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nahoru, domu]

본문으로 이동

백무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백무선(백암청년역-무산역)
STR
백두산청년선(길주청년역 방면)
BHF
0.0 백암청년
ABZgl
백두산청년선(운흥역 방면)
HST
6.6 대택
HST
11.9 북계수
HST
상도내
hKRZWae
서두수
HST
24.2 도내
HST
29.2 상황토
hKRZWae
서두수
BHF
33.8 산양대
hKRZWae
서두수
HST
40.5 서두
HST
47.1 연평
hKRZWae
서두수
hKRZWae
BHF
55.9 연암
HST
58.4 굴송
HST
63.5 상단
hKRZWae
서두수
HST
68.6 삼사
TUNNEL1
hKRZWae
HST
77.4 천수
hKRZWae
서두수
HST
86.0 하황토
hKRZWae
서두수
HST
90.1 상경평
hKRZWae
서두수
eHST
96.1 하경평(폐지)
BHF
100.5 유평동
BHF
111.0 유곡
STR+GRZq
량강도 백암군/함경북도 연사군
HST
117.4 라적
HST
126.9 삼유
HST
129.5 소도
hKRZWae
BHF
136.8 연사
hKRZWae
eHST
143.4 함북신장(폐지)
hKRZWae
hKRZWae
HST
150.1 연수
hKRZWae
STR+GRZq
연사군/무산군
hKRZWae
hKRZWae
HST
158.4 두암
hKRZWae
HST
164.8 연상
hKRZWae
hKRZWae
HST
174.1 흥암
HST
181.2 남촌
eHST
186.0 독소(폐지)
BHF
191.7 무산
STR
무산선(고무산역 방면)
  • 역명과 거리는 일본어판 위키백과 등을 참고로 작성함

백무선(白茂線)은 량강도 백암군백암청년역함경북도 무산군무산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연선의 고도 변화가 급해서 협궤로 지어졌으며, 유곡~라적~삼유 구간에는 남한에서는 사라진 스위치백도 있다.

노선 정보

[편집]
  • 구간과 거리 : 백암청년역~무산역 191.7km
  • 역 수 : 28개 (양 끝역 포함)
  • 궤도 : 762mm(협궤)
  • 전철화 구간 : 백암청년역~유곡역(직류 3000V)
  • 복선 구간 : 없음
  • 폐역 정보
- 하경평역(下鏡坪驛) : 백암청년역 기점 96.1km 지점에 존재하였음.
- 함북신장역(咸北新章驛) : 백암청년역 기점 143.4km 지점에 존재하였음.
- 독소역(篤所驛) : 백암청년역 기점 186.0km 지점에 존재하였음.

역사

[편집]

조선 총독부는 한반도 전역에 국유 철도망을 건설하는 '조선 철도 12년 계획'을 1927년에 입안하는데[1], 백무선은 해당 계획에 없던 노선이나 원목 수송을 위하여 건설이 결정되었다.

1934년 9월에는 백암역에서 산양대역까지가 개통되었다.[2] 이듬해 9월에는 산양대역에서 연암역까지가 개통되고[3], 1936년 10월에는 유평동역까지 연장되었다. 1939년 10월에는 유평동역에서 연사역까지의 구간에서 영업을 개시하였고[4], 1944년 12월 무산역까지가 준공됨으로써 전 구간이 완공되었다.

연혁

[편집]

역 목록

[편집]

1945년의 목록이다.

역명 한자 역명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 노선 소재지
(1945년 당시)
소재지
(현재)
백암 白岩 0.0 0.0 혜산선 함경북도 길주군 양사면 량강도 백암군
대택 大澤 6.5 6.5
북계수 北溪水 5.4 11.9 무산군 삼사면
도내 島內 12.3 24.2
상황토 上黃土 5.0 29.2
산양대 山羊台 4.6 33.8
서두 西頭 6.7 40.5
연평 延坪 6.6 47.1
연암 延岩 8.8 55.9
굴송 屈松 2.5 58.4
상단 上坍 5.1 63.5
삼사 三社 5.1 68.6
천수 天水 8.8 77.4
하황토 下黃土 8.6 86.0
상경평 上境坪 4.1 90.1
하경평 下境坪 6.0 96.1
유평동 楡坪洞 4.4 100.5
유곡 楡谷 10.5 111.0
라적 羅跡 6.4 117.4 연사면 함경북도 연사군
신양 新陽 9.5 126.9
소도 小桃 2.6 129.5
연사 延社 9.1 138.6
함북신장 咸北新章 4.8 143.4
연수 延水 6.7 150.1
함북문암 咸北文岩 8.3 158.4 연상면 무산군
연상 延上 6.4 164.8
흥암 興岩 9.3 174.1 서하면
남촌 南村 7.1 181.2
독소 篤所 4.8 186.0 무산읍
무산 茂山 5.7 191.7 무산선

관련 문화

[편집]
  • 시인 이용악이 내리는 백무선의 연선 풍경을 소재로 〈그리움〉을 창작하였다.

각주

[편집]
  1. 이용상 외 (2013). 《한국 철도의 역사와 발전 II》. 서울: BG북갤러리. 49쪽. ISBN 9788964950531. 
  2. 백두산 밑으로! 무산선 일부 개주(開週), 《동아일보》, 1934.08.30.
  3. 백무, 혜산 양선(兩線) 구월부터 개업, 《동아일보》, 1935.08.16.
  4. 유평→연사간 시월부터개통, 《동아일보》, 1939.09.14.
  5.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277호, 1934년 8월 11일자
  6.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583호, 1935년 8월 21일자
  7.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2922호, 1936년 10월 8일자
  8.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3795호, 1939년 9월 12일자
  9.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제5345호, 1944년 11월 28일자
  10. 《조선향토대백과》, 2008.

참고 문헌

[편집]
  • 고쿠부 하야토(国分隼人), 《将軍様の鉄道 北朝鮮鉄道事情》, 新潮社, 2007, ISBN 978-4-10-303731-6
  • 鉄道省 編,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p502~503
  • 한국철도공사, 《철도주요연표 2010》, 2010