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345B1 -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0345B1 KR102020345B1 KR1020120091826A KR20120091826A KR102020345B1 KR 102020345 B1 KR102020345 B1 KR 102020345B1 KR 1020120091826 A KR1020120091826 A KR 1020120091826A KR 20120091826 A KR20120091826 A KR 20120091826A KR 102020345 B1 KR102020345 B1 KR 1020203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me screen
- screen
- touch
- item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figur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home screen including one or more objects on the touch screen; Detecting a first touch gesture of a user requesting to display an item list of a function mode associated with the home screen while the home screen is displayed; Displaying the item list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gesture; Detecting a second touch gesture of a user who selects one function mode while the item list is displayed; And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from a standby mode to a selected function mode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and displaying an edit screen for operating in the selected function mode on the touch screen. Provide a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해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장치 겸 표시 장치이다. 최근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통신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기능 예컨대, 동영상 재생, 문서 작성 등의 새로운 기능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are widely used. Portable terminals are used in a very wide range of fields because of their ease of use and ease of portability. In particular, 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ing a touch screen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Such a touch screen is an input device and a display device that input and display information on one screen. Recently,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provides a variety of new functions such as video playback and document creation in addition to a communication service.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에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개별 메뉴 실행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이 구분되고 있으며, 사용자 인터렉션도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s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complex and various functions, user interactions for individual menu executions are distinguished, and user interactions are also complicated.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단말의 운영 모드를 화면 구성 모드 즉, 편집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홈 화면에서 변경되는 편집 모드는 아이콘 삭제 이동을 위한 편집 모드, 아이콘 추가를 위한 편집 모드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러한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도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의 이동 삭제를 위해서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롱 프레스(long press)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홈 화면을 멀티 탭(예,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해야 한다. In order to configure a home screen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may be changed to a screen configuration mode, that is, an edit mode. The edit mode changed in the home screen is divided into an edit mode for deleting and moving an icon and an edit mode for adding an icon, and user interaction for entering the edit mode is also divided. For example, in order to move and delete an icon placed on a home screen, a user needs to long press the icon. In addition, the user must multi-tap the home screen (eg, tap twice in succession) in order to add an icon arranged on the home screen.
이와 같이, 사용자는 홈 화면을 재구성하기 위한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개별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일일이 기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최근 홈 화면을 구성화기 위한 기능들 예컨대, 폴더 생성, 페이지 추가 등의 기능들이 제공되고, 이러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을 보다 쉽고 빠르게 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nter an edit mode for reconfiguring a home screen, a user may have to memorize user interactions for individual functions. In addition, recently, functions for organizing a home screen, for example, a function of creating a folder, adding a page, and the like, are provided, and user interaction for executing these functions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and diverse. Accordingly, a user interface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operating a function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is required.
본 발명은 홈 화면에서 기능 별 인터렉션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인터렉션을 통해 홈 화면에서 화면 구성 모드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기능 항목 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항목을 계층적으로 선택하여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list of function items for guiding entry into the screen configuration mode from a home screen through a single interaction without distinguishing interactions by functions on a home screen, and hierarchically selects a desired function item for a ho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to execute a function related to a screen.
또한, 본 발명은 홈 화면에서 하나의 터치 제스처로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들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고, 리스트에 대한 항목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 모드로 변경하여 홈 화면을 구성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which displays a list of items related to the home screen with one touch gesture on the home screen, selects an item for the list, and changes the function mode to a corresponding function mod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figur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home screen including one or more objects on the touch screen; Detecting a first touch gesture of a user requesting to display an item list of a function mode associated with the home screen while the home screen is displayed; Displaying the item list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gesture; Detecting a second touch gesture of a user who selects one function mode while the item list is displayed; And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from a standby mode to a selected function mode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and displaying an edit screen for operating in the selected function mode on the touch screen.
상기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tecting of the first touch gesture may include detecting a touch on an empty area in which the object is not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contact time exceeds a preset time.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 위에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ing of the item list may include displaying an item list of a function mode associated with the home screen on the home screen by overlapping the item list.
상기 항목 리스트는,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동 및 삭제 항목,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 추가 항목, 홈 화면에 폴더 생성 항목, 홈 화면의 페이지 추가 항목 및 바탕화면 설정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tem list may include one or more of moving and deleting an object disposed on the home screen, an object adding item disposed on a home screen, a folder creation item on a home screen, a page adding item on a home screen, and a desktop setting item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오브젝트의 삭제 기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화면은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delete function item of the object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the edit screen may display objects that are not arranged on the home screen.
본 발명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항목 리스트를 표시도록 제어하고,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 home screen including one or more objects on the touch screen, and a list of items of a function mode related to the home screen while the home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first touch gesture of the user requesting the display is detected, the second touch of the user who controls to display the item list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gesture and selects one function mode while the item list is displayed When the gesture is detected, the control mode is changed to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selected function mode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and to display an edit screen for operating in the selected function mode on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에 따르면,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의 이동, 삭제, 추가, 폴더 생성, 페이지 추가, 바탕화면 설정 기능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고, 기능 항목 리스트에서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집 기능 별 사용자 인터렉션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인터렉션에 의해 홈 화면과 관련된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화면 구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screen can move, delete, add, create a folder, add a page, display a desktop setting function item list, and select a function from the function item list to execute functions related to the home screen. have. Accordingly, the user interaction for each editing function is not distinguished, and the user interaction can be switched to the screen configuration mode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functions related to the home screen by one inter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oving an object to configure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adding an object to configure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mess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addi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는 단말기의 기능 실행과 관련된 객체로서, 기능 실행 아이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는 홈 화면에 표시된 앱 실행 아이콘, 위젯 실행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an object related to the function execution of the terminal, and means a function execution ic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may include an app execution icon, a widget execution icon, and the lik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본 발명에서 "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은 홈 화면의 구성을 편집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오브젝트 추가 기능, 오브젝트 이동 및 삭제 기능, 오브젝트 폴더 생성 기능, 페이지 생성 기능, 바탕화면 설정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related to the home screen" is a function for edi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me screen, and may include an object addition function, an object move and delete function, an object folder creation function, a page creation function, a background setting function, and the like. have.
본 발명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 mobil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 hand-held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과,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상술한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the convergence (convergence) trend of digital devices, the variation is very various and cannot be enumerated.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not mentioned above, such as a GPS module and a camera modul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100.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cluded from the above configuration or replaced by another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may be a touch pad, a track ball, etc.,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키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터치스크린(110)은 터치패널(111)과 표시패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접촉점을 인식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여기서, 사용자제스처는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110)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110)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멀티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멀티 터치 제스처는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멀티 터치가 접촉해서 터치 해제까지의 터치 움직임을 의미한다. Here, the user gesture is divided into a touch and a touch gesture. Again touch gestures may include taps, double taps, long taps, drags, drag & drop, flicks, presses, and the like. . In this case, the touch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a point on the screen using a touch input means (for example, a finger or a stylus pen), and the tap touches a point after touching a point without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Touch-off of the input means, the double tap is an operation of tapping a point twice in succession, and the long tap is touch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tap, and then at the point without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Touch is an operation for releasing the touch input means, Drag is an operation for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touching a point, Drag and drop is an operation for releasing the touch input means after dragging, Flick As shown in the figure above, an operation of rapidly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and then releasing the touch as compared to dragging. A press is an operation of pressing a point after touching a point with a touch input means. That is, the touch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터치패널(111)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표시 패널(112)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및 그의 수행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앱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112)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 할 수 있다. 홈 화면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한다. 표시패널(112)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에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하나의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표시 패널(112)은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시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 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12)은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 리스트는 오브젝트 이동 삭제 , 오브젝트 추가 , 폴더 생성 , 페이지 추가 , 바탕 화면 설정 등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12)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을 백그라운드로 하여 홈 화면 위에 팝업창으로 항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 패널(112)은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편집 화면들은 오브젝트이동 삭제를 위한 편집 화면, 오브젝트 추가를 위한 편집 화면, 홈 화면에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편집 화면, 페이지를 추가하기 위한 편집 화면, 바탕 화면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편집 화면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무선통신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DA(Digital to Analog)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The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표시 패널(112)에 의해 표시되는 상술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복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저장부(150)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기 위한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통화 기능,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방송 시청 기능, 오디오 녹음 기능, 계산기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In the program area of the
본 발명에서 저장부(150)는 터치 제스처와 같은 입력 제스처를 저장하고, 각각의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정보 및 그에 대응하는 기능 정보는 사용자 설정 또는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하나 또는 다수 개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롱 프레스 제스처 또는 멀티 탭 제스처가 검출된 경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입력 제스처로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홈 화면에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롱 프레스 제스처가 검출된 경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입력 제스처로 저장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어부(16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 간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터치 제스처, 멀티 터치, 및 멀티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홈 화면에서 롱 프레스 제스처가 발생되면,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가 표시됨에 따라, 홈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항목 리스트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고, 하나의 기능 모드가 선택됐음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항목 리스트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단말의 운용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해당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항목 리스트를 통해 원하는 기능의 항목을 선택하고, 홈 화면의 구성과 관련된 다수의 기능을 보다 용이하고 쉽게 직관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ng press gesture is generated on the home screen, the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의 기능은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The function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의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 중인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일 수 있다. 이러한 대기 모드에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 위젯의 실행 아이콘 등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홈 화면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한다. 2, in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10)에 오브젝트의 배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다수 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하나의 페이지 화면을 홈 화면 전체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인 경우, 홈 화면을 표시한 경우를 예를 들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메뉴 화면 등 다수의 오브젝트들이 배열된 화면에도 해당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단계 220에서 제어부(160)는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에서 발생되는 터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 신호로부터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터치 접촉 지점에서 터치 접촉점들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좌표를 통해 터치 접촉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제스처는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터치제스처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터치 접촉 위치 정보와 오브젝트 배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터치 지점이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검출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단계 230에서 제어부(160)는 검출된 터치 제스처가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리스트 표시"를 위해 기 설정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스처는 홈 화면에서 아이콘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을 롱 프레스(long press)하는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기 설정된 제스처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 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으며, 멀티 탭 제스처와 같이 다른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In
제어부(160)는 롱 프레스 터치 제스처가 검출됐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터치 접촉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제조 시에 정의 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터치 접촉 시간이 예를 들어, 적어도 500ms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The
단계 230에서 제어부(160)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리스트 표시를 위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검출되면, 터치스크린(110)에 홈 화면과 관련된 다 수의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 리스트는 홈 화면과 관련된 다 수의 기능 모드 중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취사선택하고,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용이하게 진입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In
제어부(160)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홈 화면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팝업 창으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항목 리스트에는 홈 화면 구성과 관련된 다 수의 기능 항목 예컨대,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 아이콘 추가 항목, 폴더 생성 항목, 페이지 추가 항목, 바탕화면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단계 250에서 제어부(160)는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리스트에 표시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력 즉, 탭 또는 터치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탭 또는 터치에 응답하여 하나의 기능 모드가 선택됐음을 결정할 수 있다. In
단계 260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기능 항목이 선택되면, 터치스크린에 선택된 기능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In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아이콘 이동, 삭제 기능 모드가 선택됐음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운영 모드가 오브젝트의 이동 삭제를 위한 편집 모드로 변경된다. 제어부(160)는 편집 모드에서 홈 화면에 배치된 아이콘들이 편집이 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를 진동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운영 모드의 변경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은 편집 모드에서 바탕화면의 색상 또는 화면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운용 모드가 편집 모드로 변경됐음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moving an object to configure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3의 3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3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3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operation of the standby mode, the
홈 화면(3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의 터치스크린(110)을 롱 프레스(long press)(330)할 수 있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10)은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의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롱 프레스(330)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터치가 검출되고, 검출 시점을 시작으로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아이콘(3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의 터치가 위치 변동 없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스크린(110)에 <도 3의 302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는 홈 화면 위에 중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를 홈 화면(310) 위에 팝업 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는 홈 화면(310)과 관련되어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 모드로의 진입을 안내하기 위한 리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는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들 예를 들어,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 아이콘 추가 항목, 폴더 생성 항목, 페이지 추가 항목, 바탕화면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touch in the blank area where the
사용자는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340)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350)을 터치 또는 탭 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350)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아이콘 이동 삭제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3의 303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이동 삭제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360)을 표시할 수 있다. The user may touch or tap the icon
여기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운영 모드가 대기 모드에서 이동 삭제 모드로 변경됐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의 아이콘(320)을 진동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거나, 바탕화면의 색상 변경, 화면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Her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110)은 도 3의 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삭제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에서 삭제 키(370) 또는 삭제 기능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아이콘의 이동 삭제가 가능한 것임을 인식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303 of FIG. 3, the
아이콘 이동 삭제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이콘을 이동하거나 삭제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0)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동시킬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320)을 이동시킬 오브젝트로 결정할 수 있다. While the edit screen for operating the icon moving deletion mode is displayed, the user may manipulate the
제어부(160)는 선택된 아이콘(320)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터치 움직임에 응답하여 선택된 아이콘(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아이콘의 움직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320)을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아이콘(320)은 터치 해제된 곳의 홈 화면에 고정(fix)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 도 3의 304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해제된 곳의 홈 화면(310)에 선택된 아이콘(321)을 표시할 수 있다. The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을 삭제 키 도는 삭제 기능 아이콘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60)는 선택된 아이콘이 삭제 키 또는 삭제 기능 아이콘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된 후, 터치 해제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홈 화면(3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move the selected icon to a location where a delete key or a delete function icon is located.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 화면의 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adding an object to configure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 중인 대기 모드로 운용 중일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4의 4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4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4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홈 화면(4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이콘(4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의 터치스크린(110)을 롱 프레스(long press)(430)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아이콘(4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터치가 검출되고, 검출 시점을 시작으로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이콘(420)이 배치되지 않은 빈 영역에서 터치가 위치 변동 없이, 기 설정된 접촉 시간을 초과한 경우, 제어부(160)는 <도 4의 402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에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는 홈 화면 위에 팝업 창으로 중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는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기능들 예를 들어, 아이콘 이동 삭제 항목, 아이콘 추가 항목, 폴더 생성 항목, 페이지 추가 항목, 바탕화면 설정 항목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In the state where the
사용자는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440)가 표시된 상태에서 아이콘 추가 항목(450)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아이콘 추가 항목(450)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검출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아이콘 추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도 4의 403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추가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411)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1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아이콘 추가 모드를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410)에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440)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화면(420) 상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440)들이 표시됨에 따라, 운영 모드가 대기 모드에서 아이콘 추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변경됐음을 인식하고,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lect the
아이콘 추가 모드 운용을 위한 편집 화면(411)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홈 화면에 아이콘을 추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홈 화면에 추가시킬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441)를 홈 화면에 추가시킬 오브젝트로 결정하고, <도 4의 404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화면(410)에 결정된 오브젝트(411)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ile th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에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 입력부
130: 무선 통신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100: mobile terminal
110: touch screen 120: key input unit
13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0: audio processing unit
150: storage unit 160: control unit
Claims (9)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흐릿하게 표시하고, 상기 항목 리스트를 상기 흐릿하게 표시된 홈 화면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제스처는 상기 홈 화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 외의 빈 영역에서 검출되고,
상기 항목 리스트는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동 및 삭제 항목 및 오브젝트 추가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오브젝트 추가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흐릿하게 표시된 홈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홈 화면에 추가 가능한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In the method for configur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ing a home screen including one or more objects on the touch screen;
Detecting a first touch gesture of a user requesting to display an item list of a function mode associated with the home screen while the home screen is displayed;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gesture, dimming a home screen including the one or more objects and superimposing the item list on the dimmed home screen;
Detecting a second touch gesture of a user who selects one function mode while the item list is displayed; And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from a standby mode to a selected function mode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and displaying an edit screen for operating in the selected function mode on the touch screen;
The first touch gesture is detected in an empty area other than an area displaying the one or more objects of the home screen,
The item list includes one or more of moving and deleting items and object adding items arranged on the home screen.
When the object addition item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the blurry home screen is removed and a plurality of objects that can be added to the home screen are displayed.
상기 제1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에서 오브젝트가 표시되지 않은 빈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터치 접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ng of the first touch gesture may include:
Detecting a touch on an empty area in which the object is not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contact time exceeds a preset time.
상기 항목 리스트는,
홈 화면에 폴더 생성 항목, 홈 화면의 페이지 추가 항목 및 바탕화면 설정 항목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tem list,
And a folder creation item, a home page add item, and a desktop setting item on the home screen.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오브젝트의 삭제 기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화면은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화면의 구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delete function item of the object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the editing screen displays objects not arranged on the home screen.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된 오브젝트의 이동 및 삭제 항목 및 오브젝트 추가 항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의 표시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제1 터치 제스처가 상기 홈 화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영역 외의 빈 영역에서 검출되면, 상기 제1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흐릿하게 표시하고 상기 항목 리스트를 상기 흐릿하게 표시된 홈 화면 위에 중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항목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단말의 운영 모드를 대기 모드에서 선택된 기능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선택된 기능 모드로 운용하기 위한 편집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오브젝트 추가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흐릿하게 표시된 홈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홈 화면에 추가 가능한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touch scre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a us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ouch screen,
The control unit,
The home screen is controlled to display a home screen including one or more objects on the touch screen, and includes one or more items of moving and deleting an object disposed on the home screen and an object addition item while the home screen is displayed. If a first touch gesture of a user requesting the display of an item list of a function mode associated with is detected in a blank area other than an area displaying the one or more objects of the home screen, in response to the first touch gesture, the one or more touch gestures are displayed. A second touch gesture of a user that blurs the home screen including an object and controls the item list to be superimposed on the blurred home screen, and selects a function mode while the item list is displayed If detected,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The controller to change the function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selected function mode, display an edit screen for operating in the selected function mode on the touch screen, and select the object addition item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If so,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remove the blurry displayed home screen and to display a plurality of objects that can be added to the home screen.
상기 제어부는,
홈 화면에 폴더 생성 항목, 홈 화면의 페이지 추가 항목 및 바탕화면 설정 항목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 모드의 항목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And displaying a list of items of a function mode related to the home screen, the home screen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folder creation item, a home page add item, and a desktop setting ite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오브젝트의 삭제 기능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편집 화면은 상기 홈 화면에 배치되지 않은 오브젝트들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delete function item of the object is selec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touch gesture, the edit screen controls to display objects not disposed on the home scre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826A KR102020345B1 (en) | 2012-08-22 | 2012-08-22 |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
US13/964,589 US9766739B2 (en) | 2012-08-22 | 2013-08-1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
EP13181031.9A EP2701054B1 (en) | 2012-08-22 | 2013-08-20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
CN201310369704.1A CN103631511B (en) | 2012-08-22 | 2013-08-2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ain screen in the terminal with touch scre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1826A KR102020345B1 (en) | 2012-08-22 | 2012-08-22 |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5754A KR20140025754A (en) | 2014-03-05 |
KR102020345B1 true KR102020345B1 (en) | 2019-11-04 |
Family
ID=4903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1826A KR102020345B1 (en) | 2012-08-22 | 2012-08-22 |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766739B2 (en) |
EP (1) | EP2701054B1 (en) |
KR (1) | KR102020345B1 (en) |
CN (1) | CN103631511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51052A (en) * | 2014-03-24 | 2015-09-30 | 联想(北京)有限公司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US20150281141A1 (en) * | 2014-03-31 | 2015-10-01 | Htc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of messaging and method thereof |
KR102213190B1 (en) * | 2014-05-26 | 2021-02-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arranging hom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CN118192869A (en) | 2014-06-27 | 2024-06-14 | 苹果公司 | Reduced size user interface |
EP3195098B1 (en) | 2014-07-21 | 2024-10-23 | Apple Inc. | Remote user interface |
CN104133651B (en) * | 2014-07-28 | 2017-12-26 | 联想(北京)有限公司 |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EP3195096B1 (en) | 2014-08-02 | 2020-08-12 | Apple Inc. |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
US10452253B2 (en) | 2014-08-15 | 2019-10-22 | Apple Inc. | Weather user interface |
US9787812B2 (en) | 2014-08-28 | 2017-10-10 | Honda Motor Co., Ltd. | Privacy management |
US10613743B2 (en) | 2014-09-02 | 2020-04-07 | Apple Inc. |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
CN115623117A (en) | 2014-09-02 | 2023-01-17 | 苹果公司 | Telephone user interface |
US10254948B2 (en) * | 2014-09-02 | 2019-04-09 | Apple Inc. | Reduced-size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updated application overviews |
KR102319803B1 (en) * | 2014-11-26 | 2021-11-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
US10055121B2 (en) | 2015-03-07 | 2018-08-21 | Apple Inc. | Activity based thresholds and feedbacks |
CN104820566B (en) * | 2015-04-22 | 2018-03-0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Small intelligent touch terminal returns to the method and device of main screen |
CN104765552B (en) * | 2015-04-28 | 2019-04-19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Right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
KR20170006557A (en) * | 2015-07-08 | 2017-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0053110B2 (en) * | 2016-05-06 | 2018-08-21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
KR20170129372A (en) * | 2016-05-17 | 2017-11-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
DK201770423A1 (en) | 2016-06-11 | 2018-01-15 | Apple Inc |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
KR20180016131A (en) | 2016-08-05 | 2018-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0521107B2 (en) | 2016-09-24 | 2019-12-31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nd interacting with different device modes |
DK201870335A1 (en) | 2018-05-07 | 2019-12-04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active management of notifications |
CN110007800B (en) | 2019-04-10 | 2020-11-10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touch operation mode and storage medium |
AU2020233622B2 (en) | 2020-05-11 | 2022-03-10 | Apple Inc. |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supporting scheduled mode changes on electronic devices |
US20220365640A1 (en) * | 2021-05-12 | 2022-11-17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the Provision of Notifications |
JP2024005360A (en) * | 2022-06-30 | 2024-01-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Information processor, program, and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or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67852A (en) * | 1996-06-12 | 1998-06-1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iority selection on a graphical interface |
EP1491990B1 (en) * | 2003-06-20 | 2010-02-17 | Apple Inc. |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object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US20050190971A1 (en) * | 2004-02-26 | 2005-09-01 | Brubacher-Cressman Dale K. |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help facility and associated method |
US7509588B2 (en) | 2005-12-30 | 2009-03-24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
JP2007249863A (en) * | 2006-03-17 | 2007-09-27 | Ricoh Co Ltd | Image processor, user interface screen customizing method and user interface screen customizing program |
EP1956472A1 (en) * | 2007-01-31 | 2008-08-1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icons for applications on a mobile device |
KR20090023957A (en) | 2007-09-03 | 2009-03-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of manu display in portable apparatus |
US9619143B2 (en) * | 2008-01-06 | 2017-04-1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
KR100900295B1 (en) | 2008-04-17 | 2009-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User interface method for mobile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01613838B1 (en) * | 2009-05-19 | 2016-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me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EP2431870B1 (en) * | 2010-09-17 | 2019-11-27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783961B1 (en) * | 2010-11-17 | 2017-10-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intuitive editing and inspecting folder |
KR20120064756A (en) | 2010-12-10 | 2012-06-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comprising touch screen |
KR20120074490A (en) * | 2010-12-28 | 2012-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f portable terminal |
-
2012
- 2012-08-22 KR KR1020120091826A patent/KR10202034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8-12 US US13/964,589 patent/US9766739B2/en active Active
- 2013-08-20 EP EP13181031.9A patent/EP2701054B1/en active Active
- 2013-08-22 CN CN201310369704.1A patent/CN103631511B/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055388A1 (en) | 2014-02-27 |
CN103631511A (en) | 2014-03-12 |
CN103631511B (en) | 2019-06-28 |
EP2701054B1 (en) | 2020-04-22 |
US9766739B2 (en) | 2017-09-19 |
KR20140025754A (en) | 2014-03-05 |
EP2701054A3 (en) | 2014-05-14 |
EP2701054A2 (en) | 2014-0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0345B1 (en) |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 |
US945970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 |
KR10197485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 |
EP2565752A2 (en) |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 |
US2014028966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object in portable terminal | |
AU2013276998B2 (en) |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US20140359504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in the electronic device | |
EP2669786A2 (en) |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 |
US2014032544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nu 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 |
KR102251834B1 (en) | 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 |
KR2013009726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view in mobile terminal | |
CA2846482A1 (en) | Method of providing of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 |
KR20130093043A (en) |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user interface for touch and swipe navigation | |
US20140055398A1 (en) | Touch 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touch-based manipulation for contents | |
US20150169216A1 (en) |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30052151A (en) | Data input method and device i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 |
US969047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using key inputs or combination thereof | |
KR2013010884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creens in a portable terminal | |
KR20140019530A (en) | Method for providing user's interaction using mutil touch finger gesture | |
KR20140089224A (en)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operation based on touch-input | |
US20150248213A1 (en) | Method to enable hard keys of a device from the screen | |
KR2013009726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contents view in mobile terminal | |
WO2016183912A1 (en) | Menu layout arrangement method and apparatus | |
EP2587356A2 (en) |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therefore | |
US2015006757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