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무선
보이기
백무선(백암청년역-무산역) | |||||||||||||||||||||||||||||||||||||||||||||||||||||||||||||||||||||||||||||||||||||||||||||||||||||||||||||||||||||||||||||||||||||||||||||||||||||||||||||||||||||||||||||||||||||||||||||||||||||||||||||||||||||||||||||||||||||||||||||||||||||||||||||||||||||||||||||||||||||||||||||
---|---|---|---|---|---|---|---|---|---|---|---|---|---|---|---|---|---|---|---|---|---|---|---|---|---|---|---|---|---|---|---|---|---|---|---|---|---|---|---|---|---|---|---|---|---|---|---|---|---|---|---|---|---|---|---|---|---|---|---|---|---|---|---|---|---|---|---|---|---|---|---|---|---|---|---|---|---|---|---|---|---|---|---|---|---|---|---|---|---|---|---|---|---|---|---|---|---|---|---|---|---|---|---|---|---|---|---|---|---|---|---|---|---|---|---|---|---|---|---|---|---|---|---|---|---|---|---|---|---|---|---|---|---|---|---|---|---|---|---|---|---|---|---|---|---|---|---|---|---|---|---|---|---|---|---|---|---|---|---|---|---|---|---|---|---|---|---|---|---|---|---|---|---|---|---|---|---|---|---|---|---|---|---|---|---|---|---|---|---|---|---|---|---|---|---|---|---|---|---|---|---|---|---|---|---|---|---|---|---|---|---|---|---|---|---|---|---|---|---|---|---|---|---|---|---|---|---|---|---|---|---|---|---|---|---|---|---|---|---|---|---|---|---|---|---|---|---|---|---|---|---|---|---|---|---|---|---|---|---|---|---|---|---|---|---|---|---|---|---|---|---|---|---|---|---|---|---|---|---|---|---|---|---|---|---|
| |||||||||||||||||||||||||||||||||||||||||||||||||||||||||||||||||||||||||||||||||||||||||||||||||||||||||||||||||||||||||||||||||||||||||||||||||||||||||||||||||||||||||||||||||||||||||||||||||||||||||||||||||||||||||||||||||||||||||||||||||||||||||||||||||||||||||||||||||||||||||||||
|
백무선(白茂線)은 량강도 백암군의 백암청년역과 함경북도 무산군의 무산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연선의 고도 변화가 급해서 협궤로 지어졌으며, 유곡~라적~삼유 구간에는 남한에서는 사라진 스위치백도 있다.
노선 정보
[편집]- 구간과 거리 : 백암청년역~무산역 191.7km
- 역 수 : 28개 (양 끝역 포함)
- 궤도 : 762mm(협궤)
- 전철화 구간 : 백암청년역~유곡역(직류 3000V)
- 복선 구간 : 없음
- 폐역 정보
- - 하경평역(下鏡坪驛) : 백암청년역 기점 96.1km 지점에 존재하였음.
- - 함북신장역(咸北新章驛) : 백암청년역 기점 143.4km 지점에 존재하였음.
- - 독소역(篤所驛) : 백암청년역 기점 186.0km 지점에 존재하였음.
역사
[편집]조선 총독부는 한반도 전역에 국유 철도망을 건설하는 '조선 철도 12년 계획'을 1927년에 입안하는데[1], 백무선은 해당 계획에 없던 노선이나 원목 수송을 위하여 건설이 결정되었다.
1934년 9월에는 백암역에서 산양대역까지가 개통되었다.[2] 이듬해 9월에는 산양대역에서 연암역까지가 개통되고[3], 1936년 10월에는 유평동역까지 연장되었다. 1939년 10월에는 유평동역에서 연사역까지의 구간에서 영업을 개시하였고[4], 1944년 12월 무산역까지가 준공됨으로써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연혁
[편집]- 1932년 11월 16일 : 백암역에서 착공
- 1934년 9월 1일 : 백암-산양대 간 영업 개시[5]
- 1935년 9월 1일 : 산양대-연암 간 영업 개시[6]
- 1936년 10월 15일 : 연암-유평동 간 영업 개시[7]
- 1939년 10월 1일 : 유평동-연사 간 영업 개시[8]
- 1944년 12월 1일 : 연사-무산 간 영업 개시[9], 전 구간 완공
- 1945년 이후 : 백암역을 백암청년역으로, 함북신장역을 신장역으로, 함북문암역을 두암역, 신양역을 삼유역으로 개칭
- 1991년 8월 : 백암청년-유곡 간 전철화 완공[10]
역 목록
[편집]1945년의 목록이다.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1945년 당시) |
소재지 (현재) | |||
---|---|---|---|---|---|---|---|---|---|
백암 | 白岩 | 0.0 | 0.0 | 혜산선 | 함경북도 | 길주군 | 양사면 | 량강도 | 백암군 |
대택 | 大澤 | 6.5 | 6.5 | ||||||
북계수 | 北溪水 | 5.4 | 11.9 | 무산군 | 삼사면 | ||||
도내 | 島內 | 12.3 | 24.2 | ||||||
상황토 | 上黃土 | 5.0 | 29.2 | ||||||
산양대 | 山羊台 | 4.6 | 33.8 | ||||||
서두 | 西頭 | 6.7 | 40.5 | ||||||
연평 | 延坪 | 6.6 | 47.1 | ||||||
연암 | 延岩 | 8.8 | 55.9 | ||||||
굴송 | 屈松 | 2.5 | 58.4 | ||||||
상단 | 上坍 | 5.1 | 63.5 | ||||||
삼사 | 三社 | 5.1 | 68.6 | ||||||
천수 | 天水 | 8.8 | 77.4 | ||||||
하황토 | 下黃土 | 8.6 | 86.0 | ||||||
상경평 | 上境坪 | 4.1 | 90.1 | ||||||
하경평 | 下境坪 | 6.0 | 96.1 | ||||||
유평동 | 楡坪洞 | 4.4 | 100.5 | ||||||
유곡 | 楡谷 | 10.5 | 111.0 | ||||||
라적 | 羅跡 | 6.4 | 117.4 | 연사면 | 함경북도 | 연사군 | |||
신양 | 新陽 | 9.5 | 126.9 | ||||||
소도 | 小桃 | 2.6 | 129.5 | ||||||
연사 | 延社 | 9.1 | 138.6 | ||||||
함북신장 | 咸北新章 | 4.8 | 143.4 | ||||||
연수 | 延水 | 6.7 | 150.1 | ||||||
함북문암 | 咸北文岩 | 8.3 | 158.4 | 연상면 | 무산군 | ||||
연상 | 延上 | 6.4 | 164.8 | ||||||
흥암 | 興岩 | 9.3 | 174.1 | 서하면 | |||||
남촌 | 南村 | 7.1 | 181.2 | ||||||
독소 | 篤所 | 4.8 | 186.0 | 무산읍 | |||||
무산 | 茂山 | 5.7 | 191.7 | 무산선 |
관련 문화
[편집]각주
[편집]- ↑ 이용상 외 (2013).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II》. 서울: BG북갤러리. 49쪽. ISBN 9788964950531.
- ↑ 백두산 밑으로! 무산선 일부 개주(開週), 《동아일보》, 1934.08.30.
- ↑ 백무, 혜산 양선(兩線) 구월부터 개업, 《동아일보》, 1935.08.16.
- ↑ 유평→연사간 시월부터개통, 《동아일보》, 1939.09.14.
- ↑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277호, 1934년 8월 11일자
- ↑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583호, 1935년 8월 21일자
- ↑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922호, 1936년 10월 8일자
- ↑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795호, 1939년 9월 12일자
- ↑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345호, 1944년 11월 28일자
- ↑ 《조선향토대백과》, 2008.
참고 문헌
[편집]-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502~503
-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