청소 대상물(5)에 부착시키나, 상기 청소 대상물(5)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 손잡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가 구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청소기(10)는, 복수의 휠(11) 각각에 연결되는 제1구동부(111) 및 제2구동부(112)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13)와, 상기 제2청소기(2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통신부(114)와, 하나 이상의 제1자석(115)과,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부(116)와, 상기 제1청소기(10)의 설치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각도 센서(119) 및 상기 각 구동부(111, 112)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111)와 제2구동부(112)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구동부(111, 112)의 회전 속도에 조절에 의해서 상기 제1청소기(10)는 전후 이동 및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충격 감지부(116)는, 일 예로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상기 충격 감지부(116)가 네 개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스위치는 상기 제1청소기(10)의 네 코너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스위치는 상기 범퍼(14, 15)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범퍼(14, 15)가 창문 틀과 충돌하면, 상기 네 개의 스위치 중 하나 이상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110)는 상기 제1청소기(10)가 창문 틀과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상기 각 구동부(111, 112)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1청소기(20)는, 상기 제1손잡이(12)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1감지부(117)가 상기 제1손잡이(12)를 미감지한 상태에서 알람을 발생할 수 있는 알람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는, 상기 제1통신부(114)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211)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2)와, 하나 이상의 제2자석(213)과, 상기 제2손잡이(25)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214)와, 상기 제2감지부(214)의 정보를 수신하는 제2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에도 알람부(2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이 대응되도록 위치되면, 상기 제1청소기(10)와 상기 제2청소기(20) 간에 인력(자력)이 작용하여 상기 각 청소기(10, 20)가 경사진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청소기(10, 20)가 경사진 청소 대상물(5)에 접촉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낙하되거나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의 인력은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의 거리에 따라서 가변되므로, 상기 제1청소기(10) 또는 상기 제2청소기(20)에는 상기 자석(115, 213)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자석(115)과 상기 제2자석(213)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한 자력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청소기(10)와 상기 제2청소기(20)가 자석(115, 213)에 의한 인력에 의해서 상기 제1청소기(10)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청소기(2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청소기(10, 20)는 별도로 구비되는 리모컨(30)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30)을 이용하여 각 청소기(10, 20)로 명령을 입력하거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리모컨(30)에도 알람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손잡이(12, 25)는 일 예로 힌지(210)에 의해서 상기 각 청소기(10, 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210)는 상기 각 손잡이(12, 25)에 형성되거나 상기 각 청소기(10, 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힌지(210)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여, 상기 각 손잡이(12, 25)와, 상기 각 청소기(10, 2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각 청소기(10, 20)가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된 상태에서, 각 손잡이(12, 25)가 각 청소기(10, 2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놓인 상태(도 1 및 도 3참조)(청소 대상물이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음) 또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각 청소기(12, 25)의 상면 방향(도 3에서 A방향임)으로 들려지지 않은 상태를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반면,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각 청소기(10, 20)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놓여지지 않거나 각 청소기(10, 20)의 상면 방향으로 들려진 상태를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청소기(10, 20)의 상면 방향으로 들려진 상태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는 상태에서 타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이다. 즉, 도 3과 같은 상태의 손잡이(12, 25)는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될 수 없고, 상기 손잡이(12, 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상기 손잡이(12, 25)가 들려진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각 감지부(117, 214)는 일 예로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로 위치한 경우, 상기 각 감지부(117, 214)는 상기 각 손잡이(12, 25)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에 위치한 경우에 상기 스위치를 가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감지부(117, 214)가 상기 손잡이(12, 2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상기 감지부(117, 214)의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예시적으로, 상기 감지부(117, 214)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2, 25)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경우에 정상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상기 일정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된 경우에 비정상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감지부(117, 214)는 상기 각 손잡이(12, 25)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청소기(10, 20)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을 감지하기 위한 자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2감지부(214)의 종류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각 청소기(10, 20)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정상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손잡이(12, 25)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30)는 일 예로 토션 스프링일 수 있고, 일단은 상기 각 청소기(10, 20) 또는 힌지(210)(힌지가 청소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임)에 고정되거나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손잡이(12, 25)(힌지가 손잡이와 별도의 구성인 경우) 또는 힌지(210)(힌지가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230)는 상기 각 손잡이(12, 25)가 상기 청소 대상물(5)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각 손잡이(12, 25)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230)는 상기 각 청소기(10, 20)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거나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청소기(10, 20)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손잡이가 정상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손잡이(12, 25) 및 상기 청소기(10, 20) 각각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손잡이(12, 25)와 상기 청소기(10, 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과,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손잡이(12, 25)와 상기 청소기(10, 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돌기와,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청소 대상물(5)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창문형 청소 장치를 청소 대상물(5)에 부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각 청소기(10, 20)의 손잡이(12, 25)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각 청소기(10, 20)를 청소 대상물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상기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
상기 제1청소기(10)는 각도 센서(119)를 구비하므로, 감지된 각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청소기(10)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청소기(10)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각도 센서(119)에 감지되는 각도가 0인 경우에, 상기 제1청소기(10)가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되면, 상기 각도 센서(119)에서 감지되는 각도는 0보다 큰 각도일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부에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각도 범위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센서(119)에서 감지된 각도가 상기 기준 각도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청소 대상물에 부착되었음이 감지된 후에는, 상기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2감지부(214) 중 하나 이상에서 손잡이(12, 25)가 감지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 즉, 상기 각 청소기(10, 20)의 제어부(110, 210)는 상기 각 감지부(117, 214)에서 손잡이 미감지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제1감지부(117)와 상기 제2감지부(214) 중 하나 이상에서 손잡이 미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알람부(118)에서 알람이 발생한다(S3).
예를 들어, 건물 외부에 배치된 제2청소기(20)의 제2감지부(214)에서 제2손잡이(25)가 미감지되면, 상기 제2통신부(211)에서 상기 제1통신부(114)로 손잡이 미감지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제1제어부(11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118)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제2청소기(20)의 알람부(215)에서도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청소기(10, 20)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30)에서도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청소기(10)의 제1감지부(117)에서 제1손잡이(12)가 미감지되면, 상기 제1통신부(114)에서 상기 제2통신부(211)로 손잡이 미감지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제2제어부(21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215)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제1청소기(10)의 알람부(118)에서도 알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주행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 만약,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주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주행을 정지한다(S5). 이 때,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각 감지부(117, 214)에서 손잡이(12, 25)가 감지되면,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다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청소 대상물에 창문형 청소 장치가 부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시기는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로 청소 명령이 입력된 후이거나, 청소 명령이 입력되기 전이거나, 주행 중일 수 있으며, 시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알람부(118)에서 알람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손잡이(12, 25)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12, 25)를 정상 상태에 위치하도록 조작할 수 있고, 부주의하게 손잡이(12, 25)를 당겨, 어느 한 청소기(10, 20)가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청소기가 낙하 방지 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창문형 청소 장치는 상기 제2청소기(2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일 예로 상기 청소 대상물(5)에 결합되거나 창문 틀 또는 그 외의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상기 제2청소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고정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대상물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고정 대상물이 상기 청소 대상물(5)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낙하 방지 장치(40)는, 고정 대상물과 접촉하는 바디(410)와, 상기 바디(410)가 상기 고정 대상물(410)에 견고하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부(420)와, 상기 바디(410)에 연결 또는 고정되며, 상기 제2청소기(20)에 연결되는 연결기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10)는, 고정 대상물의 일면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412)와, 상기 접촉부(412)와 이격되며, 상기 가압부(420)를 지지하는 지지부(413)와, 상기 접촉부(412)와 상기 지지부(413)를 연결하는 연결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20)는 상기 지지부(413)를 관통할 수 있고, 그 단부에는 상기 고정 대상물의 타면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22)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420)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가압부(420)의 접촉부(422)와 상기 바디(412)의 접촉부(412)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430)는 와이어(430)와, 상기 와이어(430)가 감기는 릴(미도시)와, 상기 와이어(430)가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에는 상기 와이어(43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청소기(20)가 상기 연결기구(430)와 멀어지는 경우, 상기 와이어(430)는 풀리게 되고, 상기 제2청소기(20)가 상기 연결기구(430)와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와이어(430)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감기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청소기의 손잡이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제1청소기(10)가 상기 청소 대상물(5)에서 분리되더라도, 상기 제2청소기(20)는 상기 와이어(430)의 길이 만큼 낙하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상기 제2청소기(20)가 지면 또는 바닥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낙하 방지 장치가 건물 외측에 위치되는 제2청소기(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건물 내측에 위치되는 제1청소기(10)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낙하 방지 장치는 복수의 연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낙하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낙하 방지 장치(50)는,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되는 부착부(510)와, 상기 부착부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작부(520)와, 상기 조작부(520)에 구비되며 와이어(531)를 구비하는 연결기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530)는 상기 제2청소기(20)에 연결되며, 도 6에서 설명한 연결기구(4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부착부(510)는 상기 청소 대상물(512)에 접촉하는 접촉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512)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20)를 조작하면, 상기 부착부(512)의 바디가 상기 접촉부(512)를 상기 청소 대상물(5)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512)와 상기 청소 대상물(5) 사이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어, 상기 부착부(512)가 상기 청소 대상물(5)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510)는 예시적으로 네비게이션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에 구비되는 부착부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청소기 20: 제2청소기
Claims (14)
- 창문의 일측에 접촉하며,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감지부를 가지는 제1청소기; 및
상기 창문의 타측에 접촉하며, 상기 제1청소기와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감지부를 가지는 제2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각각은 알람이 발생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 중 어느 한 청소기에서 손잡이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1청소기 및 제2청소기 각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각 손잡이에 의해서 가압되는 스위치인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은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부 및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은 자석과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는 자기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청소기와 손잡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자기감지센서는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는, 손잡이가 청소 대상물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손잡이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는, 손잡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기구가 구비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상기 제1청소기와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이 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기 또는 제2청소기로 작동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제1청소기 또는 제2청소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리모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청소기 및 상기 제2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리모컨에서도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가 주행 중에,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제2감지부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각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각 청소기의 주행이 정지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건물 내측에서 창문에 접촉하는 내부 모듈; 및
건물 외측에서 상기 창문에 접촉하며, 상기 내부 모듈과 함께 상기 창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외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모듈은,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알람을 발생하기 위한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위치인 것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 - 창문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1청소기와 제2청소기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의 손잡이의 위치가 감지되는 단계; 및
감지 결과,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각 청소기 중 하나 이상에서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기의 주행 중에 상기 손잡이의 위치가 비정상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각 청소기의 주행은 정지되는 창문형 청소 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9487A KR101853977B1 (ko) | 2012-05-10 | 2012-05-10 |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9487A KR101853977B1 (ko) | 2012-05-10 | 2012-05-10 |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5892A KR20130125892A (ko) | 2013-11-20 |
KR101853977B1 true KR101853977B1 (ko) | 2018-06-14 |
Family
ID=4985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9487A KR101853977B1 (ko) | 2012-05-10 | 2012-05-10 |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39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0305B1 (ko) * | 2020-09-16 | 2022-01-14 | (주)유승 | 세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43076B (zh) * | 2017-04-21 | 2019-06-14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 一种玻璃窗清洁擦 |
CN113491474A (zh) * | 2020-04-08 | 2021-10-12 | 科沃斯家用机器人有限公司 | 擦窗机器人系统、信息输出方法及设备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2698A (ko) * | 2000-05-04 | 2001-11-16 | 이정우 | 유리창 양면 세척구 |
KR20050005873A (ko) * | 2003-07-07 | 2005-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의 고온경보장치 |
KR200397411Y1 (ko) * | 2005-07-12 | 2005-10-04 | 공종의 | 가스렌지 경보장치 |
KR20110114370A (ko) * | 2010-04-13 | 2011-10-19 |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 창문 청소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
JP2012507328A (ja) * | 2008-11-03 | 2012-03-29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センシングハンドルを有するロボット掃除機 |
-
2012
- 2012-05-10 KR KR1020120049487A patent/KR1018539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2698A (ko) * | 2000-05-04 | 2001-11-16 | 이정우 | 유리창 양면 세척구 |
KR20050005873A (ko) * | 2003-07-07 | 2005-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식기세척기의 고온경보장치 |
KR200397411Y1 (ko) * | 2005-07-12 | 2005-10-04 | 공종의 | 가스렌지 경보장치 |
JP2012507328A (ja) * | 2008-11-03 | 2012-03-29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センシングハンドルを有するロボット掃除機 |
KR20110114370A (ko) * | 2010-04-13 | 2011-10-19 | 재단법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 창문 청소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0305B1 (ko) * | 2020-09-16 | 2022-01-14 | (주)유승 | 세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리창 청소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5892A (ko) | 2013-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59997B2 (en) | Remote controlled switch cover | |
KR101970541B1 (ko) |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10314454B2 (en) |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657530B1 (ko) | 자동주행 로봇의 들림감지장치 | |
US9476771B2 (en) | Control method for cleaning robots | |
US9351616B2 (en) | Apparatus for cleaning a glass window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thereof | |
KR102617659B1 (ko) |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10631701B2 (en) | Vacuum cleaner and handle thereof | |
JP2013180204A (ja) | 掃除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101853977B1 (ko) | 창문형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EP2352408B1 (en) | A robotic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ensing handle | |
WO2022127443A1 (zh) | 自主移动设备 | |
KR101641244B1 (ko) |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US20160138938A1 (en) | Plumb-bob calibration apparatus and glass-wiping robot having the plumb-bob calibration apparatus | |
JP6348599B2 (ja) | 家具部品を移動させるための装置 | |
CN114305231A (zh) | 一种清洁设备 | |
WO2015139617A1 (zh) | 自移动装置及其行走控制方法 | |
KR101503601B1 (ko) | 로봇 청소기 | |
KR100471140B1 (ko) | 외부충전장치를 갖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 |
KR20090112984A (ko) | 장애물 감지 센서를 구비한 이동로봇 | |
US20120292477A1 (en) | Apparatus For Moving A Display Apparatus | |
EP3400604A1 (en) | Remote controlled switch cover | |
KR20100132147A (ko) | 이동체 및 이동체의 주행 제어 방법 | |
JP2016065418A (ja) | 開閉装置 | |
CN216628348U (zh) | 一种防跌落清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